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환경(戰略環境)이 자위적(自衛的) 선제공격전략(先制攻擊戰略)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제3차 중동전과 한반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정당한 전쟁으로서의 자위적 선제공격
 제1절 정당한 전쟁의 범위
 제2절 자위적 선제공격
제3장 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제1절 지리적 환경
 제2절 군사적 환경
 제3절 국내 환경
 제4절 국제 환경
제4장 사례 분석 : 제3차 중동전
제5장 한반도의 전략환경과 전략의 선택
 제1절 한반도의 전략적 환경과 선택
 제2절 한국의 선택과 구비조건
제6장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속에서, 생존과 번영이라는 국가목표를 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 국제사회의 問題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은 한국의 대북 위협으로부터의 안전 뿐 아니라 한국의 국가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방안이다. 우선, 동북아 및 아-태 지역에서의 다자간 안보 및 군사협력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로, 향후 지역분쟁의 위협을 사전에 제거하고, 이를 통해 북한의 근본적인 대남전략의 변화를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계적 차원에서의 다자간 안보 및 군사협력을 위한 한국의 군사외교활동을 강화하여야 한다. 즉, UN과 같은 기존의 국제기구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PKO활동과 같은 세계 분쟁지역에 대한 참여로 세계 평화와 발전에 기여 함으로써 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위에서 언급한, 만일의 사태시 대북 戰爭 수행시 자위적 선제공격전략 수행의 국제적 지지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
제6장 結 論
국가안보전략은 국가의 생존과 직결된 분야이다. 다른 어느 분야의 안보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 전략환경은 탈냉전과 북한의 자체붕괴설 등이 나오는 등 군사안보에 대한 국가 지도부에서부터 국민에 이르기까지 군사안보에 대한 주변 상황이 위협으로써 변화하지 않고 오히려 그 강도를 더해가고 있음을 망각하고 있는 듯하다,
세계 전략환경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이 우선시 되면서 이를 획득하기 위한 배경의 영향력 확대 차원의 군사력을 증강하여 질적, 양적 군비가 증강되고 있으며, 동북아의 군사안보 상황도 기존의 주변4강체제의 유지와 북한의 대남적화전략의 변화가능성이 희박하고, 오히려 오판에 의한 戰爭 발발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다. 거기에 냉전 후 패권 국가로서 진입하고자 하는 중국의 등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하여 2차 大戰 전의 대동아공영권의 재확립과 세계 초강대국으로 부상하려는 일본의 군비 증강 노력 그리고 동북아 각국간의 얽혀 있는 영토분쟁의 위협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갈등 요인이며, 전략환경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불리한 전략 환경에서 한국은 전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적극적인 군사활동으로서 수세적이 아닌 적극적 戰略 개념의 개발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군사력의 확충 노력, 그리고 소극적이 아닌 적극적 위협 대처 의지를 갖는 정책적 지도가 향후 동북아에서의 한국의 군사안보 활동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결국에는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그리고 21세기의 통일과 세계 중심국으로 성장하는데 基本 요건이 될 것이다.
參 考 文 獻
가. 단행본
o 국제문제연구소. 「방위연감 1995-1996」 서울: 국제문제연구소, 1995.
o 김계동 외. 「국가전략」 서울: 세종연구소, 1997.
o 김달중, 박상섭, 황병무 편.「국제정치학의 새로운 영역과 쟁점」서울:나남출판사, 1995.
o 김상희. 「중동전쟁」 서울: 일신사, 1987.
o 백종천 편. 「국가방위론」 서울: 박영사, 1985.
o 육사. 「세계전쟁사」 서울: 일신사, 1985.
o 윤용남. 「기동전」 서울: 육군본부, 1987.
o 이종학. 「현대전략론」 서울: 박영사, 1994.
o 최경락, 정준호, 황병무. 「국가안전보장서론」서울: 법문사, 1989.
o 최종철 외. 「21세기를 지향하는 한국의 국방」 서울: 범신사, 1996.
o 사토 다치야. 「한반도의 군사지도」 이재선 역. 서울: 과학과 사상, 1989.
o Blumentritt, Gunther. 「전략과 전술」 유제승 역. 서울: 한울, 1994.
o Brown, Seyom.「전쟁의 원인과 예방」정병호 외 역. 서울: 국대원, 1995.
o Buzan, Barry.「세계화시대의 국가안보」김태현 역. 서울:나남출판사, 1995.
o Cline, Ray S. The Power of Nations in the 1990s. Mrylan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4.
o Hillgruber, Andreas.「국제정치와 전쟁전략」유제승 역. 서울: 한울, 1996.
나. 논문, 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 및 기타
o 김득주. “전투수단 및 방법에 관한 국제법적 규제와 그 한계에 관한 연구.”
서울 : 국대원, 1985.
o 신재균. “선제기습공격의 적용성 硏究.” 서울:국대원, 1986.
o 유윤식. “2000년대 한국의 군사정책과 전략의 발전방향.” 서울: 국대원, 1994.
o 유재갑. “남북 평화공존시 전력배비와 통일 전후 전략 및 전력배비 연구.”
서울: 국대원 안보문제연구소, 1992.
o 유정민 역. “이스라엘군의 전략적 교리.” 「군사과학자료」 제 92호 진해:
육군대학, 1984.
o 윤종호. “탈냉전시대 미국의 아태전략과 한국안보.” 서울:국대원, 1993.
o 이원양. “선제공격의 일반적 고찰.” 서울: 국대원, 1994.
o 임덕규. “정당한 전쟁론.” 서울 : 육군사관학교, 1985.
o 정준호. “21세기에 대비한 한국의 군사외교 정책 방향.” 서울:국대원, 1996.
o 조지형. “작전전략에 관한 연구.” 「군사평론」 제269호. 진해: 육대, 1988.
o 조한규. “한국군 작전전략 발전방향.” 서울:국대원, 1995.
o 최병갑 외. “90년대 안보전략과 방위전략.” 서울: 국대원, 1989.
o 한용섭. “김정일 체제하 북한군사정책의 변화 가능성.” 서울 : 한국전략문 제연구소,1996.
o 황병무. “안보정책의 軍事.외교 대안 개발.” 서울: 국대원, 1985.
o -----. “억제전략의 槪念유형방안.“ 서울:국대원, 1993.
o 고바야시 히로아끼. “자위의 논리: 무력행사와 자위대.” 국대원 역. 서울: 국대원, 1987.
o Foster, Gregory D. “전략이론의 개념적 기초.” 윤종호 역. 서울: 국대원, 1990.
o Mahnken, Thomas G. “21세기를 대비한 미국의 군사력 설계.” 나기산 역. 서울: 국대원, 1993.
o Miller, Benjanmin. “국제체제와 지역안보.” 이은득 역. 서울: 국대원, 1996.
o Stdecker, Sally W. 외. “안보전략이론.” 이한종 외 역. 서울: 국대원, 1991.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12.22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