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품]시작품(시문학, 시)의 정의, 시작품(시문학, 시)의 갈래, 시작품(시문학, 시)의 언어, 시작품(시문학, 시)의 심상, 시작품(시문학, 시)과 시인, 시작품(시문학, 시)의 모티브, 시작품(시문학, 시)의 이미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작품]시작품(시문학, 시)의 정의, 시작품(시문학, 시)의 갈래, 시작품(시문학, 시)의 언어, 시작품(시문학, 시)의 심상, 시작품(시문학, 시)과 시인, 시작품(시문학, 시)의 모티브, 시작품(시문학, 시)의 이미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시작품(시문학, 시)의 정의

Ⅲ. 시작품(시문학, 시)의 갈래

Ⅳ. 시작품(시문학, 시)의 언어

Ⅴ. 시작품(시문학, 시)의 심상

Ⅵ. 시작품(시문학, 시)과 시인

Ⅶ. 시작품(시문학, 시)의 모티브

Ⅷ. 시작품(시문학, 시)의 이미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소리\' 등은 전부가 이미지이다. 이런 이미지들이 모여 이미저리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이 시의 제목이 암시하는 \'불국사\'라는 핵심 이미지를 떠올리게 된다. \'불국사\'를 통해 시인의 기억과 상상을 볼 수 있다. 기억이나 상상이란 것은 이미지를 만드는 가장 주요한 요소의 하나다. 이 작품에서도 시인이 직접 본 \'자하문\' \'대웅전\' \'큰보살\'이 \'흰달빛\' \'달안개\' \'물소리\' 등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상상력에서 나온 이미지들과 합하여 불국사라는 핵심 이미지를 낳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가 무심히 보아온 일상적인 사물에 새로운 신선감을 준다. 이런 것이 시에서 이미지가 갖는 힘이라고 하겠다.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은 소리
-金光均 \'雪夜\'에서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라든지 \'머언 곳에 여인의 옷벗는 소리\' 등의 구절은 하나의 상상력으로 된 이미지이다. 상상력은 이와 같이 이미지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존 러스킨(John Ruskin)은 상상력을 직관적 상상력(Imagination penetrative), 연합적 상상력(Imagination associative), 정관적(靜觀的) 상상력(Imagination contemplative)으로 나누고 있다. 직관적 상상력은 사물의 외면적 형상이 아니고 정신적이고 내면적인 것을 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연합적 상상력은 심상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체를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정관적 상상력은 대상을 정관하는 가운데 사상과 정서가 나타나 체험 전체를 통일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상력은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낳는 정신의 능력\'임에 틀림없지만 이 상상력 또한 공상과 구별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공상Fancy과 상상력imagination은 이미지 결합의 기능에서 구분된다. \'구름은 보랏빛 색지(色紙) 위에 마구 칠한 한 다 발 장미(薔薇)\'(김광균 \'뎃상\'의 일부)처럼 구름과 장미의 결합이 우연한 일치에 의존할 뿐 이 결합이 아무런 새로운 변화 도 가져오지 못하고 정신적 가치도 지니지 못하는 기계적이요 유물론적인 경우가 공상이다. 또한 그것은 대상에 구속을 받는 일정한 크기를 나타낸다. 반면에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서정주 \'국화 앞에서\'의 일부)처럼 누님과 국화의 결합은 인격 완성의 희열이라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며 단순한 물질적 유사성이 아니라 정신적 정서 적 가치를 띠고 있으므로 이것은 상상력의 소산이다. 그리고 \'한손으로 지축을 잡아 흔들고 천지를 함토(含吐)하는 아무리 억세고 사나운 아시아의 사나이라도\'(오상순 \'아시아의 마지 막 밤의 풍경\'에서)처럼 상상력은 무한한 크기를 나타낸다. 그만큼 상상력은 대상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한다.
-김준오 \'시론\'에서
그러나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상상력일 뿐이다. 이미지 그 자체는 아니다. 이미지는 어디까지나 언어로써 나타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상상의 결과가 언어로써 나타나는 것이 이미지이다.
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개념으로서 이미저리를 다음과 같이 나눈다. 감각적인 면에서 시각적,미각적,청각적,후각적,촉각적,근육운동지각으로, 내용면에서 정신적 이미저리, 비유적 이미저리, 상징적 이미저리가 그것이다.
정신적 이미저리 안에 시각적, 청각적, 미각적 등의 것이 다 포함되며, 비유적 이미저리 안에 제유, 환유, 직유, 은유 등을 들 수 있다. 상징적 이미저리란 \'자기 마음의 감각적 영상을 문자화하는 능력만이 아니라 시인의 관심사, 취향, 기질, 여러 가지의 기준, 환상 등을 이미저리로 나타나게 하며 이미저리들이 자꾸 시 속에서 반복되게 해서, 그러니까 이미지의 패턴들이 시의 어조를 만들기 위해서도 발생되고 그 문맥의 구조나 상징의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발생되어지는 것이다.\'(\'세계문예대사전\' 문덕수 편)
그러나 우리는 이미지를 시각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 심리적 이미지로 나누는 게 보통이다.
참고문헌
강호정(2012), 해방기 시에 나타난 시와 시인의 위상, 한국시학회
이승복(2006), 시의 갈래와 재인식, 시문학사
이혜영(2010), 시의 이미지 교육 방법 연구, 아주대학교
왕소서(2008), 중국고체시와 현대시의 언어 차이와 그 미학 추구, 중국어문논역학회
정두홍(2002), 시의 모티브와 시상, 서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최종수(1979), 시와 심상, 총신대학교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