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국가 소개, 경제발전, 산업정책, 최근 경제 동향, 성공요인, 경제 위기, 해법, 한국과 비교분석, 공통점, 차이점, 특징, 경제적 효과, 역할, 방향, 시사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대만 국가 소개


Ⅱ. 대만 경제 발전

1. 대만의 산업정책 4단계
2. 최근 경제동향
3. 결론


Ⅲ. 대만 경제 위기 및 해법

1. 첫 번째 위기
2. 두 번째 위기
3. 세 번째 위기


Ⅳ. 대만과 한국의 비교분석

1. 대만과 한국의 공통점
2. 대만과 한국의 차이점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불구하고 이들 제품 자본 등의 수입대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 된다. 한국과는 달리 대만의 자본재의 수입비중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것은, 자본재의 수입대체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영 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4. 한국 및 대만의 물가
한국과 대만경제의 보다 중요한 차이는 대만의 인플레이션율이 한국보다 훨씬 낮았다는 사실이다. 양국의 경제 성장률은 거의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율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 데에서 양국의 경제정책의 기본입장의 창이에서 연유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한국경제정책의 기본입장은 경제성장에 최우선을 둠으로써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물가를 어느 정도 희생시킬 수도 있다는 인식에 저변에 흐르고 있었던 데 비해서 대만 경제 정착의 기본입증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는 데 있다. 대만은 물가가 상승할 경우에 경제성장을 낮추더라도 물가를 억제하려는 물가안정 정착을 제일의 목표로 채택함으로써 잠재적으로 물가안정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지속정인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5. 한국 및 대만의 국제수지
70년대에 대만은 수출이 계속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국내저축이 투자를 상회함으로써 무역수지 흑자가 정착하게 되었다. 대만의 이러한 국제수지 흑자 추세는 80년대에는 더욱 확대 되었다. 한국은 대만과는 달리 70년대 무역 및 경제수지 적자는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수출이 급신장 할수록 수출의 유발계수는 높음으로 수입도 급증하였으며, 중화학공업에 지나친 투자를 함으로써 투자수요가 국내저축을 크게 초과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대만
한국
경제정책
선 안정 후성장
중소기업 위주의 성장
고금리정책
선 성장 후안정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저금리정책
산업구조
중소기업 수출 위주
대기업 수출 위주
무역구조
1)수출구조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홍콩, 중국 등으로 수출
중소기업 수출 위주
선진국-->동남아 및 중국 등으로 수출
대기업 수출 위주
2)수입구조
자본재의 수입비중 감소
소비재의 수입 증가
관세율 하락
자본재의 수입비중 증가
소비재의 수입 비중 감소
물가
인플레이션율이 한국보다 낮음
경제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민감
인플레이션율이 대만보다 2배
경제정책이 성장에 최우선
국제수지
수출 및 국내 저축의 증가-무역수지 흑자 정착.
수출의 증가와 함께 수입의 증가, 투자가 국내 저축을 초과-무역수지 적자
Ⅴ. 결론
대만은 2차 대전 이전에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고, 주변에 공산권 국가가 있기에 미국의 국방과 경제 원조를 받으면서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양국이 모두 협소한 국토에 높은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자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사회적 배경으로는 유교적 윤리관을 공유하고 있으며 근면하고 높은 교육열과 함께 양질의 노동력을 풍부하게 가지고 수출지향 공업화 정책을 실시하여 대만은 획기적인 생산 및 수출증가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한국과 많은 부분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만과 한국은 경제발전 면에서도 수입대체공업화, 수출확장기, 수입대체 및 수출확장기, 기술집약형 산업개척기와 같이 4단계로 경제를 발전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한국은 선 성장 후 안정이라는 이념위에 중화학 공업화 정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을 배제하고 주로 대기업위주로 추진하였지만, 대만의 중화학 공업화 정책은 선 안정 후성장이라는 이념위에 경공업과 중화학 공업이 상호보완적 관계 하에서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기에 경제력 집중 문제에 자유로운 편입니다.
또, 대만은 고금리정책으로 자본을 축적시키고 투자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공헌을 하게 되었지만 한국은 저금리정책으로 자금의 수요에 대한 초과수요를 만성적으로 겪으면서 신용배급에 따른 비효율이 뒤따르게 되었습니다.
대만이 경제발전을 이룩해 오면서 수입대체공업화의 한계로 인한 시장의 포화, 부정부패, 국제수지 약화, 그리고 석유파동에 의한 고유가, 세계 경제 환경의 변화라는 대외적 요인, 아시아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를 겪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공개시장조작정책과, 고금리로 시중의 자금을 저축으로 유도하여 인플레이션을 효과적으로 방어 할 수 있었고, 다른 국가들이 보호무역을 추구할 때 오히려 수입가격 상승에 대비하여 개방화를 확대해서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었습니다.
또한 경험이 풍부한 금융인재와, 튼튼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아시아 금융위기에도 비교적 큰 타격을 입지 않고 슬기롭게 해쳐 나갔습니다.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대만, 한국, 홍콩, 싱가포르 중에서 도시국가인 홍콩과 싱가포르를 제외한 대만과 한국은 국가규모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GDP 측면에서도 경쟁구도를 펼치고 있습니다.
한편, 8년동안 민진당이 집권해 왔던 대만이 국민당의 마잉주 총통으로 정권이 새로이 교체됨으로써 중국 본토에 대한 규제를 탈피하고 많은 부분에 있어서 경제협력에 동의함으로써 앞으로 민간 및 국가간에 교류가 확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은 여태까지 하나의 중국으로 통합되기 보다는 하나의 대만으로 독립하기를 원하고 있었지만, 2001년 이후 계속 되는 마이너스 성장과 높은 실업률로 인하여 중국으로부터 실리를 추구하자는 입장의 변화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래없는 투자와 교류가 급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이는 대만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작용 할 것입니다.
아시아의 맹주자리를 놓고 대만과 한국이 앞으로 어떻게 성장할지 그 기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Ⅵ. 참고문헌
김 향, 『동아시아를 만든 열 가지 사건 :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이 함께 읽는 근현대사』
창비, 2008
굴화생, 정촌철,『일본 자본주의와 한국·대만 : 제국주의 하의 경제변동』전통과 현대, 2007
임장선, “ 한국과 대만의 수출구조 비교분석” 성균관대학교, 1981
온세인, 『금융위기 이제 시작이다』, 두비출판, 1998
조준현,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국가』, 신지서원, 2001
김대환, 『동아시아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전환』, 한울,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7.08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