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지가(樂志歌) _ 이서(李緖)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낙지가(樂志歌) _ 이서(李緖)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떤 사람이며, 나는 어떤 사람인가? 다 같은 사람으로 순은 성인으로 존경받는데, 나는 왜 그렇지 못한가?
-<수연(粹然)>: 순수하여 꾸밈이 없음
文王我師(문왕아사) 豈欺我哉(기기아재) 周公之道(주공지도) 大矣(대의)로다.
문왕아사 기기아재 주공지도 대의로다.
글월문, 임금왕, 나아, 스승사, 어찌기, 속일기, 어조사재, 두루주, 공변될공, 그것지, 말할도, 큰대, 어조사의
-<문왕아사기기아재(文王我師豈欺我哉)>: 주 나라 문왕은 나의 스승이신데, 어찌 나를 속이시겠는가?
-<주공지도대의(周公之道大矣)>: 주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을 단이라고 하는 주공이 나이 어린 조카를 보필하여 주 나라의 기틀을 잡아준 도리는 위대함
丘隅綿蠻(구우면만) 喚友鶯(환우앵)이 於止知其(어지지기) 所止(소지)니
구우면만 환우앵이 어지지기 소지하니,
언덕구, 모퉁이우, 이어질면, 오랑캐만, 부를환, 벗우, 꾀꼬리앵, 어조사어, 그칠지, 알지, 그기, 바소
-<구우면만환우앵(丘隅綿蠻喚友鶯)>: 나무숲이 무성하고 조용한 산 언덕이 줄줄이 뻗어 있는 데서 벗을 부르며 지저귀는 꾀꼬리들.
-<어지지기소지(於止知其所止)>: 그만두거나 머물러야 할 곳을 알고 그곳에서 멈춤.
天地中間(천지중간) 이 生(생)이 止善(지선) 줄 모소야?
천지중간 이내 생이 지선할 줄 모를소냐?
하늘천, 땅지, 가운데중, 사이간, 날생, 그칠지, 착할선
-<지선(至善)>: 최고의 선
丹山夜月(단산야월) 墮卵鳳(타란봉)이 以德知其(이덕지기) 覽德(남덕)니
단산야월 타란봉이 이덕지기 남덕하니
붉을단, 산산, 밤야, 달월, 떨어질타, 알란, 봉새봉, 써이, 덕덕, 알지, 그기, 볼람, 덕덕
-<단산야월타란봉(丹山夜月 墮卵鳳)>: 단산은 중국의 단혈산. 단산의 달밝은 밤에 알을 뚝 떨어뜨린 봉새.
-<이덕지기남덕(以德知其覽德)>: 그 덕으로 그 덕성스러움을 헤아림.
萬物之靈(만물지영) 이 몸이 覽德(남덕) 줄 모소냐?
만물지영 이내 몸이 남덕할 줄 모를소냐?
일만만, 물건물, 그것지, 신령영, 볼람, 덕덕
臥龍先生(와룡선생) 諸葛亮(제갈량)은 南陽(남양) 의 밧슬 갈며
와룡선생 제갈량은 남양땅에 밭을 갈며
누울와, 용룡, 먼서선, 날생, 모두제, 칡갈, 밝을량, 남녘남, 볕양
-<와룡(臥龍)>: 누워 있는 용이란 뜻으로, ①앞으로 큰 일을 할 사람의 비유(比喩ㆍ譬喩) ②때를 만나지 못한 큰 인물(人物)
-<제갈량(諸葛亮)>: 중국(中國) 삼국(三國) 시대(時代) 촉한(蜀漢)의 정치가(政治家). 자는 공명(孔明), 뛰어난 전략가(戰略家)
逐燕處士(축연처사) 陶淵明(도연명)은 北(북창) 아 술을 건너
축연처사 도연명은 북창 아래 술을 거러
쫓을축, 제비연, 곳처, 선비사, 질그릇도, 못연, 밝을명, 북녘북, 창창
-<도연명(陶淵明)>: 중국(中國) 진(晋)나라의 시인(詩人). 이름은 잠(潛). 일명 연명(淵明).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자(字)는 무량(无亮)
各得其志(각득기지) 을 즐겨 不求聞達(불구문달) 조흘시고.
