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과 실재대상의 관계에 대한 고찰 - 푸코의 ‘지식-권력론’과 페쇠의 ‘담론의 적대성’중심으로 -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론과 실재대상의 관계에 대한 고찰 - 푸코의 ‘지식-권력론’과 페쇠의 ‘담론의 적대성’중심으로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담론과 실재대상의 관계에 대한 고찰
- 푸코의 ‘지식-권력론’과 페쇠의 ‘담론의 적대성’중심으로 -



Ⅰ. 서론

Ⅱ. 담론과 실재 대상의 관계
 1. 언어모델의 사회이론적 입장 및 한계점
 2. 언어모델의 한계점 및 담론의 유물론적 접근의 필요성

Ⅲ. 푸코의 지식-권력론
 1. 담론적 실천과 담론구성체
 2. 지식과 권력의 관계
 3. 담론과 종속에 관한 푸코의 연구
 4. 푸코의 지식-권력론의 한계점

Ⅳ. 페쇠의 담론이론
 1. 알튀세의 이데올로기 이론
 2. 페쇠의 담론이론
  (1) 의미의 적대성
  (2) 이데올로기구성체와 담론구성체

Ⅴ. 결론

본문내용

은 힌디스와 허스트, 라클라우와 무페에 의해 발전되었다. 특히 힌디스와 허스트는 ‘인식론 비판’을 통해 담론과 담론외적인 영역간의 관계를 부정한다. 그러나 언어모델은 담론의 지시적 기능을 무시하고, 인과론을 소멸하여 과학적 전망을 가질 수 없으며, 계급투쟁의 정치를 소멸시킨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담론은 결코 담론외적인 영역을 간과할 수 없다는 유물론적 접근이 시도되었다. 푸코는 담론이 사회적 권력과 밀착되어 있음을 주장하면서 담론의 의미가 사회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형성된다고 했다. 그러나 푸코의 담론이론에서는 담론이 각 입장을 대립적으로 표출하는 투쟁의 장이라는 것을 고려하지 못했다. 이는 모순의 불균등 발전의 원리를 용인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페쇠는 모순의 불균등 발전의 원리를 인식함으로 계급투쟁의 관점에서 담론과 현실의 구조적 관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담론들의 적대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담론의 정치학을 연구한 것이다. 중요한 점은 담론적 실천과정이 담론 내부에서만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담론의 외부, 즉, 특정한 계급투쟁의 국면에 따라 규정되는 이데올로기 실천 속에 각인되어 전개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담론적 실천은 지배구조의 재생산 및 변혁의 문제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알려준다. 결론적으로 담론과 계급투쟁의 문제를 절합시켜 사고하는 페쇠의 입장은 담론적 실천 속에서 드러나는 이데올로기 효과를 간파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제문에서는 담론과 실재대상의 관계에 대한 언어모델의 입장과 유물론적 입장을 고찰하면서, 각 접근방법의 특성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발제자의 짧은 지식체계로 이들을 이론을 다루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랐다. 마르크스-알튀세-페쇠로 이어지는 이데올로기 개념과 그 전후로 진행된 여러 사회철학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뒷받침되었더라면, 좀더 명쾌하게 이들의 이론을 풀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페쇠의 ‘의미의 적대성’개념의 사례연구를 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본 발제문을 통해 담론과 실재대상과의 관계, 특히 유물론적 관계를 고찰하면서 사회현상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고취시킬 수 있었다. 페쇠가 특정 입장에서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말할 수 없는 것인지를 담론이라고 규정하면서, 한 사회 안에서는 여러가지 대립되는 담론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담론을 수용할 수 있는 현 시점에서, 이제는 다양한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열린 담론공간, 진취적으로 담론을 이끌어내는 건강한 담론구성체를 만들어야할 당위성이 있다.
<참고 문헌>
강내희 (1992). 언어와 변혁:변혁의 언어모델 비판과 주체의 역동일시, 「문화과 학」, 겨울호.
강진숙 (2005).「담론분석방법론:뉴스담론의 의미와 주체구성」, 서울:이진출판사.
김부용 (1990). 미셸 푸코에 있어서 지식과 권력, 한상진, 오생근 외, 「미셸
푸코론 :인간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서울:한울.
김성언 (1990). 미셸 푸코의 지식-권력론과 비판의 의미, 한상진 오생근 외,
「미셸 푸코론:인간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서울:한울.
전해자 (1991). 권력의 재생산/변혁에 관한 담화이론 비교연구: 푸코와 페쇠를 중심으로, 서강대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전정욱 (1995). 신문기사에 나타난 뉴스의 이데올로기 연구 : 페쇠. M.의 담론이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A. Bell & P. Garrett (1998).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백선기 역 (2004). 「미디어담론」.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Althusser, L. (1971).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London: New Left Books, ; 이진수 역(1991). 레닌과 철학, 백의.
----------- (1965). For Marx, London: Allen Lane, ; 고길환, 이화숙 역(1990). 「맑스를 위하여」, 백의.
Berry Hindess abd Paul Hirst (1977). Mode of Production and Social Formation: An Auto Critique of Pre-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Macmillan.
D. Macdonell (1992). Theories of Discourse. 임상훈 역(1992), 「담론이란 무엇인가」. 서울:한울.
Foucault, M. (1976). Histoire de la sexualite 1, Paris : Galllimard ; 이규현 역 (1990). 「성의 역사 - 제 1권 앎의 의지」, 서울 :나남. pp. 121~127
---------- (1972). Power and Strategie". Power/ Knowledge, ed. & trans. by Gorden, C. & al. (1980). NY: Paantheon Books, p.142.
---------- (1973). Discipline and punish, ed. & trans. by Sheridan, A. S. (1973), NY:Random House
Fredric Jameson (1972), The Prison-house of Language: A critical Account of Structuralism and Russian Formailsm, UP: Princeton.
Laclau & Mouffe (1987). Post-Marxism without Apologies, New Left Review, Nov/Dec.
Pecheux, M. (1982).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trans. by Nagpal, H., NY:St.Martin's Press.
Terry Eagleton (1991). Ideology:An Introduction, Verso.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5.21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