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안된다. 점차적으로 저소득층노인에게 지급되는 지급액의 수준과 범위를 상향 조정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2000년부터 65세 이상의 노인에 대해서 98년부터 시행한 경로연금 지급대상을 현재 전체 노인의 22%에서 35%인 92만 4천명으로 확대하고 지급액을 연차적으로 증액해 나갈 방침을 발표했다. 짜라서 정부가 노인복지에 중점을 둔 정책을 개발하고 점차적으로 수행한다면, 한국의 노인복지는 현재 노인복지수준 보다 좀더 나은 수준으로 향상되리라고 기대된다. 건강하지 못하고 봉양받지 못하는 노인들은 국가가 적극적으로 보호해야만 하고 근로능력이 있는 노인은 교육을 시켜서 재취업의 기회를 확대시켜서 노인이 직접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뒷받침되었을 때, 한국 사회는 노인을 진정 공경하는 사회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족과 이웃, 지역사회, 국가가 모두 함께 공동체 정신을 형성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다. 전통적으로 경로효친사상을 근거로 가족부양에 맡겼던 노인복지는 21세기에도 국가와 사회와 가정이 공동체를 이루어 경로효친사상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와 노인복지-사회복지.재가복지.노인복지.노인상담
(노인복지)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 - 노인문제의 발생요인, 주요문...
노인의 정의, 노인복지의 정의, 노인문제의 원인,중요성, 노인문제의 변화양상, 노인의 일,퇴...
[고령화사회][노인복지][노인문제][노인복지정책]고령화사회의 환경변화, 고령화사회의 원인,...
[노인복지]노인복지중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 현황, 문제점 및 해결방안과 재가노인복지 프로...
[지역문화복지시설][치매노인복지시설][보훈대상자노후복지시설][아동복지시설][장애인복지시...
[노인복지론] 노인복지의 연구성에 대한 필요성과 노인복지현상의 실태원인 분석 및 노인복지...
[노인복지론] 노인복지 실천 방법 - 노인복지실천에 대한 이해와 노인복지실천의 개입
노인가족의 개념과 문제 및 노인복지서비스 대책 (노인가족의 개념, 노인가족의 문제, 노인복...
노인인구의 증가현황과 문제 및 노인가족복지대책의 과제와 방향 (노인인구의 증가현황, 노인...
지역사회 노인복지서비스(시설보호사업,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선진국노...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사업현황 보고서(노인이겪는문제, 노인복지문제점, 노인복지발전과제)
노인복지론 2017년]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노인복지정책방향 잔여...
우리나라 노인복지시설 중에 현재 노인장기요양기관 노인의료복지시설 2가지 노인재가복지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