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에 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교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교

Ⅰ. 향교란?, 설립 배경은?

Ⅱ. 교육대상

Ⅲ. 건물구조

Ⅳ. 향교의 기능
(1) 교육기능
(2) 문화기능
(3) 정치기능




Ⅴ. 조선 후기 국가의 지방지배
1. 조선 후기 향교의 문제점
(1) 인적 구성의 측면
(2) 재정적인 측면
(3) 기타
2.향교의 개혁안과 수령권의 강화
(1) 인적 구성에 관한 개혁안
(2) 재정에 관한 개혁안
(3) 기타 사항에 관한 개혁안
(4) 수령권의 강화
3.개혁안의 의미와 한계

2. 향교의 개혁안과 수령권의 강화

1. 조선 후기 향교의 실상과 폐단
(1) 인적 구성
(2) 재정
(3) 기타





2. 향교의 개혁안과 수령권의 강화
(1) 개혁안의 내용
(2) 수령권의 강화

3. 개혁안의 의미와 한계

3. 율곡 이이와 성호 이익

Ⅰ. 성리학과 실학
(1) 성리학
(2) 실학

Ⅱ. 율곡 이이
(1) 생애 및 저작
(2) 이기론
(3) 심성론
(4) 수양론
(5) 교육사상



Ⅲ. 성호 이익
(1) 생애 및 저작
(2) 비판적 학문정신
(3) 실득지학
(4) 사회개혁사상
(5) 교육사상

본문내용

자 불렸으나, 한 번도 이에 응하지 않고 농사지으며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니, 그가 주장한 ‘사농합일(士農合一)’ 즉, ‘선비는 농사로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철저히 실천한 셈이다.
그는 국가 부흥을 위한 자기의 이상과 포부를 저술하여 불교와 세유(世儒)의 실용적이지 못한 학풍을 배격하고 실증적인 사상을 확립시켰다. 역사 서술의 태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방법을 버리고 비판적·고증적인 파악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당쟁의 폐단은, 서로 다른 이해관계의 투쟁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양반이 실제적인 산업에 종사하지 않고 관직을 얻음으로써 재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직제에 비해 너무 많은 수의 관리가 배출되므로 자연히 당파싸움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것을 타개하기 위하여 그는 양반계급의 생업 종사와 과거제도의 잡다한 점을 없애고 관리 승진에 있어서 신중을 기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글만을 읽고 성인의 도리만을 말하면서,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정하는 방책에 대하여 연구하지 않는다면, 그 학문은 개인생활에 대해서는 물론이거니와 국가적 관계에서도 무용한 것"이라고 했는데, 이 말은 그의 학문의 성격을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래 병약했던 그의 몸에 악성 종기가 심해지기 시작한 것은 60대 이후이다. 수많은 친족에 대한 보살핌과 자신의 병을 다스리는 동안, 이미 가산은 탕진되어 나중에는 ‘송곳조차 꽂을 단 한 평의 땅도 없을’ 정도의 경제적 몰락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이런 고통 속에서도 세상을 위한 실용·실증의 학인 경세치용의 학문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그가 83세 되던 1763년(영조 39), 영조는 고령의 노인을 우대하는 나라 법에 따라, 성호에게 정3품 당상관직인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의 벼슬을 내렸다. 세상을 떠나기 몇 개월 전의 일이었다. 같은 해(1763) 11월, 병상에 들어 12월 섣달 17일, 정침에서 임종했으니 향년이 83세였다.
(2) 비판적 학문정신: 합리적 회의와 경험적 실증
가) 주요 경전에 대한 재해석: 사서 삼경과 성리서에 대해 전면적인 재해석을 함, 기존의 해석에 안주하지 않고 자기 시대를 변혁할 새로운 이념과 사상을 경전해석을 통해 이룩하고자 함, 중세적 사고를 극복하고 근대를 지향함
나) 당시 학풍에 대한 반성: 당시 학문의 허구성 비판(“학문하는 자들이 떡의 모양은 잘 형용할 수 있지만 떡의 맛은 실제로 알지 못한다.”
