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의 전통과 현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마의 전통과 현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치마의 전통과 현재
1. 치마의 전통과 현재
2. 무릎 위 15cm 단속까지
3. 장발·청바지는 저항의 상징
4. 핀컬파마는 문제학생 스타일
5. 50년대 복고풍 다시 유행
6. 최신 흐름은 메트로 섹슈얼
7. 미니스커트의 진실 윤복희 (가수)
8. 기차표·왕자표 고무신의 추억

Ⅱ. 전통과 현대의 의복생활의 변화
1. 옷의 기원
2. 삼국시대의 옷치레(복식)
3. 고려시대의 옷치례
4. 조선시대의 옷치레

본문내용

고리를 입고 있는데 저고리 위에 허리띠를 매어 간단히 하고, 머리에는 수건이나 삼각형태의 고유의 모자 ‘절풍(折風)'을 썼으며 장화처럼 생긴 목이 긴 신발을 신고 있다. 이러한 일상적인 옷차림은 상당히 활동적이어서 씩씩하고 호전적이었다는 그들의 기질을 잘 나타내준다. 고구려 여인들도 평상시에는 남자와 같은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신발도 남자의 것과 같은 형태의 것을 신었는데 의례가 있을 경우에는 바지 위에 치마를 덧입어 아름다움을 나타냈다.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활동적이고 기능적인 옷치레와 신라의 독창적이고 화려한 금속공예의 몸치레, 거기에다 기혼녀와 미혼녀의 구별이 있는 백제의 엄격한 사회윤리관념을 종합해 보면 삼국시대의 복식은 기능성에 중점을 둔 군복 형태의 복장이었으며, 필요에 따라 장식을 가하여 아름다움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률적인 복식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고름의 등장은 삼국유사에서 김유신과 김춘추가 공을 차다가 김유신이 김춘추의 고름을 떨어지게 하고 말하기를 '집에 들어가서 옷고름을 답시다'와 같은 표현을 한 것으로 보아 옷고름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3. 고려시대의 옷치례
치마 저고리 이조년상
(이인문의 '미인도')
고려말기 문신복의 일종이다. 홍색의 포는 직령이고, 소매가 좁은 편이다 고려 초기에는 신라 의복제도를 답습하였으나 광종 때 송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아 백관의 공복을 정하여 의복에 따라 계급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 후 충렬왕 4년에 원나라 의복제도를 따르고 공민왕 19년에는 원나라 복식을 폐하고 명나라 제도로 바꾸었으며 우왕(1374~1388)때에는 명나라와 원나라 제도를 혼용하다가 공양왕 3년(1391)에 다시 명나라 제도로 바꾸었다. 문희귀한도에 나타난 상의의 형태는 근세의 저고리와 같이 길이가 짧은 것을 볼 수 있다. 고려 말 원의 복속 이후로 여자의 저고리는 길이가 짧아지고, 허리에 매던 띠(대:帶)대신 고름을 달았다. 물론 저고리 길이가 짧아져서 띠가 필요없고 저고리 앞을 여미기 위해 고름이 필요했다고 생각된다. 또 이 시대에 저고리의 깃, 도련, 수구, 끝단에 대던 선이 없어졌고 동정이 등장하였는데 동정은 아마 선의 유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4. 조선시대의 옷치레
누비삼회장저고리
(1700년대)
문단삼회장저고리
(1780년대)
명주삼회장저고리
(1900년대)
※ 사진을 보면 근대로 오면서 저고리의 기장이 짧아진 걸 알 수 있다.
조선초의 복식은 몽고와 명나라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저고리 즉 적고리(赤古里)라는 용어가 쓰여진 것은 조선 초 세종 때이다. 조선 중기에 있어서는 저고리의 길이는 전기에 비해서 점점 짧아지고 깃에 있어서는 초기의 목판 깃에 비해서 다양한 저고리의 깃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조선 말기에는 저고리의 길이가 중기에 비해서 절반 정도로 짧아졌으며 품도 좁아졌다. 저고리의 구성상 더 이상 짧아질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 허리를 가리지 못하여 겨드랑이가 다 보일 정도였으므로 이를 가리기 위해 한자 정도의 가슴 띠를 하였다. 조선조에 와서 고(袴)를 바지라 칭하였는데 이는 조선조 정인지가 파지(把持)라고 표현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남자의 바지는 상고시대 이래 큰 변화가 없었으며 고구려 벽화에서 보여주는 통이 넓은 바지(대구고:大口袴)와 통이 좁은 바지(궁고:窮袴)가 이어진 것으로 보이며 넓은 바지를 입을 때 허리에는 무명이나 삼베로 된 띠를 묶었다. 바지 부리는 헝겊을 소매부리처럼 만들어 정강이에 꿰어 위쪽에 달린 두 줄의 끈을 가지고 무릎아래로 동여매는 행전을 치게 되었는데 이런 행전의 출현은 바지통이 넓어서 보행이나 활동 시에 불편했기 때문이었다.

키워드

치마,   전통,   현대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1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