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가정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본인이 생각하는 건강가정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강가정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본인이 생각하는 건강가정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의 개념

2. 우리나라 가정의 변화

3. 건강가정에 대해 정의

4. 건강한 가정이란?

5. 내가 생각하는 건강가정
1) 가족기능
2) 가정생활

6. 건강가정을 위한 정책 과제

7.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의 역할강화이다. 가족문제를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전달의 다양화는 공공부문이 전담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공과 민간의 가족복지 서비스의 연계성이 제고되는 상호조정 및 통합운영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에 거점시설이 필요하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복지서비스의 전달에 있어 지역사회의 생활주체인 개별가족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그들의 다양한 가족욕구를 수용하고 효율적 효과적인 가정복지서비스를 창출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7. 시사점
우리사회가 급속하게 변화하면서 가족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과 태도 또한 상당히 변화해왔다. 그러나 가족의 규모 및 범주가 축소되고, 친족간 부양의식이 약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가족은 서구사회에 비해 부부보다는 자녀중심적인 가족관계와 문화를 형성, 유지해 왔다. 특히 급속한 변동 과정에서 개인을 보호해주는 사회안전망이 부재해온 만큼 개인과 가족의 안위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증폭됨에 따라 개인 및 가족보호기제의 하나로서 자녀세대에 대한 교육열과 성공가치가 과도하게 팽창해왔다. 그러나 최근 신자유주의의 파고 속에서 시장의 유연화와 일자리 양극화등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세대의 일자리 문제와 장년 세대의 실업 및 해고 등의 고용불안정의 문제는 우리가족생활의 토대와 안위를 크게 흔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시장의 불안정성이 고도화되는 만큼 부모들은 자녀의 시장진입에 유리한 학력 및 자격증 취득을 독려하고픈 열망과 함께 스스로 자신의 노년기를 대비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가 부여된다는 점에서 지금과 같은 자녀제일주의와 우선적 투자방식이 과연 유지 혹은 변형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빠른 기술변동에 의한 개인화된 통신기기의 보급은 세대간 격차를 줄이거나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가족관계의 변화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쉽사리 가늠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인들은 자녀에 대한 강한 책임의식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가족과 함께하는 생활문화 콘텐츠는 상당히 빈약하다. 이는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의 장시간 노동문화와 자녀교육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으로 인해 실질적인 가족시간을 확보하지 못했거나 부모역할에 대한 불균형성이 한국가족문화의 고질적인 모순으로 유지되어 왔기 때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건강가정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본인이 생각하는 건강가정에 대해 논해 보았다. 건강한 가정의 형태란 가족구성원간의 신뢰와 믿음 여기에 무한 책임을 느낄 때 가능하다고 보여 진다. 가족 구성원간의 서로가 서로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 가정의 형태를 말한다. 위에서 말한 갈등가정이 바로 여기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가정의 형태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가정이란 80년대에 있었던 일반 보통의 사람들이 구성하였던 가정을 난 건강했던 가정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물론 더 과거로 갈수록 더 좋은 가정의 형태라 볼 수 있지만 이미 전통적 가정의 형태는 현대사회에 있을 수 없는 가정의 형태로 변했고, 또한 농촌이라는 사회가 이미 해체되었기에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80년대로 잡았고, 물질적 풍요는 없었지만, 가족구성원간의 따뜻한 관심과 이해가 있었고, 가족의 수난에 다같이 동참하는 가정의 형태가 바로 평범한 사람들이 구성했던 가정이라고 본다. 현대의 물질문명과 문화지체적 발상에서 나온 지금의 비정상적 가정의 형태는 반드시 언젠가는 우리들의 발목을 잡는 그러한 가정이라고 보여 진다. 끝으로 오늘 보았던 아이들의 순수한 눈 빚이 부모들의 무책임과 이기심에 그 빚을 잃어버리는 것 같아서 매우 가슴 아팠다. 건강한 가정이 우리들에게 얼마나 소중하고, 필요한지 그러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개인의 이기적 생각보다는 가정이 우선 시 되는 사회상이 다시 재정립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참고문헌
이소희 외, 현대가족복지론. 서울: 양서원, 2001
송혜림, 건강가정론, 건강가정사 양성교육 자료집, 2006
조희금, 건강가정론, 건강가정사 양상교육 자료집, 2005
조희금 외, 건강가정론, 신정출판사, 2005
이태희, 건강가정론, 형지사, 2008
박세경, 건강한 가정생활과 가족기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04
유영주, 건전가정과 건강가족의 개념 설정에 대한 논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99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4.17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