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구조, 내부구조와 합성명사,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내부구조와 위치동화, 합성명사]내부구조와 합성명사,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내부구조와 위치동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부구조, 내부구조와 합성명사,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내부구조와 위치동화, 합성명사]내부구조와 합성명사,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내부구조와 위치동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내부구조와 합성명사

Ⅲ.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1. 설정마디(Coronal Node)
2. 주변마디(Peripheral Node)
3. 혓몸마디(Tongue Height Node)

Ⅳ.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1. ‘통사적 구성의 어휘화'에 의한 설명
2. 합성동사 형성 규칙의 존재
1) 졸고(1981:20-21)에서는 다음과 같이 실제 동작의 순서와는 반대 어순으로 배열된 ‘V1-어 V2’는 통사적 구성으로 환원될 수 없으므로 합성동사임이 자명하다고 본 바 있다
2) 바로 현대에 신어나 임시어로서의 새로운 합성동사가 형성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합성동사 형성의 기제를 엿볼 수 있다
3) ‘하다’ 동사는 합성동사의 V1으로도 V2로도 참여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어’형 합성동사 형성 규칙

Ⅴ. 내부구조와 위치동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Alv, Alv - Alv
조심스런 말투 일상적인 말투
ㄱ.V[V[mach]ta] ‘맞다’ --> ω(matt\'a), ω(matt\'a)
ㄴ.V[nc V[ tweta]] ‘늦되다’ --> φ(ntt\'weda), φ(ntt\'weda)
(36)-(38)에서 t는 뒤에 오는 자음의 조음위치에 동화한다. (36)와 (37)에서 보듯이 말음에 오는 구개치경음 c와 ch는 말음중화현상을 거쳐 t가 되기 때문에, 기저에서 치경음 + 구개치경음은 구개치경음 + 구개치경음과 달라도 표면에서는 똑같이 치경음 + 구개치경음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위치동화는 (37ㄱ)에서 보듯이 지정사(SPEC) + 양화사(Q) 사이에서도 일어난다. 또한, 합성어 경계인 (37ㄴ)과 접두사 + 어간 경계인 (36ㄴ), (37ㄷ), (38ㄴ)에서도 일어난다. 그러므로 위치동화는 운율구 안에서 일어난다.
다음은 설정음 + 순음의 연속에서 일어나는 위치동화를 살펴보자. (39)-(40)에서 설정음, s, n, th는 다음에 오는 순음 p, m의 조음점에 동화된다 :
(39) Alv + Lab --> Alv - Lab, Lab - Lab
조심스런 말투 일상적인 말투
ㄱ. QP[tass Q[mali]] ‘다섯 마리’ --> φ(tasnmari), φ(tasmmari)
ㄴ. NP[A[on] N[pam]] ‘온밤’ --> φ(onbam), φ(ombam)
ㄷ. V[V[yath V[po]]ta] ‘엿보다’ --> φ(yatp\'oda), φ(yapp\'oda)
ㄹ. ADV[ADV[kot] ADV[palo]] ‘곧바로’--> φ(kotp\'aro), φ(kopp\'aro)
ㅁ. N[sin-mun] ‘신문’ --> ω(inmun), ω(immun)
ㅂ. N[N[co-nan] N[pa-ci]] ‘조난방지’--> φ(conanbaji), φ(conambaji)
ㅅ. N[N[phsyn] N[motel]] ‘패션모델’ --> φ(phnmodel), φ(phmmodel)
(40) Alp + Lab --> Alv - Lab, Lab - Lab
조심스런 말투 일상적인 말투
