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국가 언어, 동아시아국가, 한국 언어, 러시아 언어, 중국 언어, 타이(태국) 언어]동아시아국가 한국의 언어, 동아시아국가 러시아의 언어, 동아시아국가 중국의 언어, 동아시아국가 타이(태국)의 언어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국가 언어, 동아시아국가, 한국 언어, 러시아 언어, 중국 언어, 타이(태국) 언어]동아시아국가 한국의 언어, 동아시아국가 러시아의 언어, 동아시아국가 중국의 언어, 동아시아국가 타이(태국)의 언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아시아국가 한국의 언어

Ⅲ. 동아시아국가 러시아의 언어
1. 인도-유럽어족(Indo-European)
2. 알타이어족의 튀르크어군(Turkic)
3. 알타이어족의 몽고어군(Mongolian)
4. 알타이어족의 퉁구스어군(Tungusic)
5. 古아시아諸語(Paleosiberian)
6. 에스키모-알레우트제어(Eskimo-Aleut)

Ⅳ. 동아시아국가 중국의 언어

Ⅴ. 동아시아국가 타이(태국)의 언어
1. 오스트로-타이어족의 다이 어군
2. 오스트로-타이어족의 Miao-Yao 어군
3.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의 몬-크메르 어군
4. 한-장 어족의 티베트-버마 어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체수(體數)이다. 그리하여 모두 160개의 운류가 있게 되는데 이 160은 태양소양태강소강(太陽少陽太剛少剛)의 체수(體數)이다. 또 소옹은 하늘과 땅이 3/10정도 겹쳐진다고 하면서(‘天地之交十之三’), 천지(天地)가 교합되는 3/10에는 소리와 글자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각 소류의 마지막 세 류에는 소리와 글자가 없는 하늘의 둥근 모양을 상징하는 까만 동그라미(●)로 표시하였다. 나머지 일곱류에 112개의 운류가 포함되는데 112는 바로 태양소양태강소강(太陽少陽太剛少剛)의 용수(用數)이다. 그 중에도 음은 있지만 해당 글자가 없는 경우는 ○로 표시하고, 글자가 있는 경우는 해당 글자를 대입시켰다.
또 지음(地音)의 체계는 땅의 사상(四象)인 수화토석(水火土石)에 개발수폐(開 · 發 · 收 · 閉)의 사등(四等) 체계를 연계시키고, 다시 각 류를 수화토석(水火土石)의 4류로 나눈 16개 소류이다. 각 소류마다 12개의 성모가 포함되는데 12의 수는 바로 태음(太陰), 소음(少陰), 태유(太柔), 소유(少柔)의 각각의 체수(體數)이다. 그리하여 모두 192개의 성류가 있는데 이 192는 또한 태음소음태유소유(太陰少陰太柔少柔)의 체수(體數)이다. 천성(天聲)처럼 지음(地音)에도 음도 글자도 없는 것이 40개인데 땅의 네모난 모양을 상징하여 까만 네모(■)로 표시하였다. 그리하여 192개의 성류에서 40개를 제하면 152개가 남는데 152는 바로 태음소음태유소유(太陰少陰太柔少柔)의 용수(用數)이다. 그 중에도 음은 있지만 해당 글자가 없는 경우는 □로 표시하고, 글자가 있는 경우는 해당 글자를 대입시켰다. 이상의 내용을 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正聲 :① 有字 + ○ + ●10聲×4×4 = 160(體數)
② 有字 + ○7聲×4×4 = 112(用數)
③ 有字112-29 = 83
正音 :① 有字 + □ + ■12音×4×4 = 192(體數)
② 有字 + □ 192-40 = 152(用數)
③ 有字 152-40 = 112
全數 :① 160(正聲의 體數) × 192(正音의 體數) = 30,720
192(正音의 體數) × 160(正聲의 體數) = 30,720
② 112(正聲의 用數) × 152(正音의 用數) = 17,024
152(正音의 用數) × 112(正聲의 用數) = 17,024
③ 17,024(動物의 用數)×17,024(植物의用數) = 89,816,566
