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매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정승찬씨는 "판단은 시청자의 몫, 시청자를 오도하지 말라"고 했다. 안규영씨는 "조선일보에 편향적인 보도가 있었다면, MBC의 방송도 조선일보에 대한 비방과 현 정권에 유리한 방송을 한 것 또한 사실"이라면서 "KBS 또한 자유롭지 못한데 두 매체의 싸움에 끼어들면서 마치 가제가 게 편을 드는 듯한 인상을 줘 공영방송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더 비판하십시오, 그래야 조선도 변화합니다" 등의 KBS 지지 발언도 있었다.
'시사투나잇'은 "시청자가 매일 사건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세상 만들기의 주체로서 시민사회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스스로 밝히고 있다.
신동흔 기자 dhshin@chosun.com
최승현 기자 vaidale@chosun.com
3. 언론개혁 아젠다 바꾸기
중앙일보 2004. 7. 2
" 공영성 강화와 정치적 독립성 확보"
한국 공영방송의 개혁 방향은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MBC의 자산은 약 2조 2000억원으로 한국 재계 49위. 대기업 반열에 올랐기 때문에 상호출자 제한을 받는다. 또 KBS의 경우 매출액은 MBC의 두 배 수준이다. 한국 공영방송의 규모를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러나 한국의 공영방송이 덩치 만큼 확실한 신뢰를 받지 못해 온 것도 사실이다. 과거엔 '땡전 뉴스'라는 오명까지 있었고, 최근에도 편향성 시비에 시달리고 있다. 돈 쓰는 게 너무 느슨하다는 지적도 많다. 특히 지난 5월 감사원의 KBS 특감 결과가 발표되면서 더이상 개혁을 늦출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상태다. 학계.시민단체 등은 잇따라 세미나를 열고 공영방송 개혁 방안을 논의했다.
◆"정치적 독립이 선결 과제"="(시중 담론과는 무관하게)신문.방송 개혁 중 굳이 중요도를 따지자면 미완의 방송개혁을 완성하는 쪽이 훨씬 더 중요하다. 감사원이 지적한 부정적 유산들 미련 없이 털어내야 한다."
지난달 3일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주최로 열린 'KBS 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에서 김동민 한일장신대 교수가 발제한 내용이다. 그는 KBS의 공영성 강화와 정치적 독립성 확보를 주요 과제로 꼽았다. 개혁이 완성된 토대 위에 수신료를 현실화해 광고 수입의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특히 김 교수는 정치적 독립성 확보와 관련, 정치권이 방송을 통제하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KBS 사장 임명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5월 '가톨릭 포럼'에서도 비슷한 주장이 나왔다. 강동순 KBS 감사는 공영방송의 사장 선임에 정부 영향력이 가장 큰 구조에서 중간 간부들이 무력해져 '게이트 키핑'(기사취사 선택 과정 ) 기능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종의 '자아비판'인 셈이었다. 정윤식 강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역시 "공영방송은 국가가 아닌 시민사회가 소유.인사.규제권을 가진 방송제도"라며 "사장은 국회의 동의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안한다.
◆방만 경영 극복해야=감사원은 특감을 통해 KBS의 경영상 비효율성을 낱낱이 공개했다. <그래픽 참조> 이사회가 경영을 실질적으로 감독할 수 있도록 경영 회계 전문가를 포진시키고 감사를 사장과 버금가는 위상으로 격상시키는 등 대안도 제기했다. 이와 관련, 전북대 김승수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객관적인 외부 회계기관으로부터 감사를 받는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방송 구조 개편 의견도=공영방송에 대해선 그동안 프로그램의 질을 둘러싼 비판도 많았다. MBC와 KBS-2TV의 경우 오락성과 선정성 면에서 상업방송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방송 구조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자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윤호진 박사는 "다공영.1민영 제도는 세계에서도 희귀한 구도"라며 '다공영.다상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IV. 요약 및 제언
중앙일보에 언론학 박사가 전문기자로 배치된 이외에 다른 매체에서는 유사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 반드시 언론학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전문기자로 양성하려는 정책 자체가 부족하다. 대개 1~2년 간격으로 로테이션을 함으로써 전문성을 축적할 수 없게 돼 있다. 이 점은 한겨레신문이 특히 문제로 지적될 만하다. 동아와 조선의 경우 미디어 전문기자를 1명씩 고정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적으로 들어가면 전문기자로서의 자율성을 발휘하지는 못한다. 오히려 그 전문성이 위에서 열거한 공영방송 공격과 자사 매체 방어에 첨병으로 동원되는 경우가 훨씬 많은 것이다. 조선 동아의 경우 미디어 면이 당초 정치적 정략적 목적으로 정기화 되었으며, 지면을 사유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풍토에서 전문기자의 설 땅은 좁을 수밖에 없다. 물론 이것을 사주 및 구조 탓으로 돌리며 면피할 수는 없다. 이들이 신념화하여 적극적으로 당파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전문기자로서의 위상은 스스로 확보할 수밖에 없다.
한겨레와 경향은 당파성 보다는 매체비평의 본령을 지키려고 하는 원칙에 충실한 편이다. 공정성과 객관성의 원칙에 어긋나는 보도의 문제를 지적하는 한편으로 언론개혁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언론계 현안 및 정보, 그리고 언론관련 토론회 등의 내용을 전달하려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조선과 동아는 정치지형의 현실을 반영하면서 이데올로기적 첨병으로서 전투를 치르듯이 미디어 면을 활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중앙은 어느 정도 냉정함을 유지하면서 전문성을 활용하려 하지만, 결정적 순간에는 조선 동아와 보조를 같이 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언론이 정치환경의 현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언론의 역할이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에 있다는 원칙에 유념하면서, 타 매체들이 그러한 역할에 충실한지 상호 감시하고 비판하는 것은 매우 건설적이고 중요한 일이다. 여야를 떠나 정치권력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언론의 본분에 충실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 원칙에 충실한지 스스로를 돌아볼 뿐 아니라 타 매체의 지적과 비판도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