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심실보조장치][대동맥순환보조펌프][순환기]심장과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심장과 심실보조장치, 심장과 대동맥순환보조펌프, 심장과 방사선검사, 심장과 심혈관계질환, 심장과 순환기, 심장과 심박출량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심실보조장치][대동맥순환보조펌프][순환기]심장과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심장과 심실보조장치, 심장과 대동맥순환보조펌프, 심장과 방사선검사, 심장과 심혈관계질환, 심장과 순환기, 심장과 심박출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심장과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1. 적응증
2. 금기
3. 합병증
4. 다른 치료법
1) 레이저 혈관 성형술(laser-assisted balloon angioplasty)
2) 죽종 절제술(atherectomy)
3) 관상동맥내 스텐트 적용술
5. 간호진단
6. 간호중재
1) 불안 감소
2) 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3) 출혈 예방
4) 통증 경감
7. 환자교육/건강유지
8. 결과 중심 평가

Ⅱ. 심장과 심실보조장치
1. 공기압축식
2. 전기기계식
3. 기타 방식
1) 액체가스에 의한 VAD
2) 근육의 힘에 의한 VAD
3) 심근에 이식가능한 VAD

Ⅲ. 심장과 대동맥순환보조펌프
1. 기능
2. 금기
3. 합병증
4. 간호진단
5. 간호중재
1) 불안 감소
2) 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3) 적절한 조직관류의 유지
4) 피부통합성의 유지
6. 결과 중심 평가

Ⅳ. 심장과 방사선검사
1. 형광 투시법
2. 심장내의 비정상적인 구조와 석회화를 확인하기 위해-심혈관 촬영술
1) 검사준비 과정
2) 검사 후
3. 염료의 진행 순서를 봄으로써 심장과 대혈관의 연결상태를 알 수 있으며, 이것으로 심장판막의 손상이나 선천성 심장중격 결손 등의 심장구조와 기능을 진단-심도자법
1) 주요 목적
2) 검사전 주의사항
3) 우심도자
4) 좌심도자
5) 검사결과
6) 검사후 간호
4. 좌우 심방, 심실, 대혈관 내에서 혈액 표본을 채취, O2와 CO2의 농도 측정과 압력차를 측정, 선천성 심장중격 결손증, 혈류단락, 판막손상 등의 심장의 구조적 이상 진단하기위해-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Ⅴ. 심장과 심혈관계질환
1. 심장병 진단법
2. 기본적인 식이 요법