즉, 소옹은주역(周易)을 연구하면서 도출한 상수개념으로 세상의 모든 만물의 음을 숫자로 연역한 후, 표준적이고 이상적인 말소리체계를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와음(訛音)을 시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말소리 안에는 도가 담겨져 있으므로 우주만물의 생성원리를 적용시켜 올바른 음을 구현해내야만 진정한 도를 재현할 수 있다는 ‘천인합일(天人合一)’과 ‘성음교화사상(聲音敎化思想)’ 등의 동양의 전통적 사유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후대에 소옹은 유학에 있어서 ‘북송오자(北宋五子)’의 한 사람으로 추대되었고, 그의 저서인 황극경세서는 유학의 경전으로서 매우 존중되고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 명대(明代)에 경서에 대한 송대(宋代)의 여러 학설을 집대성하여 오경대전(五經大典),사서대전(四書大典),성리대전(性理大典)을 편찬하였는데 소옹의 황극경세 · 성음창화도는 성리대전의 7~13권에 수록되어 있었다. 당시 유학은 지식과 생활, 행위와 이념을 선도하는 총체적 영향력을 가지는 시대의 중심사상으로 기능하였으므로 문인들이 신유학을 공부하면서 접하게 된 소옹의 정음 사상은 바로 그 세계를 지배하는 절대적인 언어관으로 인식되었다.
그리하여 현존하는 약 120여 종의 명청시기 대부분의 운도는 작자들의 자술(自述)과 자료 분석을 통해 볼 때, 소옹의 정음 사상에 입각하여 우주만물의 생성원리에 따라 인류 공동의 말소리를 표현하는 정음 체계를 구현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체제면에서도 당송시기의 운도와는 차별적으로 ‘음(音)’이 성모를 가리키고 ‘성(聲)’은 운모를 의미하며, ‘개발수폐(開發收閉)’로 사등(四等)을 구별하는 등 소옹의 <성음창화도>에서 사용된 술어가 명 · 청시기의 운도에 계속 사용되었고, 천성(天聲)과 지음(地音)에 글자가 없는 빈자리를 ‘●(천성)’과 ‘■(지음)’으로 표시하는 방법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이는 바로 유교적 언어관, 즉 소옹의 정음 사상이 계승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Ⅴ. 동아시아국가 타이(태국)의 언어
타이는 면적이 514,000 평방킬로미터, 인구가 5300만(1987년)이다. 인구의 85 퍼센트 이상이 Thai語의 어떤 방언을 사용한다. 중부 내륙 산악 지대에 여러 가지 다이 어군의 언어들이 존재하고, 남쪽에는 Pak-Thai, 북부 버어마 및 라오스와 국경지역에 같은 다이 어군 및 漢藏어족에 속하는 다수 언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여러 언어들이 타이와 라오스, 타이와 미얀마에 공통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주요 언어는 아래와 같다.
1. 오스트로-타이어족의 다이 어군
Thai2100만
Lao/Korat2250만(라오스의 공용언어, 타이에 다수 거주)
ak Tay/ 南 Tay 500만
Phuan8만
Yo5만 (일부 라오스 거주)
Saek2.5만 (라오스 거주 포함)
2. 오스트로-타이어족의 Miao-Yao 어군
Hmong/Mong, Mien, Biao-jiao 등
3.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의 몬-크메르 어군
Khmer(캄보디아 공용어)
Mon(미얀마에 다수 거주)
Stieng
4. 한-장 어족의 티베트-버마 어군
Lahu, Akha(이상 중국과 미얀마에 분포)
Padaung, Manu(이상 미얀마에 분포)
참고문헌
- 김혜영(2011), 근대 중국의 언어 연구와 언어 관념 변화, 중국학연구회
- 강덕수(2010), 러시아의 언어 분포에 관한 공간적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러시아연구소
- 이용권(2001), 러시아의 언어정책과 이중언어사용, 한국노어노문학회
- 왕한석(2009), 한국의 언어문화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 담화인지언어학회
- 정희원 외 1명(2010), 말레이시아와 태국의 언어 정책 현황, 국립국어원
- 홍윤표(2009), 20세기 한국의 언어·문학·문화, 국어국문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4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