ㄱ. QP[mych Q[mali]] ‘몇 마리’ --> φ(mynmari), φ(mymmari)
ㄴ. N[N[k\'och] N[path]] ‘꽃밭’ --> φ(k\'otp\'at), φ(k\'opp\'at)
ㄷ. N[N[mac] N[palam]] ‘맞바람’ --> φ(matp\'aram), φ(mapp\'aram)
(40)에서 구개치경음 c와 ch는 말음에서 말음중화에 의해 [t]가 된 후 뒤에 오는 순음 m과 p의 조음점에 동화한다. (39)와 (40)는 합성어 경계, 접두사 + 어간 경계, 그리고 한자어 어근 + 한자어 어근 경계에서 설정음이 순음에 동화한 예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위치동화는 운율구안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한편, 위치동화는 (41)에서처럼 순음과 설정음 사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
(41) Lab + Cor(Alv/Alp) --> Lab - Cor, *Cor - Cor
조심스런 말투 일상적인 말투
ㄱ. V[V[cup]ta] ‘줍다’ --> ω(cupt\'a) *ω(cutt\'a)
ㄴ. V[V[cup]ci] ‘줍지’ --> ω(cupc\'i), *ω(cucc\'i)
ㄷ. N[sim-sa] ‘심사’ --> ω(imsa), *ω(insa)
ㄹ. N[tap-ca] ‘담장’ --> ω(tapc\'a), *ω(tacc\'a)
ㅁ. N[cp-t] ‘접대’ --> ω(cpt\'), *ω(ctt\')
다음은 설정음 + 연구개음의 경우이다. 구개치경음은 (42)에서 보듯이 음절중화를 거쳐 t로 되어 치경음과 같은 결과를 보인다. 치경음 t는 연구개음 k에 동화되어 kk로 발음된다.
(42) Alv + Vel --> Alv - Vel, Vel - Vel
ㄱ. N[N[mith] N[klm]] --> φ(mitk\'rm), φ(mikk\'rm)
ㄴ. N[N[os] N[kli]] --> φ(otk\'ri), φ(okk\'ri)
ㄷ. N[nan-kan] --> ω(nangan), ω(nagan)
ㄹ. N[N[syus] N[kolin]] --> φ(utk\'orin), φ(ukk\'orin)
(43) Alp + Vel --> Alv - Vel, Vel - Vel
ㄱ. QP[mych Q[k]] --> φ(mytk\'), φ(mykk\')
ㄴ. N[nc N[kal]] --> φ(ntk\'al), φ(nkk\'al)
ㄷ. N[pichk\'al] --> ω(pitk\'al), ω(pikk\'al)
(44) Vel + Cor(Alv/Alp) --> Vel-Cor, *Cor-Cor
ㄱ. N[canan] --> ω(canan), ω(cannan)
ㄴ.N[N[klphik] N[ticain]] --> φ(krphikt\'ijain), *φ(krphiktt\'ijain)
(42)과 (43)에서 보듯이 설정음은 뒤에 어떠한 조음점이 오더라도 동화된다. 하지만, 반대로 (44)에서 연구개음은 뒤에 오는 설정음에 동화되지 않는다.
(45)에서 순음 + 연구개음의 연속에서 순음은 뒤에 오는 연구개음에 동화가 되지만, (46)에서 그 역은 성립되지 않는다.
(45) Lab + Vel --> Lab - Vel, Vel - Vel
ㄱ. N[N[pap] N[krs]] --> φ(papk\'rt), φ(pakk\'rt)
ㄴ. N[cham N[kilm]] --> φ(chamgirm), φ(chagirm)
(46) Vel + Lab --> Vel - Lab, *Vel - Vel
ㄱ. N[N[kuk] N[pap]] --> φ(kukp\'ap), *φ(kupp\'ap)
ㄴ. N[N[ka] N[mul]] --> φ(kamul), *φ(kammul)
ㄷ. N[N[pk] N[mil]] --> φ(pmir), *φ(pmmir)
참고문헌
강옥미, 위치마디의 내부구조, 국어학회, 1994
국어학회, 2008년도 국어학회 여름학술대회, 2008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서울대학교, 1994
양순임, 말소리, 박이정, 2009
주홍군, 국어 인체 명칭 핵 명사의 조어법특성 연구, 강원대학교, 2010
하세경, 사잇소리와 합성명사의 내부구조, 한국음운론학회, 2006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