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일제강점기]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계엄령,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강제연행,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농지개혁,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식민지통치, 식민주의역사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 일제강점기]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계엄령,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강제연행,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농지개혁,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식민지통치, 식민주의역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계엄령
1. 일제의 「계엄령」은 천황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2. 일제의 「계엄령」은 군대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3. 일제의 「계엄령」은 천황의 명령이었다
4. 일제의 「계엄령」은 죄형법정주의를 침해하는 것이었다

Ⅱ.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인력수탈법령
1. 1937년
2. 1938년 2월
3. 1938년 3월
4. 1938년 7월
5. 1938년 7월
6. 1938년 8월
7. 1939년
8. 1940년 10월
9. 1940년 12월
10. 1941년 1월
11. 1941년 8월
12. 1941년 8월
13. 1941년 9월
14. 1941년 12월
15. 1943년
16. 1944년
17. 1944년
18. 1944년 6월
19. 1945년 2월
20. 1945년 6월

Ⅲ.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대륙병참기지론

Ⅳ.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강제연행

Ⅴ.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산미증식계획

Ⅵ.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농지개혁
1. 농지개혁법의 제정
2. 농지개혁 사업실시 및 성과
3. 농지개혁 후의 농지정책
4. 농지개혁과 소작농 폐지

Ⅶ.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식민지통치

Ⅷ.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식민주의역사학

Ⅸ.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족주의역사학(민족주의사관)
1. 1920년대
1) 신채호의 사론
2) 조선상고사 총론
3) 역사연구의 기본문제
2. 1930년대
1) 위당 정인보
2) 민세 안재홍
3) 호암 문일평
3. 1940년대
1) 홍이섭
2) 남창 손진태
3) 이인영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안 사화 당쟁 세도정치가 ‘망국적인 현상’으로 강조 부각되었던 것은 식민주의사관이 의도한 바였다.
그리하여 식민주의사관으로 구성된 수치스럽고 어두운 한국사는 그것을 읽는 사람들에게 좌절과 실의를 안겨주었고, 민족 냉소주의에 물들게 했다. 식민주의사관으로 편집된 역사책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된 1920년대 말부터 한국의 많은 젊은이들과 지식인들이 자기 민족에 대해 자신감을 잃고 자포자기하거나, 민족 멸시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면서 민족 허무주의에 빠져들었다. 잘못된 역사관에 의한 편향된 역사 인식은 이같이 그 폐해가 심각하다.
Ⅸ.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족주의역사학(민족주의사관)
1. 1920년대
1) 신채호의 사론
신채호는 언론가정치가독립운동가로서 알려진 사람으로, 황성신문의 주필로 있었으며, 일제와의 타협을 끝까지 거부하였고, 반제국주의 투쟁을 하였다. 또한, 그는 박은식의 역사학을 계승한계를 극복하여 근대 역사학을 완성하였다.
1) 저서
①「독사신론」(1908) - 임나일본부설과 일선동조론을 비판하였고, 묘청의 난을 천년에 한 번정도 있을 일로 높이 평가하였다. 성균관 박사시절에 저술.
②「朝鮮上古史」(1928) - 한국의 고대사(고대~삼국시대)에 대한 저술로, 일본관학자들의 고대사 왜곡에 대항하여 실제 답사후 집필하였고, 1920년 집필을 시작하여 1928년에 탈고. 단재 신채호의 사상이 들어 있고, 일본관학자들의 타율적사대주의적인 한국사인식을 비판하였다. 한국의 고대사가 자체적으로 발전하였음을 주장.
