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산업의 역사, 성장과정, 문제점, 극복 방안, 개념, 특징, 경제적 효과, 문화를 발전, 경제 발전, 개발, 경제적 가치, 전략, 특징, 역할, 발전 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시장의 성장 과정

Ⅲ. 문제점(한계)과 극복 방안

Ⅳ. 발전 방향 모색

Ⅴ. 결론

Ⅵ.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의 인식도 좋아진다는 것이 그 이유로 작용한다.
배우 수 자체의 부족이 스타 캐스팅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스타 배우의 부족이다. 현재 유명한 뮤지컬 배우들 중에서 ‘매진’을 가져오는 배우는 조승우와 시아준수 뿐이다. 회당 1500만원을 지급받은 조승우와 러닝개런티로 계산된 모차르트 출연료가 회당 3000만원 수준이었다는 것이 밝혀진 시아준수의 개런티가 언론에 의해 크게 보도되자, 비교적 티켓파워가 약한 기존 뮤지컬 배우들의 개런티 인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제작사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국 일반 뮤지컬 배우의 티켓 파워 부족을 만회하기 위해 투입한 스타 캐스팅이 일반 뮤지컬 배우의 개런티 인상 요구를 가져온 것이다.
4. 인프라 구축 미흡
배우의 부족 뿐만 아니라 연출가, 음악감독, 무대·조명·음향 디자이너 등 스태프들의 사정을 살펴보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전문 스태프를 양성하는 데는 배우보다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그래서 이름있는 스태프 몇몇이 국내에 올라가는 모든 뮤지컬의 무대와 조명, 음향을 맡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이들 중에서도 뮤지컬의 문법을 체화한 이는 드물다. 대부분 연극이나 오페라, 무용 등 인접 장르에서 뮤지컬로 옮겨온 터라 제작현장에서도 혼란이 빚어지기 일쑤다.
뮤지컬 전용공연장의 미비도 발목을 잡는다. 브로드웨이나 웨스트엔드는 세계적인 뮤지컬 메카라는 상징적 공간인 동시에 공연장이 밀집되어 있는 실제 공간이기도 하다. 공연장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뮤지컬 애호가들에게 이곳에 가면 언제든지 뮤지컬을 볼 수 있다는 기대심리를 갖게 만든다. 일본만 해도 최대 극단인 시끼(四季)가 보유한 뮤지컬 전용극장만 여덟개이다. 반면 우리나라에는 작년에 개관한 샤롯데 한곳밖에 없다. 그런데 이곳에서 개막작으로 시끼의「라이온 킹」을 장기 공연하기로 결정하자 국내 제작사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제작비가 많이 드는 뮤지컬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장기공연이 필수적인데 그 기회를 해외 뮤지컬에게 빼앗겼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현재 문화관광부나 뮤지컬협회, 몇몇 지자체에서 뮤지컬 전용극장 건립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2, 3년 후에는 적어도 두세곳의 뮤지컬 전용극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5. 시장의 폐쇄성
현 시점에서 뮤지컬 산업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한계는 바로 ‘시장의 폐쇄성’이다. 이 때 시장의 폐쇄성은 소비자가 뮤지컬 관람에 이르기까지의 접근 장벽, 시장 내부에서의 종사자들이 가지고 있는 방어적·배타적 태도, 뮤지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총체적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배우의 부족, 흥행 불확실성을 이유로 한 스타 배우 캐스팅에 대한 선입견을 버려야 한다. 작품에 성실하지 못한 태도를 보이는 스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뮤지컬 배우로 성장해오지 않은 스타가 시장에 진입한다고 해서 ‘밥그릇 싸움’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뮤지컬 시장은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그 가치에 비해 아직 내부 시장의 규모는 매주 작다. 따라서 내부 시장을 구성하는 배우진, 연출진들의 스타 배우 캐스팅에 대한 선입견은 버려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고도소비사회로 접어들면서 뮤지컬이 문화생활의 영역에 존재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고급소비문화에 속한다. 따라서 대중가요를 소비하는 패턴처럼 일반화되기는 어렵다는 소비자의 접근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Ⅳ. 발전 방향 모색
우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우리의 감성에 맞는 콘텐츠 제작이 중요하다. 투자개발제작비를 충당하기 위해 시아준수와 같은 엄청난 티켓파워를 지닌 스타 캐스팅이 불가피하다면, 작품성을 확보하여 흥행과 작품성을 동시에 가져야 스타가 없더라고 흥행에 성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대구가 뮤지컬 도시로의 성장을 위해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공연하는 뮤지컬의 확보에 급급할 뿐 시설 보충 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하다. 또한 많은 뮤지컬들이 뮤지컬 공연장의 부족으로 인해 대관 일정에 맞추느라 다른 요소들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하지 못하는 측면이 강해 시설의 보충은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폐쇄성을 극복해야 한다. 장르간 혼합, 다른 영역에서 진출한 배우에 대한 배타성 극복은 현재의 스타 캐스팅 활성화와 관련하여서도 반드시 극복해야 할 부분이다.
무엇보다도 뮤지컬 산업을 관광 콘텐츠로서 개발해야 한다. 국내 작품의 브로드웨이 진출은 라이선스 수익금 등을 창출할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짚고가야 하는 것은, 국내 작품의 브로드웨이 진출의 목적이 대부분 ‘역수입을 통한 흥행’에 있다. 브로드웨이 진출의 성공 여부에 상관 없이 진출 그 자체로 화제를 가져와 국내 흥행에 영향을 미치므로, 브로드웨이 진출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한 브로드웨이 진출로는 국내 뮤지컬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데에 분명히 한계가 있다.
21세기의 한국적 공연으로서의 색을 지닌 국내 창작 뮤지컬을 역사적 공간과 연계한 관광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당장의 수익 창출과 화제성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공연이 보장되는 이점을 가진다. 실제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65% 이상의 관객이 관광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통계에서 알 수 있듯, 작품 흥행성을 관광객으로부터 충분히 보장받을 수 있다.
Ⅴ. 결론
2011년 1분기가 지난 현 시점에서, 그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한 뮤지컬 시장의 성장 과정과 한계, 극복방안을 차례로 살펴본 뒤, 하나의 문화산업으로써 문화 콘텐츠로의 발전 가능성과 그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뮤지컬 산업은 문화산업으로써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산업 영역에 속한다. 현재 가지고 있는 한계를 잘 극복한다면 엄청난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Ⅵ. 참고 자료
21세기의 한국적 공연이란 무엇인가 (장정희)
대구시 뮤지컬 산업 발전방안 (대구경북연구원)
브로드웨이는 어떻게 한국 뮤지컬의 정전이 되었나 (최승연)
흥행 불확실성에 따른 국내 뮤지컬 산업의 흥행 전략 (전병준, 윤민정)
한국 뮤지컬의 변천과 뮤지컬 의상의 특성에 관한 고찰 (김희정)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7.09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