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의 기법과 사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의 기법과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야기치료란?
2. 이야기치료의 사상적 배경
3. 이야기를 통한 치료의 가능성
1) 이야기의 변화 가능성
2) 이야기하기의 치유성
4. 이야기치료의 기법
1) 해체적 경청
2) 문제를 외재화 시키기
3) 문제의 내력 탐구
4) 문제의 영향력 탐구하기
5) 독특한 결과에 주목하기
6) 재 저작 대화
7) 회원재구성 대화
8) 인정의식
5. 이야기치료 질문기법
1) 문제의 외재화
2) 문제의 이야기와 상반되는 독특한 성과를 찾아내기
3) 재 진술을 통한 이야기 풍부화
4) 인정(증인) 의식
6. 이야기치료의 방법
1) 1단계 : 자신의 문제 이해, 문제로부터 분리
2) 2단계 : 문제의 객관화
3) 3단계 : 독특한 결과의 발견
4) 4단계 : 대안적 이야기 구성하기
5) 5단계 : 대안적 이야기 굳히기(인정의식과 증인들)
7. 이야기치료의 사례
1) 주인공(an action/action field)
2) 주인공과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담론들(Background)
3) 우리만의 공간(Development)
4) 만화 그리기

참고자료

본문내용

우 대면해서 대화하는 것을 어려워하여 식물, 난초를 이용하기도 했다.
다음 시간에 전개될 만화 이야기를 치료자는 상상하며 기대감을 드러내 줬다.
매 회기 마다 만화 그리기 기법을 하나씩 가르쳤다. 그 이유는 그림 기술의 발전을 통해 아동 자신이 자신의 손작업에 대해 자긍심을 갖게 하며, 이것은 아동의 정체성 강화에 도움이 된다.
대안 이야기 만들기, 대안 등장인물 창조하기 등은 아동의 창조성을 자극하고 도와준다.
가족과 함께 몇 번에 걸쳐 전시회를 연다. (spread the news)
만화 그리기는 아동 이야기와 그림 구성이 같이 가는 효과가 있다.
(3) 만화 성장 상담 계획표
프로그램
목표
비고
전초기 (약 4주)
마음대로 그리기
자신을 드러내기
설명하게 하기
초기(약 8-10주)
<문제 분리하기>
문제 상황 그리기
문제 이름 짓기
문제 생력 조사하기
문제 영향력 보기
문제의 약점 찾기
문제를 눈으로 보고, 문제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 배양
발표
주중에 전화해 주기
중기 (5-7주)
<문제의 대척점 찾기>
문제가 무서워하는 것 찾기
문제와 비슷한 것 이겨본 경험 찾기
문제 부서트리기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돕는다.
문제를 폭로하고, 가볍게 볼 수 있도록 돕는다.
발표
주중에 전화해 주기
말기
(내담자가
원할 때까지)
<대안 이야기 그리기>
대안 이야기 이름 짓기
대안 이야기 만들기 (풍부화하기)
대안 이야기와 함께 할 등장인물 찾기
대안 이야기와 문제 이야기 전쟁 그리기
대안 이야기 강화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
발표
문제 이야기와 연관 지어서 편지 해 주기
마치기
가족을 모두 모아 축하파티
선물
5) 상담 결과
(1) 상담 후속활동
공식적인 상담과정은 이미 만화 그리기로 맺음을 하였다. 그러나 그 후에 영어 배우기 과정에서도 미림이 엄마와 나, 그리고 영어 선생은 미림이의 대안 이야기를 살아가는 모습을 지지하고 격려해 주었다. 상담과정이 끝 난 몇 달 후에 미림이는 학교에서 영어구현 대회에 나가서 장려상을 받았으며, 도교육청 주관으로 각 학교에서 네 명씩 뽑는 영재교육반의 일원이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나는 2주에 한 번씩 총 6회에 결처 미림이에게 "상담 후속 편지"(Epston 1994; Freedman et al. 1997; Morgan 2000)를 써서 보냈다. 상담후속 편지의 내용은 미림이가 상담 과정 중에 나눈 이야기에서 나온 1) 독특한 수확물과 2) 나의 예상과는 다르게 미림이의 의외의 모습, 즉 문제와 대척되는 행동이나, 생각 등을 정리해서 보내주었다. 이것은 미림이 자신의 “역사적 이야기”이며, “자신의 동화”라고 할 수 있다(White & Epston 1990). 이야기는 현실을 기조로 해서 창작 된다. 그 창작물은 또 다시 현실을 추동해 낸다(김번영, 2007). 마찬가지로 미림이 자신의 동화는 자신의 현실의 반영임과 동시에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모방과 학습의 주요한 원천이 되기도 할 것이다. 그러므로 Freedman과 Combs(1997)는 상담편지가 내담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읽혀지고, 또 읽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Epston (1994) 또한 상담후속 편지를 “대화를 확장하는 것(extending conversation)"이라고 하면서 그 유용성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대화란 하루살이같이 쉽게 사라지지만 편지라는 속성 그 자체는 대화와 같지 않게 시들거나 사라지지 않는다. 도리어 시간과 장소의 벽을 뛰어넘어 상담 결과물들의 증언자가 되어 주고, 더 나아가서 지지자가 되어 준다.” (p. 31)
(2) 상담 후속결론
이 보고서는 앞에서도 밝혔듯이 미림이의 대안이야기를 통해 아스퍼거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대해 어떤 가설을 증명하거나, 이론을 세우려했던 것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미림이의 대안이야기가 어떤 결론이 될 수 없다. 다만 아스퍼거라는 이야기에 가려진 미림이의 더 많은 이야기들, 즉 강점, 또 다른 정체성, 가족 이야기 등과 같은 것들을 드러내고, 확인하여, 미림이가 대안 이야기를 살아 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김번영, 2010).
이런 도움의 과정 속에서 미림이가 보인 행동이나 특성들은 기존의 연구자들의 보고들과 많은 유사성을 보이기도 했다. 어떤 면에서는 현상학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기도 했으며, 정신역동적인 흔적과, 인과론적 요소가 드러나기도 했다. 어떤 면에서는 그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가족력의 문제처럼 나타나기도 했다. 특히 미림이의 엄마의 성향과, 어린 시절 이야기는 Tustin의 심리생물학적 입장에서의 타고난 행동양식으로 보는 관점을 뒷받침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미림이의 이야기가 발전되어가면서 볼 수 있었듯이, 아스퍼거 이야기는 미림이의 전체적 삶을 규정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닌 부분적 이야기이며, 결핍된 이야기에 불과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결핍된 이야기가 미림이의 정체성과 삶을 규정하고 있었으며, 미림이의 모든 행동양식을 이 이야기로 해석했던 것이다. 그러나 미림이의 대안 이야기는 미림이의 또 다른 정체성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앞으로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할 것이며, 행동양식의 지도역할과 안내자 역할을 할 것이다. 즉 미림이의 대안 이야기는 미림이의 행동전망과, 정체성을 전망할 수 있도록 안내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시도한 만화 그리기 활동과 인식론적 틀인 이야기접근법은 아스퍼거 장애라고 하는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에게 유용하다. 또한 이 이론에 근거한 이야기치료는 아동 치료를 보다 폭 넓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고미영, 이야기치료와 이야기의 세계, 청목출판사, 2004.
김번영, 아스퍼거 증후군 여아의 만화그리기를 통한 이야기치료 사례, 한국영.유아 아동 정신건강학회,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2010.
김춘경, 아동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김혜경,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논문, 2008.
양유성, 이야기치료 : 이야기를 통한 인간이해와 심리치료, 학지사, 2004.
  • 가격2,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9.10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