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군사혁명과 해적의 탄생 - 카를로 치폴라의 대포, 함선, 제국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반질서, 해적
2. 대포와 범선 : 제국, 그리고 해적
 1) 2세기 동안, 전 유럽에 걸쳐서 이루어진 ‘대포의 발전’
 2) 갤리선과 범선의 차이를 통해서 본 ‘함선의 발전’
3. 대포와 함선을 바탕으로 한, 제국의 형성과 해적의 등장
 1) 대포 + 범선 = 대양(大洋) 제국
 2) 대양 제국의 이단아, 해적의 탄생
4. 대포 + 범선 = 폭력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항해시대 - 해양 팽창과 근대 세계의 형성,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카를로 치폴라 지음, 최파일 역, 대포, 범선, 제국, 서울 : 도서출판 미지북스.
- Peter Earle, The Pirate Wars, New York : Thomas Dunne Books.
- 마커스 레디커 저. 박연 옮김. 악마와 검푸른 바다 사이에서 : 상선 선원, 해적, 영-미의 해양세계, 1700-1750 서울 : 까치,
부록. 군사문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과연 기계주의의 비중이 적다고 할 수 있는가?
카를로 치폴라의 대포, 함선, 제국을 읽다보니, 대항해시대와 정반대의 주장을 전제로 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서 그와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의문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대항해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서술이 있다.
“유럽중심주의의 기저에는 기계주의가 자리잡고 있고, 이것은 유럽에서만 우월한 무기와 기계적인 군사 조직이 발전했다고 보고, 이것이 유럽의 군사적 우위를 가져다준 요소라고 설명하곤 했다. 그것은 ‘총포의 승리’라고 정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나 단순한 논이리다. 유럽만이 포를 독점할 수는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사실 총포는 중동, 러시아, 인도, 중국, 일본 등지로 전파되었다.” 주겨철, 앞의 책, 219p에서 인용.
하지만 치폴라는 이와 같은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유럽만이 포를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투르크, 이슬람, 중국, 한국, 일본의 대포 사용을 살펴봄으로써 비유럽 문명이 유럽과 같이 대포를 사용하지 못 했다는 것을 지적한다. 카를로 치폴라. 대포, 함선, 제국 2장, ‘유럽 너머의 대포와 함선’에서 그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심지어 치폴라는 류성용의 서애문집까지 참고자료로 사용하였다.
오히려 그는 ‘유럽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군비 생산에서 우위를 놓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유럽의 “노하우”가 변절자들과 예수회 선교사들, “기술 조력자”와 같은 공식 사절들에 의해 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유럽과의 크나큰 격차를 줄이지 못 했다’고 주장한다. 카를로 치폴라. 앞의 책. 154p.
대항해시대에서는 레판토 해전의 예를 들어서 군사혁명의 성과를 과장했고, 과도하게 세계사적 의의를 부여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치폴라는 레판토 패전을 시대에 뒤쳐진 전투였다고 단정 짓고, 레판토 해전은 갤리선을 가지고 옛날 방식으로 싸운 전투였으며, 승자도 패자도 모두 구시대적이었기 때문에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승자는 없었다고 평가한다. 즉 군사 혁명과 하등의 관계가 없다는 것이 치폴라의 주장이다.
그리고 대항해시대에서는 적이 분열되어있을 때, 집중적 공격을 통해 각개격파에 성공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제국을 형성할 수 있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허나 이 논리는 분열되어있지 않은 상태를 전제로 한다. 이것은 아스텍과 잉카, 아시아 문명을 하나의 정치체제로 인식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이어진다. 하나의 문명이 아니라면 분열될 수 없고, 그것은 곧 ‘분열과 집중’의 논리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대항해시대에서 아스텍 ‘제국’의 실상이 결코 하나의 균질적인 총체가 아니라 내적으로 원한이 가득한 피지배 집단이 묶여있는 상태였다 주경철. 앞의 책. 231p.
는 서술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당시의 아스텍을 우리는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가? 아스텍과 주변부의 연합을 하나의 정치 체제라고 할 수 있는가? 유럽인들과 동맹 맺은 원주민들은 분열된 아스텍으로 보아야하는가, 아니면 아스텍에게 원한을 품고 있는 다른 부족이었는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이 나와야, ‘분열과 집중’ 논리로 유럽의 군사적 우세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