Ⅵ. 심장과 순환기
1. 동맥
2. 정맥
3. 모세혈관
4. 심장의 박동
5. 맥박

Ⅶ. 심장과 심박출량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계속 관찰하면서 검사를 실시한다.
4) 좌심도자
주로 대퇴동맥을 통하여 복부, 흉부 대동맥, 대동맥궁, 좌심실까지 카테터를 혈행에 역행해서 진입시키는 방법으로 시행한다.(우심도자를 시행하는 도중에 심방 중격에 특수바늘로 구멍을 내어 진입시키는 방법도 있다)
혈액채취, 압력측정 등의 검사를 실시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 관상동맥 조영술 대동맥 조영술과 폐동맥 조영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5) 검사결과
우심장내의 산소포화도와 압력상승은 좌우 단락을 나타낸다.
심장내 압력의 증가는 판막의 협착을 의미하며 특히 좌심실 이완기 말의 압력 상승은 좌심부전을 의미하는 첫 징후이다.
6) 검사후 간호
대상자는 12~14시간동안 안정해야 하고 활력증상을 자주 측정해야 한다.(특히 맥박은 처음 1시간 동안은 10~15분마다 재고 그다음 1시간동안은 30분마다 그리고 그 다음 4시간동안은 1시간마다 측정하면서 맥박의 특성, 리듬 횟수 등을 관찰)
카테터가 삽입되었던 절개부위보다 말초에서 맥박을 특정하면 그 부위의 혈액순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맥박의 저하가 관찰되면 즉시 주치의에게 보고한다.
오심과 구토는 사용된 염료의 과민 반응이므로 잘 관찰한다.
천자한 상부에 부종이나 감염, 출혈, 혈전증이 있는지 자주 살펴야 하고 팔에 통증이 있을 때는 더운물 찜질을 시행하면 훨씬 증상이 가벼워진다.
드물지만 심도자 시행중이나 직후에 부정맥, 심실세동, 기흉, 혈심낭, 혈전성 정맥염 등의 합병증이 올수도 있다.
4. 좌우 심방, 심실, 대혈관 내에서 혈액 표본을 채취, O2와 CO2의 농도 측정과 압력차를 측정, 선천성 심장중격 결손증, 혈류단락, 판막손상 등의 심장의 구조적 이상 진단하기위해-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X-선 기법과 전산화 영상제거 기법을 병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심맥 관계를 뼈나 연조직과 같은 주위 조직의 영상을 제거한 상태에서 형광투시해 볼 수 있게 한다.
검사 위해 승낙서 받고 금식한다.
대상자에게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 → 조영제 사용하므로
앙와위로 누운 자세에서 정맥 천자부위를 국소마취한다.
정맥(보통 상대정맥)에 카테터 삽입해 조영제 투입하면서 X-선 촬영한다.
X-선 형광투시 영상강화기(fluoroscopic image intensifier)는 조영제가 순환하고 있는 심장과 동맥계를 두드러지게 나타낸다.
컴퓨터가 이 영상을 숫자로 전환시키고 조영제를 주사하기 전의 영상을 주사 후 영상에서 제거시킨다.
시술후의 간호는 심도자법보다 간단 → 동맥천자를 요하지 않으며 소량의 조영제만 사용하므로
활력징후 관찰하고 천자 부위의 출혈 유무와 불편감 사정한다.
Ⅴ. 심장과 심혈관계질환
1. 심장병 진단법
다른 병과 마찬가지로 심장병도 조기 진단에 의해 빨리 발견하여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심장병은 환자가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심장병을 의심하게 하는 증상이 있을 때에는 지체 없이 심장병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심장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없을 경우에도 심장병에 걸릴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경우 즉, 고혈압 환자가 담배를 많이 피우는 경우 등은 반드시 심장병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2. 기본적인 식이 요법
1) 지방분 섭취는 전체 음식 양의 30 % 이내,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는 1:1
2) 고기 섭취량은 하루 반 근 이하로 할 것(가급적 생선을 먹고 닭고기는 껍질 제외).
3) 계란 노른자는 일주일에 2 개 이내로 먹는다.
4) 우유는 1 % 지방우유, 저지방 요구르트로 먹는다.
5) 버터, 치즈, 초콜릿 등은 피한다.
Ⅵ. 심장과 순환기
1. 동맥
심장에서 피가 나가는 핏줄
2. 정맥
심장으로 피가 들어오는 핏줄
3. 모세혈관
산소와 영양소를 온 몸의 세포에 전달하고 이산화탄소와 찌꺼기를 콩팥과 땀샘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4. 심장의 박동
심장이 반복적으로 부풀었다 오므라들었다하면서 피를 온몸으로 보내는데 이 때의 고동 현상을 말한다.
5. 맥박
박동과 같이 핏줄에 피가 지나면서 압력을 주게 되는데 이 때의 느낌을 말한다.
심장은 끊임없이 온 몸에 피를 공급하고 심장에서 출발하는 핏줄들은 폐와 온몸으로 운반한 다음 다시 심장으로 돌아온다.
심장 바깥층에 있는 가는 핏줄들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한다.
Ⅶ. 심장과 심박출량
심장 수축 시에 심실에서 동맥계로 분출되는 1회 혈액량을 일회 박동량(stroke volume)이라 하며, 1분 동안에 분출되는 혈액량을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라 한다. 그러므로 심박출량은 일회 박동량과 1분 동안에 발생되는 심박동수를 곱한 것과 같다.
안정 상태에 있는 성인일 경우 대동맥으로 분출되는 일회 박동량은 50~90ml(평균70ml)이며 정상 심박동수는 60~100회(평균 72회/분)이다. 그러므로 심박출량은 70×72=5,040ml가 된다. 심장이 최고의 기능을 발휘하여 수축할 때는 일회 박동량이 150~200ml까지 증가할 수 있는 보유능력을 가지고 있다. 심박출량은 정맥 환류량과 심박동수, 심장수축력에 영향을 받는다.
심장지수(cardiac index)는 심박출량을 체포면적으로 나눈 양이며 신체조직으로의 혈액 공급량을 제시해 준다.
휴식 상태에서의 성인 심장 지수의 정상치는 2.5~4L/분/m²이다. 일반적으로 맥압이 낮으면 일회 박동량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하면 맥압이 높으면 일회 박동량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특히 대동맥판막 부전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동정맥류, 발열 환자는 맥압이 증가된다.
참고문헌
* 나찬영 외 8명(1994), 개심술후 심실 보조장치, 대한흉부외과학회
* 김기봉(2002), 순환보조 장치, 대한심폐혈관마취연구회
* 박기철 외 1명(2007), 치주감염과 심장순환기 질환, 치과연구사
* 서정호(1979), 내과 심장질환 의 방사선 진단, 대한내과학회
* 최기주(2001),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을 받은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 전략, 우울, 연세대학교
* Je-Woong Yun 외 1명(2011), 심박출량 측정시 초음파 조영제의 유용성에 대한 평가, 경상대학교
  • 가격9,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