본문내용
가는 [입]인데, 이렇게 합성어로 묶일 때는 [나문닙]이 <나무+++입>의 소리가 남. 본래의 소리에 이 덧붙여짐. ‘나무’와 ‘잎’이 붙어 합성어가 되면 소리가 변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시옷을 덧붙이는 것.
본래의 음가가 변하는 경우(3가지)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나룻배, 냇가
2.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소리가 덧 나는 것: 아랫니, 냇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소리가 덧나는 것: 깻잎, 나뭇잎
-주의-
두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라도 순 우리말이어야지 둘 다 한자인 경우는 6개의 예외를 빼고는 사이시옷 규정에서 제외 함: 곳간, 찻간, 뒷간, 셋방(문제 많이 나옴), 숫자, 횟수
http://www.klt.or.kr/bbs/list.php?code=truth
본래의 음가가 변하는 경우(3가지)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나룻배, 냇가
2.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소리가 덧 나는 것: 아랫니, 냇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소리가 덧나는 것: 깻잎, 나뭇잎
-주의-
두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라도 순 우리말이어야지 둘 다 한자인 경우는 6개의 예외를 빼고는 사이시옷 규정에서 제외 함: 곳간, 찻간, 뒷간, 셋방(문제 많이 나옴), 숫자, 횟수
http://www.klt.or.kr/bbs/list.php?code=trut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