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련 정리-02-한국교육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태련 정리-02-한국교육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 조선어학회와 함께 문자보급운동을 전개하였다.
6. 국외의 민족교육운동
1) 간도 지역의 민족교육운동
① 서전서숙(1906) : 고종의 밀사였던 이상설이 설립한 학교로 신학문을 통한 철저한 반일 민족교육을 지향했다.
② 명동서숙(1908) : 명동서숙은 1909년 명동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10년 중학교를 병설하여 간도지역의 대표적인 민족교육기관으로 성장하였다.
③ 신흥무관학교(1910) : 비밀결사인 ‘신민회’의 이동녕, 이시영 등이 설립한 신흥강습소가 발전한 것으로 무관양성교육을 했다.
④ 명동학교 이후 많은 학교가 설립되어 1916년 일제의 조사에 따르면 161개 학교에, 학생 수는 4,094명에 이르렀다.
2) 연해주 지역의 민족교육운동
① 계동학교(1907) : 블라디보스톡의 신한촌에 설립된 학교로 7-8세에서 12-13세 사이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문, 한글, 습자, 산술, 수신, 체조, 한국지리 등을 가르쳤다.
② 1925년 연해주 교육부의 조사에 의하면, 학교 수 180여 개에 학생 수는 8,000명에 이르렀다.
한국교육사54
미군정하 교육
1. 미군정기 교육의 전개
1) 미군정은 오천석의 추천으로 유억겸, 김성수 등으로 한국교육위원회를 조직했다.
2) 한국교육위원회는 교육문제 전반에 대한 심의와 결정을 하였고, 각 도의 교육행정 책임자의 인사문제도 다루었다.
3) 1945년 11월 23일 군정청 학무국 산하에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하여 해방 후 한국교육의 정초를 다지는 작업을 하였다.
2. 미군정의 교육방침
- 한국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미군정청은 1945년 9월 22일 당면한 교육 방침을 결정하였다.
1) 일반방침
① 교육제도의 법규는 금후 실시해 나갈 교육정신에 저촉되지 않는 한 당분간 현실대로 하되, 일본주의적 색체에 관한 일체의 사항을 말살함
② 평화와 질서를 당면의 교육목표로 함
2) 교육상 유의할 점
① 투쟁과 혼란을 지양하고 평화와 질서유지에 유의한다.
② 공론(公論)에 의하여 정당한 민의를 발양하는 공민적 자질을 적극적으로 연성한다.
③ 교육을 실천적으로 하여 공리공론에 떨어지지 않게 한다.
④ 예능을 중시하여 온아한 품성을 도야 한다.
⑤ 체육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강건한 기우를 함양한다.
⑥ 사대주의와 당쟁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3. 미군정의 교육개혁
1) 학제 개혁
① 일제의 복선형 학제를 단선형으로 개편했다.
② 학교계통을 학령전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특수교육의 5종으로 한다.
③ 교육연한: 6-3-3-4제에 따른 16년과 유치원 교육 및 대학원 각 2년을 합하여 총 20년
④ 중등교육을 초급과 고급으로 2분한다.
⑤ 전문학교제도를 순차로 폐지하고 이를 대학에 흡수시킨다.
⑥ 1년을 2학기로 하고 1학기를 9월부터 2월까지, 2학기를 3월부터 8월까지로 한다.
⑦ 남녀공학을 원칙으로 한다.
2)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① 국어 및 국사 교육의 강화: 일본식 교육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국어 및 국사 교육의 강화가 현저하게 두드러졌다.
② 교과서에는 상용한자를 1,000자로 제한하고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를 원칙으로 채택한다.
3) 교사양성
① 절대 부족인 교사 양성을 위해 각 사범학교에 강습과 혹은 임시 초등교사 양성과를 부설하며, 군정 첫 해에 5개, 이듬해에 4개의 사범학교를 증설했다.
② 중등교사 양성을 위하여 경성사범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를 합하여 경성사범대학으로, 대구사범학교를 대구사범대학으로 승격했다.
4) 문맹퇴치
① 군정 초기의 교육적 당면과제의 하나는 77%에 달하는 문맹자를 해소하는 것이었다.
② 이를 위하여 학무국에 성인교육과를 개설하고 전국적으로 국문 강습회 운동을 벌였다.
③ 한편 공민학교를 설치하여 학령을 초과한 아동을 수용하녀 기초교육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5) 의무교육의 실시
① 신교육제도의 도입 과정에서 가장 중점적인 노력이 기울여진 분야는 초등교육이었다.
② 초등단계의 전 학령아동을 취학시킬 계획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재정적인 어려움과 교사의 부족 등으로 인해 의무교육의 완전 실시는 이루지 못했다.
4. 미군정기 교육의 평가
1) 긍정적 측면
① 차별교육에서의 탈피: 미군정하에서 우리 교육은 제도적으로 과거 일제하에서의 차별교육, 불평등 교육으로부터 벗어나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었다.
② 국가 발전의 여건 조성: 특히 교육 수혜자의 확대를 위한 많은 과감한 정책들은 비록 지나친 교육열에 따른 부작용을 수반하기는 했으나 국가 발전을 위한 여건 조성에 기여하였음은 분명하다.
2) 부정적 측면
① 교육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 인구의 지나친 팽창
② 획일적 교육 제도의 채택에 따른 교육부문에서의 다양성 상실
③ 위로부터의 교육 개혁으로 인한 교육 부문의 관료적 통제의 만연
④ 외세 의존적 교육 엘리트 집단의 온존에 따른 교육 민주화의 지연
⑤ 교육내용의 서구문화중심주의
한국교육사55
미군정하 교육운동
1. 새 교육운동
1) 성격 : 새 교육운동이란 오천석이 주도가 되어 진행된 것으로, 민주주의 교육이념과 미국식 진보주의 교육방법을 도입하고자 한 교육운동이다.
2) 새 교육운동의 지향점
① 전통적 교육의 계급주의차별주의를 배격한다.
② 인간을 도구화하는 교육을 배격하고, 사람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을 지향한다.
③ 억압과 복종의 교육이 아니라 자유인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④ 획일주의 교육을 거부하고, 개인차와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을 지향한다.
⑤ 과거의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지식중심서적중심의 교육을 배격하고, 생활중심의 교육을 지향한다.
3) 새교육운동의 교육방법
① 교사중심 교육방법 → 아동중심 지도방법
② 주입식 교육 → 자발적 교육
③ 일률적 교육 → 개성 적응의 교육
④ 교과서 지상 → 경험 중심
⑤ 기억본위의 지도 → 생활본위의 지도
2.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운동
1) 성격 : 좌파에서 전개한 교육운동으로, 적극적으로 미군정에 반대하며 국민의 의식화교육을 실천하고자 했다.
2) 교육운동의 지향점
① 학제: 5-4-4제의 복선형 학제를 내세웠다.
② 교육과 정치를 연결을 주장하였으며, 정치노동과학교육이 교육의 주된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가격12,600
  • 페이지수69페이지
  • 등록일2012.12.03
  • 저작시기200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