③「朝鮮史硏究草」(1925) - 역사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식민사관을 철저히 비판한 6편의 논문
④「朝鮮革命宣言」- 義烈團을 위해 작성한 것으로, 민중적 입장에서 사회개혁을 전망하고 민중이 독립투사가 되어야한다는 내용
cf) 義烈團 - 독립운동기관으로 신채호가 「朝鮮革命宣言」을 작성해준 단체로 총독부고관군부수뇌반민족주의자매국노친일파 등을 암살대상으로 선정하고, 총독부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을 파괴대상으로 선정하여 테러했던 단체
2) 신채호 역사학의 본질
2) 조선상고사 총론
「歷史란 我와 非我의 투쟁의 기록이다」→ 주체성의 문제를 높이 평가
① 민중주체 투쟁사관을 제시하였다.
② 우리 역사발전의 주체를 무산자로 설정하였고 이는 그가 근대 역사학은 특권층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민족전체의 역사가 되어야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성립되는 것이라 볼 수 있겠다.
③ 민족과 국가의 주체성을 강조하였다.
3) 역사연구의 기본문제
우리나라를 주체로 하여 주체성 있게 기술해야한다는 것을 주장
→ 주체성이 없는 것은 역사학이 아님.
* 전통역사서에 대한 비판 → 우선 정확성이 기해지지 않은 것(시간지명인명)을 비판하였고, 주체성이 상실된 중국중심의 역사 기술을 또한 비판하고 있다.
* 신채호의 주장; 근대역사학은 특권층을 대상을 하지 않고, 민족 전체의 역사가 되어야한다. 민족과 더불어 민중전체의 역사학이 중요하다.
⇒ 역사의 주체로 민족이 강조되고, 민족 속에서 민중이 의식되어야 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2. 1930년대
1) 위당 정인보
→ 한학자로 동아일보에 「오천년간의 조선의 얼」을 연재하였고, 「朝鮮史硏究(상하)」- 고조선에서 삼국시대까지를 연구
① 고대사를 민족사라는 입장에서 체계화하였다.
② 한사군론을 전면 부정하였다.
③ 단재 신채호의 이론을 완성하였다.
2) 민세 안재홍
역사연구를 독립투쟁의 방법으로 고대사 연구에 몰두한 사람이다.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졸업후 망명하였다.
* 저서 : 「朝鮮上古史鑑」(상하)
① 신채호와 정인보의 고대사연구를 한층 더 심화하고 체계화 하였으며, 일본 관학자들의 역사 왜곡을 폭로
② 단군조선~삼국시대를 고조선 사회의 발전과정으로 성립되었음을 논리적으로 개진
③ 연구방법의 특징 : 이전의 고대사의 언어적인 접근에 더하여 사회발전단계로 고대사를 규명
④ 신민족주의 이론을 주창. 민족사학의 기층논리로 작용 → 내적으로 민주주의, 외적으로 자주독립국가가 되어 이러한 상태에서 민족이 발전성장하는 것을 희망
3) 호암 문일평
정치학을 전공하였고, 중국으로 망명을 하였었다. 언론을 통해 역사연구를 하였다.
① 민중을 계몽하는데 힘씀.
② 역사의식과 역사학에 있어서 신채호가 제시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취급하고 해결하려 함.
* 연구업적의 특징
① 국제간에 있어서 아와 비아의 논리로서 대외관계를 연구. 냉철한 국제 형식에서 우리의 위치를 인식
② 사회관계를 ‘아비아’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사회적 모순관계 규명
③ 사상문화발전단계아의 성장 발달형태를 대중에게 인식시켜 민족주의를 심어주는 것을 꾀함 → 민중의 계몽화역사의 대중화
3. 1940년대
1) 홍이섭
「朝鮮科學史」- 기술사의 범위를 넘어선 문화일반을 체계화한 문화사를 저술
→ 그는 역사의 주체는 민중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 사람이 이끌어야한다고 주장
그 외의 저술 :「韓國史 硏究方法論」,「日帝侵略史」등도 저술하였다.
2) 남창 손진태
* 저술 :「朝鮮民族史槪論」(1948),「국사대요」(1949)
세계적, 개방적, 친화적인 신민족주의 이론으로 우리의 역사를 설명하였다.
민족성장의 논리와 사회발전의 문제로 역사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3) 이인영
민족주의 입장에서 「한국만주관계사(1948)」과「국사요론(1950)」을 저술
자유와 평등에 큰 관심을 보였고, 이에 입각한 민족사관의 수립을 주장하였다.
* 우리나라 역사세계사간의 조화를 찾아야 한다.
* 역사의식 → 확고한 현대의식이 없는 역사학은 역사학이 아니다. 기층에 민족의식 등을 깔되 현대의식이 있어야한다.
참고문헌
◇ 김수진(1991), 일제의 인력 수탈과 그 역사의 현장, 호남신학대학교
◇ 김은경(1999), 식민지 조선의 대륙병참기지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 김동훈(1986), 일제의 한국식민지통치기구와 그 운용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 박영구(1991), 일제하 산미증식계획의 경제사적 성격 연구, 연세대학교
◇ 백윤철(2009), 계엄법에 관한 연구 : 일제의계엄령과 건국 초기의 계엄법, 단국대학교부설법학연구소
◇ 정혜경(2002), 일제 말기 강제연행 노동력 동원의 사례, 문화체육관광부
  • 가격9,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