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BS(위치기반서비스), 위치추적방식]LBS(위치기반서비스)의 정의,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LBS(위치기반서비스)의 내용,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위치추적방식,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사례 분석(기반서비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BS(위치기반서비스), 위치추적방식]LBS(위치기반서비스)의 정의,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LBS(위치기반서비스)의 내용,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위치추적방식,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사례 분석(기반서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정의

Ⅲ.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Ⅳ. LBS(위치기반서비스)의 내용

Ⅴ.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위치추적방식
1. 위치정보와 법적인 지위
2. 위치추적 기술 및 정확도
3. 위치기반서비스

Ⅵ.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사례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심장박동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내놓았다. 보호자는 피보호자가 이탈해서는 안 될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가 납치나 길을 잃어 지정된 영역을 이탈하였을 경우에 휴대폰이나 호출기를 통해서 보호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알려준다.
위치추적 기술은 범죄자의 관리 목적으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현재 일부 기소자는 전자꼬리표를 부착한 상태로 자택구금형에 처해지는데, 이 꼬리표는 기지국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형집행 대상자가 특정 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경찰 당국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플로리다 소재의 프로테크 모니터링(Pro Tech Monitoring)사는 가석방 및 보호감찰 대상자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디지털 엔젤과는 반대의 방식으로, 비허가된 특정 영역에 감찰 대상자가 진입했을 때 자동적으로 경찰서나 법원에 알려주게 되어 있는 시스템이다. 이는 가정폭력범과 같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접근하여 보복과 같은 행위를 할 수 있는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Ⅶ. 결론
국내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는 열악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관에서 비교적 장기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의 표준화 시도는 크게 차량항법장치용 수치지도 제작부문의 연구와 NGIS 또는 GIS-T등 정부 주도의 표준화 부분으로 대별하여 볼 수 있다.
민간 부문의 표준화 시도는 ITS 부문 중 차량항법장치 단말기 또는 통합관제센터에서 소요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표준화된 형태로 정착되지는 못하고 있다. 민간 부문의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 개발 사례는 현대전자, 대우정밀, 만도기계, 삼성전자 등 주로 완성차 조립업체와 긴밀한 연계관계를 가지는 업체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각각 고유한 기술개발 또는 선진 기술의 지원을 받아 국내 실정에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를 시도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각 업체의 데이터베이스는 고유한 특색을 가지고 있으며, 이 특색들은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관리기법에서부터 특정 도로교통규제여건의 표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장 기본적인 위치 표현방식인 Location Referencing에 대해서도 상이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어, 현재까지는 그 비교우위를 명확히 논의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예를 들어, 교차로의 표현에 있어서 도로를 두 개의 선형으로 표기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하나의 교차로에서는 기본적으로 4개의 교차점이 발생하며, 교차로명이나 교차로의 특성들과 같은 기본적인 속성들은 4개의 교차점에 동일하게 수록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와 두 번째로, 도로가 두 개의 선형으로 표기되어 있다 하더라도 교차로에서는 접점을 형성시켜 하나의 교차로만을 발생시켜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두 방법은 단순히 데이터베이스의 양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제작 과정에서의 난이성 및 유지보수상의 난이점, 그리고 실제 시스템에서의 처리부하 등을 고려할 때, 현재까지는 어떤 방법이 비교우위에 있는 지를 논의하기는 어렵다.
또 한 가지 Location Referencing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는 터널, 고가차로 또는 지하차로 등과 같은 주요한 도로시설물의 위치 표현방식이다.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는 방식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단순히 도로시설물에 대한 속성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의사교차점을 형성시켜 해당 도로 시설물을 별도의 선형으로 구분한 다음, 해당 선형을 도로시설물로 지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평이한 접근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해당도로시설물에 대한 형상점을 기준으로, 별도로 생성된 도로시설물 관리 데이터에 특정 형상점을 기록하여 도로시설물이 어떻게 존재하는 지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해당도로시설물에 대한 별도의 관리 데이터를 형성하고 여기에, 지구좌표계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상기에 예로 든 세 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국내의 여건에서 어느 방법이 비교우위에 있다고 단적으로 지적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위치를 표현하는 기본적인 방법인 Location Referencing에 기본적인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만이 관련 분야의 연구 및 산업의 발전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반적인 민간부문에서 제시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표준화의 전반적인 추세가 표준화된 좌표를 기본으로 Link ID 또는 다른 형태의 Unique ID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추세로 움직이고 있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해 하나의 표준화된 Meta Data 또는 기초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수요가 다시 일고 있어, 전반적인 데이터베이스의 표준화 방향이 다시 한번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주도로 추진되는 NGIS 및 GIS-T는 현재까지는 ITS를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특히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방식 또는 위치의 표현방식이 ITS 보다는 일반적인 GIS를 위해 설정된 표준이므로 상당한 보완이 요구된다. NGIS 또는 GIS-T로서의 표준화를 위해서, 민간 또는 각 기관 등 일선 수요처에서는 호환표준으로서의 규격을 요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국내 기술을 감안할 때, 부분적인 보완만 이루어진다면 호환표준으로서의 적용은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참고문헌
▷ 김광열 외 5명(2011), 위치 기반 서비스의 최근 동향, 한국통신학회
▷ 김도윤(2011),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관광 안내 시스템의 구현, 경기대학교
▷ 서정호(2011),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개인위치정보 감리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 심현보(2012), 위치기반 서비스 고도화 기술 비교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 송은지(2012),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개발 사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 진희채 외 2명(2009), 위치기반서비스의 법률적 규제범위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