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이론적 고찰: 시대별 특성과 지역혁신체제이론
 1. 지역발전 패러다임이란
 2. 한국의 시대별 지역발전 패러다임 유형과 특성
  1) 1960-70년대
  2) 1980년대
  3) 1990년대
  4) 2000년 이후
 3.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지역혁신체제이론

Ⅲ.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본 참여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사례분석
 1. 신활력지역정책(행정자치부)
 2. 지역혁신특성화정책(산업자원부)
 3. 3대 균형발전정책(행복․혁신․기업도시)(건설교통부)
 4. 지역농업혁신클러스터정책(농림부)
 5. 지역특화발전특구정책(재정경제부)

Ⅳ.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와 개선방안
 1.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2.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에 순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성장지역에 대한 규제 및 억제나, 상대적 낙후지역에 대한 무조건적 개발 지원보다는 개별지역 고유의 잠재력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개성적인 발전전략이 필요하다. 즉 일부 지역의 성장을 희생하고 자원을 후진지역에 재배분(Zero-sum)하는 지역개발 정책에서 벗어나 전체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가치창출(Plus-sum)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고병호. (1994). 지역개발이론의 체계적 접근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6(2): 87-124.
권오혁. (2004). 지역혁신체계론의 이론적 전개와 정책적 함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 「응용경제」, 6(2): 5-26.
권오혁. (1995). 유연적생산의 공간적 거점으로 신생산지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0(4): 221-236.
김선배. (2001).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을 위한 산업정책. 「지역연구」, 17(2): 79-97.
김성배진영환. (2006). 분권형 지역발전체제구축: 정치경제학적 분석. 「국토연구」, 49: 55-76.
김영정. (2003). 「자립적 지방화와 지역혁신체제계의 구축」.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김용웅차미숙강현수. (2003). 「지역발전론」. 한울 아카데미: 서울.
김인중김영수김선배. (2001).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혁신체제 구축모형」.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444호.
김정호박문호김태연. (2005). 「지역농업클러스터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김태환. (2004). 지역발전을 위한 중앙-지방간 역할분담에 관한 연구.「국토연구」, 41: 37-52.
김혜천. (2003). 우리나라 지역개발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정책과제. 한국정책학회: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공동학술대회.
남봉현. (2005). 지역경제 발전의 새로운 모멘텀 창출. 「나라경제」, 2005(9월호): 50-53.
박형진. (2005). 혁신주도형 지역발전정책과 개선방안. 「국토」, 290: 14-23.
배응환. (2006). 지역혁신정책의 과거모형과 새로운 모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4): 47-76.
배준구. (2004). 참여정부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추진과제. 서울행정학회 하계세미나자료.
송영필박용규. (2005). 지역활성화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5년 4월.
엄기철. (1998). 국토환경의 변화와 공간정책의 흐름. 「국토」, 204: 60-67.
임기철·박동배 (2004). 「지역혁신체제의 거점 형성 및 활성화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오성동. (2000). 21세기 세계화시대의 지역개발전략. 조선대학교 「지역개발연구」, 5(1): 1-20.
유영휘. (1998). 「한국의 공업단지」.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이갑수김창수김영재. (2005).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경제이론과 유럽사례연구. 「경제연구」, 23(4): 209-241.
이장재. (2003). 지역발전과 지역혁신체제(RIS): 충남대학교 「지역개발논총」, 15: 77-95.
임원용. (2004). 포항의 지역혁신체제구축 전략과 과제. 「대은경제리뷰」, 2004년 4-5월: 26-39.
임종인. (2003). 산업단지비전과 전략과제. 「산업입지」, 11: 13-20.
장준경. (1999). 「개방화에 따른 지역개발정책의 방향」. 한국개발연구원.
조명래. (1995). 지역개발학의 패러다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7(2): 51-67.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5). 「2005년도 국가균형발전시행계획」, 서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업자원부. (2006). 「2006 지역혁신특성화사업 설명자료」. 서울: 산업자원부.
Andersson, M. & Karlsson, C. (2004). A Model of Growth Through Creative Destruction. Econometrica. 60: 323-351.
Capello, R. (1996). Industrial Enterprises and Economic Space: The Network Paradigm. European Planning Studies. 16: 386-409.
Cooke, P. M. & Uranga, G. Exebarria (1998).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Research Policy. 26: 475-491.
Etzkowitz, H. & Leydesdorff, L. (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 109-123.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The Free Press.
Kuhn, T.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U.S.A.
Poter, M. (1998). Cluster and New Economics of Competitiveness. Harvard Business Review. 76(6): 77-90.
이양수(李養秀) - 미국 University of Louisville에서 도시 및 정책분석(Ph.D in Urban & Policy Analysis, 1999)을 전공하고, 부산광역시 외자유치자문관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관심분야는 민자·외자유치정책, 도시정책 분석 등이며, 논문으로는 “NGO의 정책과정별 참여”(2004), “부산-경남-울산지역 외국기업의 투자결정요인 분석”(2005,), “한국적 사회자본이 주민의 정치참여행태에 미치는 영향”(2006) 등이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