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의 개념 및 특징과 찬반의견 분석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미 FTA의 개념

2. 한미FTA의 협상문의 내용

3. 한미 FTA에 대한 찬성의견

4. 한미 FTA에 대한 반대의견

본문내용

. 칠레를 비롯한 남미 국가들도 마찬가지. 지난 10년간의 효과라곤 국내 산업의 도산과 양극화 확대 뿐이었다.( 그 10년 침체의 결과 남미에서 현재 좌파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혹자는 한국의 경제는 남미보다 훨씬 탄탄하므로 비교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나, 대외 투자의 대부분이 핫머니의 금융침투와 적대적 인수합병인 시대에 이번 외환은행 인수 사태처럼 미국의 거대자본에 한국의 기업들이 헐값에 매수당하지 않으리라고 누가 장담하겟는가? 금융, 투자규제의 완화는 제2, 제3의 외완은행 사태를 가져올 것이다.
2. 영화, 농업부문에 미치는 효과
스크린쿼터 폐지에 대한 논리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스크린쿼터가 없어지면 쓰레기같은 조폭영화도 없어질 것이고, 한국영화의 경쟁력이 더욱 올라가 작품성 있는 영화가 많이 나올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들에게 묻고싶은게 있다. 그런 쓰레기같은 조폭영화들에 지갑을 연것은 누구인가? 작품성으로 쓰레기일 지언정 그런 영화들이 지속적으로 한국 영화시장에서 흥행을 기록해왔고 그것이야 말로 FTA찬양론자들이 주장하는 '경제적 관점'에서 성공한 영화이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 삶의 의미같은 것에 대한 깊은 통찰 없이 통속적이고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것들을 늘어놓는 것은 어느 문화장르를 막론하고 '흥행보장'의 비법이다.
한국영화가 이렇게 된 것은 그 쓰레기들에 일일이 돈을 지불하면서도 작품성을 보이는 저예산영화,독립영화에는 철저히 등을 돌린 관객들의 몫이며, 영화계에 경제적 효과로만 나타나는 '경쟁력'을 강요한 사회 패러다임 자체의 문제이다. 예술장르에 작품성을 기대한다면 더욱 더 보호와 투자를 늘려야 한다. 영화사에 회자되는 명작 영화중에 시장논리에만 치중한 영화가 몇이나 되는가? 천문학적인 예산을 쏟은 대작은 몇이나 되는가? 물론 스크린쿼터가 작품성 있는 영화들을 보호해왔다는 것은 아니다. 저예산 영화와 독립영화는 언제나 배고팠다.
다만 스크린쿼터는 그나마 그런 저예산 영화들이 관객과 접할 실낱같은 기회를 제공해주는 장치였다. 스크린쿼터가 축소된 뒤의 광경은 어떨까? 평균 영화 제작 예산보다도 낮은 예산을 들이고 광고에서도 '태풍'과 '킹콩'에 월등히 밀린 '왕의남자'가 흥행할 일은 없었을 것이다. 개봉 의무일수를 채우지 않아도 되는 영화관에선 단 1주일간의 흥행 성적을 보고 단숨에 개봉관을 '태풍'이나 '킹콩'으로 바꿨을 것이다. 다시는 광고와 규모에서 밀리는 영화과 입소문을 타고 공감을 사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럼 결과는 뻔하다. 한국 영화계는 조폭영화의 붐과 같이 더욱더 말초적인 자극만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농업부분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일부 사람들은 한국 농업의 가격 경쟁이 떨어진 요인이 정부가 너무 감싸줘서 후진적인 농업기술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라 말한다. 정부가 농민을 감싸줬다?
이보다 어처구니 없는 발언은 없다. 정부가 젊은이들이 전부 떠나가고 노인들만 남아 피폐화되어가는 농촌을, 오직 서울로 향하는 기나긴 행렬의 뒤에 남아있는 총각들이 동남아에서 신부감을 찾는 농촌을 돌보기 위해 단 한번이라도 제대로된 정책을 세운 적이 있는가? 중요한 협상때마다 만만한것이 농민이었고, 제일 먼저 도마위에 오르는것이 농민들의 이권이었다. 오히려 미국, 유럽이 농산물들이 어마어마한 정부의 투자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여왔다.
제3세계의 싼 농토와 저임금을 무기로 내세워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것(델몬트, 돌등 유수 농기업의 농토가 왜 미국이 아닌 중남미에 퍼져있는지 상상해보라)은 그 두번째 이유이다. 농산물 개방시에 우리 농업이 이들의 가격을 따라잡으려면 정부가 훨씬 더 투자를 늘리거나, 아니면 노예에 버금가는 저임금으로 농촌일손을 꾸리는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이에 대해 정부는 품질개선이나 기술 선진화같은 애매한 소리만 늘어놓으며 대책을 못내고 있다. 결국 농업을 통째로 넘겨줄 심산이다. 농가가 피폐화되고 식량 자급률이 지금보다 더 떨어지는 상황이 과연 도마뱀 꼬리 잘라내듯 급하면 내줄만한 것인가?
FTA를 찬양하는 이들이 쉽게 무시해버리는 '신토불이'는 제쳐두더라도 식량은 유사시에 중요한 무기가 될수 있으며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억지 협상 체결로 얻은 어줍잖은 한미동맹 보다 몇배는 더 중요한 것이 식량안보이다. 또한 가뜩이나 확산되는 빈곤과 양극화로 터져나오는 사회적 불만도 컨트롤하지 못하는 이 시점에 파산하여 농업을 포기하게될 400만 농민은 어떻게 구제할 것인가?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0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