-원인: 과거의 폐해-과거제도: 선비들이 헛된 과거 문체에만 힘들 써 도가 쇠퇴하였다고 주장, 당시 학문이 형이상학적인 문제에만 몰두하고 실천을 소홀히 함, 학문의 교조성(敎條性)
다) 시의론(時宜論)과 변법(變法)사상: “법이 오래되면 폐단이 생기게 마련이니, 폐단이 생기면 반드시 고치는 것이 당연한 이치이다”, 시의에 맞게 법을 고쳐야 한다는 변법론 주장, 변법사상은 선대의 제도를 고쳐서는 안 된다는 고정·불변적 사고가 사회 발전을 정체시키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한 것으로, 사회제도 개혁론의 기반이 되고 있다.
라) 세계관의 확대: 중국 중심의 세계관 탈피, 중국도 세계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중국 중심의 역사에 매몰되지 않고, 자국의 역사에 대한 뚜렷한 주체성을 갖게 됨
(3) 실득지학(實得之學)
-당시 학문에 대한 비판: 지나치게 형이상학적인 명제를 탐구하는 쪽으로 흘러 일상의 실천적인 측면과 괴리되고 있는 것, 주자학 이외의 학문이란 없는-절대적 이념으로서의 주자학-실득지학의 필요성 주장: 실질을 수상하고 실천이 뒤따르는 학문, 실득의 학문은 현실에 공허하지 않은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학문, ‘궁경(窮經)의 목적은 치용(致用)에 있다’고 하여, 궁극적으로 학문의 실용성을 강조함
-도(道): 온 천하에 곤궁한 백성이 없게 하는 것 (not 형이상학적인 고원한 이치)
(4) 사회개혁사상
-토지제도: 균전제, 한전론
-조세론: 조세수입이 국가수입의 주요원천
-화폐론: 화폐에 대한 부정적 시각, 농업>상업 권장, 화폐유통의 억제
-신분제도론: 노비제도 부정적 시각
-붕당론과 과거제도론: 붕당·당쟁은 이해관계의 대립에서 야기되는 것, 과거제도의 인재등용방법을 개선해서 국가를 보다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운영하어야 할 것, 과거의 폐단에 대하여 신랄한 비판 이를 시정하기 위해 과거합일을 주장
-6두론: 농업이 부진한 이유=6두 때문, 6두=노비제도·과거제도·벌열(閥閱)·기교(技巧)·승니(僧尼)·유타(遊惰)
(5) 교육사상
(1)교육: 경세지무를 바탕으로 하여, 이것을 실사회에 베풀어 실지와 실효가 나타나야 한다.
교육의 목적: 실제적인 생활에 둠, 능력위주의 민주적 인간상
교육방법: 탐구심의 계발이 자기계발의 요소이며 자기수양의 방법으로 매일 새롭게 스스로 구하고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고 즐겨 질문하는 것, 숭례와 근검 강조,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능력에 따른 개인차가 반영되어야 한다. 일신(日新), 득사(得師) 및 호문(好問) (질의 응답의 학습방법)
교육사상 : 예절교육 강조, 과거의 시험과목으로 국사를 첨부 할 것을 강조하여 주체성 있는 역사의식 강조-종래 사대주의적인 역사학에 비판을 가하고 우리나라 역사의 독자성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아의 자각에 따르는 주체적 인식이라 볼 수 있다.
(2) 교육관: 첫째, 교육의 기조를 진정한 한국인의 형성에 두고 둘째, 교육의 이념으로서 인간평등을 전제로 한 숭례 및 근검사상을 강조하였으며 셋째,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내적인 마음의 계발을 중시하였다.
(3) 학문연구방법
(a) 경전의 본지(本旨)를 탐구함
(b) 회의(懷疑)정신: 정설에 따라 경전의 문구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 왜 그렇게 말씀하셨을까’라는 진지한 물음을 갖고 깊이 그 본뜻을 캐 들어가는 학문정신, 의심은 본지탐구를 통해 자득을 하기 위한 전제조건
(c) 방채박구(訪採博求): 널리 사례를 모아 광범위하게 그 뜻을 찾을 것
(d) 도저방증·박채방증: 터득한 본지를 널리 증명하여 객관적 설득력을 갖도록 해야 함
(e) 학문 방법의 특성: 합리적 사고, 고증적 태도, 객관적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여러 설을 수용하기도 하고 비판하기도 함, 자신의 경세적 의지를 드러냄
  • 가격2,4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1.29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9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