각득기지 뜻을 즐겨 불구문달 좋을시고.
각각, 얻을득, 그기, 뜻지, 아니불, 구할구, 들을문, 통달할달
-<각득기지(各得其志)>: 각각 그 뜻을 얻어
-<불구문달(不求聞達)>: ①출세(出世)하여 이름이 세상(世上)에 드날리기를 바라지 않음 ②명예(名譽)를 구(求)하지 않음
陋巷簞瓢(누항단표) 자바다가 安貧(안빈)이나 여 보.
누항단표 잡아다가 안빈이나 하여 보세.
좁을누, 거리항, 대광주리단, 박표, 편안할안, 가난할빈
-<누항단표(陋巷簞瓢)>: 누항(陋巷)에서 사는 사람의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生活) 형편(形便)을 이르는 말
-<안빈(安貧)>: 가난하여도 평안(平安)히 지냄
平原食客(평원식객) 三千中(삼천중)의 毛遂自薦(모수자천) 우숩도.
평원식객 삼천 중에 모수자천 우습도다.
평평할평, 근원원, 먹을식, 손객, 셋삼, 일천천, 가운데중, 터럭모, 이를수, 스스로자, 천거할천
-<평원식객(平原食客)>: 중국 전국시대 조 나라 평원객의 문객
-<모수자천(毛遂自薦)>: 평원군의 식객이던 모수가 스스로 자신을 천거함
風蓑雨笠(풍사우립) 쳐 입고 負郭田(부곽전)을 가라 니
풍사우립 떨쳐입고 부곽전을 갈아내니
바람풍, 도롱이사, 비우, 우리립, 질부, 성곽곽, 밭전
-<풍사우립(風蓑雨笠)>: 바람막이 도롱이와 바 가릴 것
-<부곽전(負郭田)>: 성에서 가까운 밭. 좋은 밭.
遊說六國(유세육국) 蘇季子(소계자)의 腰佩黃金(요패황금) 불버랴?
유세육국 소계자의 요패황금 불워하랴?
놀유, 달랠세, 여섯육, 나라국, 차조기소, 끝계, 아들자, 허리요, 찰패, 누를황, 쇠금
-<소계자(蘇季子)>: 중국 전국시대 달변가 소진(蘇秦)
竹裏獨坐(죽리독좌) 彈琴(탄금)니 王摩詰(왕마힐)이 故人(고인)이오.
죽리독좌 탄금하니 왕마힐이 고인이오.
대나무죽, 속리, 홀로독, 앉을좌, 튀길탄, 거문고금, 임금왕, 갈마, 물을힐, 연고고, 사람인
-<죽리독좌(竹籬獨坐)>: 대나무 숲 속에 혼자 앉아있음
-<왕마힐(王摩詰)>: 당 나라 시인 왕유(王維)
川邊盡日(천변진일) 訪花(방화)니 程明道(정명도)가 賢師(현사)로다.
천변진일 방화하니 정명도가 현사로다.
내천, 가변, 다할진, 날일, 찾을방, 꽃화, 단위정, 밝을명, 말할도, 어질현, 스승사
-<천변진일방화(川邊盡日訪花)>: 시냇가에서 해가 지도록 꽃을 구경함
-<정명도(程明道)>: 송 나라 유학자 정호(程顥)
書不盡意(서불진의) 圖不盡情(도불진정) 이 事業(사업) 뉘 알소냐?
서불진의 도불진정 이내 사업 뉘 알소냐?
글서, 아니불, 다할진, 뜻의, 그림도, 아니불, 다할진, 뜻정, 일사, 업업
-<서불진의(書不盡意) 도불진정(圖不盡情)>: 글은 아무리 잘 표현하려 해도 뜻을 다 펴지 못하며, 그림은 아무리 잘 그려도 그 정을 다 드러내지 못함
仲長統(중장통) 樂志論(낙지론)을 我亦私淑(아역사숙) 여셔라.
중장통의 낙지론을 아역사숙 하자꾸나.
버금중, 길장, 큰줄기통, 즐거울락, 뜻지, 논할론, 나아, 또역, 사사로울사, 맑을숙
-<중장통(仲長統)>: 중국 한 나라의 지사
夢漢零稿에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12.26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