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어어휘사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상용어의 변화 양상
Ⅲ. 상용어의 연구 방법
Ⅳ. 연구의 의의
Ⅴ. 연구의 문제점
Ⅵ. 맺음말

본문내용

는 呂叔湘과 王力의 견해를 예로 들어 근대한어의 시기를 唐宋에서 明淸까지 이 시기 한어의 발전과 현대한어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나, 이 시기의 연구가 비교적 미비하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고 하였다. 또한 이 시기 한어의 특징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면, 근대한어의 시기 구분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漢語史 시기 구분의 기준을 무엇으로 삼느냐에 따라 이견이 있지만, 구체적인 구분에 있어서는 상고중국어와 현대중국어는 대체로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 반면 위의 경우와 같이 그 시점을 어느 시기로 삼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상으로 漢語語彙史의 상용어 연구에 있어서 문제시되는 방언, 문체, 소재, 작가의 풍격 및 언어관, 시기 구분에 관한 고찰 결과, 상용어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연구대상의 객관성임을 인식할 수 있다.
Ⅵ. 맺음말
漢語語彙史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적 측면에서 살펴 본 상용어의 변화 양상은 1.의미항목의 확대 및 축소와 전이, 2.의미항목의 삼투현상 및 동화, 3.품사의 변화, 4.음절 및 음운의 변화, 5.단어의 생성 및 소멸과 교체 따위로 나타난다.
通時的 측면에서 살펴본 상용어의 연구 방법은 1.통시적 연구(通史性 혹은 歷史性) 2.시대별 연구 3.문헌 및 문학작품에 쓰인 상용어 연구 4.단음절어를 단위로 한 연구 5.동의어군을 단위로 한 연구 6.어휘장(語義場)을 단위로 한 연구 7.통계에 의한 연구 8.단어 조합관계에 의한 연구 9.의미항목의 변천 연구 10.단어의 생성시기 연구 따위가 있다. 기존의 개체연구는 어느 한 단어의 생성 시기 및 서사형식의 변화, 품사 변화를 중심으로 한 개체연구에 불과하다. 2.―10.의 연구방법은 共時性을 띠고 있으며, 1.의 연구방법을 완성하기 위한 선행 연구방법이다. 通時的 연구방법은 공시적 방법을 점점 넓혀감으로써, 객관적 통계 또한 산출할 수 있으므로, 완벽하면서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漢語語彙史의 건립을 위해선 무엇보다도 共時的 연구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의 의의는 1.과학적 漢語史 건립 2.시기별 語文 사전 및 통시적 漢語語文 사전류의 편찬 3.한어 어휘에 대한 敎學 4.고문헌에 대한 정리 5.어원 탐색 따위를 들 수 있다.
연구에 있어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으로는 1.방언, 2.문체, 3.소재, 4.작가의 풍격 및 언어관, 5.시기 구분 등이 있다. 이 다섯 가지 문제점은 상용어 변화 양상의 정확도를 결정짓는 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문헌 및 문학작품을 통한 상용어 선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어휘 변화에 대한 연구는 그 서사적 형식의 변화 및 품사 변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새로 생성된 의미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 또한 미비하게나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通時的 측면에서 볼 때, 상용어의 서사형식의 변화, 품사의 변화, 의미생성 또한 중요하나, 이외에도 어떤 단어의 의미항목은 어떻게 어떤 원인으로 인해 확대축소전이되는가에 대한 연구도 선행되어야 한다. 완벽하면서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漢語語彙史 건립이란 대 과제 수행을 위해, 문자음운뿐만이 아니라 의미적 측면의 연구 또한 광범위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參考文獻】
劉堅江藍生 主編, ≪唐五代語言詞典≫, 上海敎育出版社, 1997
≪宋語言詞典≫, 上海敎育出版社, 1997
―――――――― , ≪元語言詞典≫, 上海敎育出版社, 1997
蔣禮鴻 主編, ≪敦煌語言詞典≫, 杭州大學出版社, 1994
江藍生, ≪魏晉南北朝小說詞語彙釋≫, 語文出版社, 1988
董志翹, ≪中古文獻語言論集≫, 巴蜀書社, 2000
北京大學中文系≪語言學論叢≫編委會編, ≪語言學論叢≫第二十一輯, 商務印書館北京, 1998
王 力, ≪漢語詞彙史≫, 商務印書館北京, 1993
―――, ≪古代漢語≫第一二三冊, 中華書局, 1999
王云路方一新 編, ≪中古漢語硏究≫, 商務印書館, 2000
李宗江, ≪漢語常用詞演變硏究≫, 漢語大詞典出版社, 1999
蔣紹愚, ≪古漢語詞彙綱要≫, 北京大學出版社, 1992
―――, ≪近代漢語硏究槪況≫, 北京大學出版社, 1996
―――, ≪蔣紹愚自選集≫, 大象出版社, 1999
蔣紹愚江藍生, ≪近代漢語硏究≫, 商務印書館北京, 1999
張振德宋子然, ≪“世說新語”語言硏究≫, 巴蜀書社, 1995
浙江大學漢語史硏究中心, ≪中古近代漢語硏究≫, 上海敎育出版社第一輯, 2000
江藍生, 槪數詞 “來”的歷史考察, ≪中國語文≫, 第2期, 1984
―――, 被動關係詞“吃”的來源初探, ≪中國語文≫, 第5期, 1989
郭在貽, 古漢語詞義札記, ≪中國語文≫, 第2期(總第149期), 1979
郭錫良, 介詞“于”的起源和發展, ≪中國語文≫, 第2期, 1997
―――, 介詞“以”的起源和發展, ≪語言文字學≫, 第6期, 1998
董志翹, 近代漢語代詞札記, ≪中國語文≫, 第5期. 1997
董希謙馬國强, 敦煌變文詞義商, ≪中國語文≫, 第6期, 1991
方一新, 東漢語料與詞彙史硏究芻議, ≪中國語文≫, 第2期, 1996
汪維輝, 先唐佛經詞語札記六則, ≪中國語文≫, 第2期, 1997
―――, 常用詞歷時更替札記, ≪語言文字學≫, 第3期, 1999
姚振武, 朱子語類詞語雜釋, ≪中國語文≫, 第6期, 1993
勞 寧, 語助詞“看”的形成時代, ≪中國語文≫, 6月號(總第116期), 1962
劉百順, 漢魏六朝“年”(歲)“月”“日”的表達, ≪中國語文≫, 第6期, 1997
劉世儒, 魏晋南北朝稱量詞硏究, ≪中國語文≫, 3月號(總第113期), 1962
―――, 魏晋南北朝動量詞硏究, ≪中國語文≫, 4月號(總第114期), 1962
兪理明, 從佛經材料看六朝時代的幾個三身稱謂詞, ≪中國語文≫, 第2期, 1990
王 鍈, 關於“睡覺”成詞的時代, ≪中國語文≫, 第4期, 1997
王卯根, “阿母”最早見於≪史記≫, ≪中國語文≫, 第5期, 1991
張涌泉, 敦煌文書疑難詞語辨釋四則, ≪中國語文≫, 第1期, 1996
張永言汪維輝, 關於漢語詞彙史硏究的一點思考, ≪中國語文≫, 第6期, 1995
張淸常, 漢語的時間詞“禮拜”“星期”, ≪中國語文≫, 第6期, 1993
朱慶之, 試論佛典飜譯對中古漢語詞彙發展的若干影響, ≪中國語文≫, 第4期, 1992
  • 가격3,000
  • 페이지수8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7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