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구조 -교량 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구분
다리
소재지
서울 성동구 옥수동
건립기간
1985년 2월 2일
규모
길이는 1,095m. 너비는 35m
한남대교와 성수대교 사이에 있는 연속 트러스교이다. 1980년 6월에 착공하여 1985년 2월 2일에 개통되었다. 다리 가운데로 폭 11m의 지하철 3호선 전철교가 지나고, 각각 2차선으로 된 도로교가 그 양옆으로 난 복합교량인데, 인도폭은 5m이다. 이 다리와 함께 장충체육관∼금호동∼동호대교∼압구정동∼도산대로에 이르는, 길이 5.11km의 동호로도 개통되어, 강남 ·북이 연결되어 있다.
[출처] 동호대교 | 두산백과
한남대교
국가
한국
구분
다리
소재지
서울 용산구 한남동과
강남구 신사동 사이
건립기간
1969년 12월 25일
규모
길이 919m, 너비 51.2m
한강에 건설된 네번째 교량으로,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고속도로의 진입 관문 역할을 한다. 1966년 1월 19일 착공해 4년 만인 1969년 12월 25일 준공하였다. 시공은 현대건설(주), 설계는 동성기술단이 맡았고, 총 공사비는 11억 3300만 원이 들었다.
길이는 970m이며, 너비는 27m로 이 가운데 보도가 3m를 차지했다. 6차선 교량으로 개통 당시에는 제3한강교로 부르다가 1985년 한강종합개발사업을 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상부는 3경간(스팬) 연속 강판형 구조이며, 교각과 교각 사이의 최대 거리는 50m이다. 하부는 골조구조의 절점(節點)이 고정되어 있는 라멘식(式)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총 27개의 기둥과 26기의 우물통기초(피어기초), 1기의 확대기초로 건설되었다.
개통 이후 경부고속도로와 강남대로 등과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하였으나, 인근의 교통량 증가로 인해 1996년 12월부터 기존 교량의 하류에 너비 25.5m, 길이 919m의 확장공사를 시작해 2001년 3월 개통하고 2004년 8월에는 너비 51.2m 왕복 12차로로 확장 개통하였다.
[출처] 한남대교 | 두산백과
반포대교
국가
한국
구분
다리
소재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 사이
건립기간
1982년 6월 25일
규모
길이 1,490m, 너비 25m,
한국 최초의 2층 교량으로, 1층은 홍수가 났을 때 물에 잠기도록 설계된 잠수교(潛水橋)이고, 2층이 반포대교이다. 잠수교는 1975년 9월에 착공해 이듬해 7월 15일 완공하였고, 반포대교는 1980년 1월에 착공해 1982년 6월 25일 완공하였다. 공사비는 잠수교가 28억 6000만 원, 반포대교는 215억 원이 들었다. 시공은 벽산건설(주)(당시 한국건업)이, 설계는 대한콘설탄트가 맡았고, 설계법은 허용응력설계법을 적용하였다.
[출처] 반포대교 | 두산백과
동작대교
국가
한국
구분
다리
소재지
서울 동작구 동작동
건립기간
1984년 11월
규모
연장 1,330m, 폭 40m
한강대교와 반포대교 사이에 있다. 도로교와 지하철 4호선 전철교의 복합 교량으로, 그 폭이 한강다리 가운데서 가장 넓으며 도로교는 6차선 차도 23.6m에 양쪽 인도 5m씩이고, 전철교는 복선 11.4m이다.
서울시가 한강대교와 반포대교의 과밀교통량 분산효과를 기대하고 1978년 10월에 착공하여 1984년 11월에 총공사비 550억 원을 들여 준공하였다. 난간이 알루미늄으로 꾸며졌으며, 조명효과를 위하여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으로 가로등을 달았다.
[출처] 동작대교 | 두산백과
노량대교
국가
한국
구분
다리
소재지
서울 동작구 본동
건립기간
1986년
규모
길이 2,070 m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鷺粱津洞)과 동작동(銅雀洞) 사이의 한강변에 놓인 다리로 길이 2,070 m이며 1986년에 준공되었다. 86서울아시아경기대회와 88서울올림픽대회를 앞두고 건설하였으며, 올림픽대로에 있다. 이 다리의 건설로 김포공항~잠실종합경기장 간의 주행시간을 단축하였고, 서울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많은 교통량을 흡수하게 되었다.
[출처] 노량대교 | 두산백과
행주대교
국가
한국
구분
다리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건립기간
1995년 5월
규모
길이 1,460m, 너비 14.5m
1978년 준공된 행주대교의 교량 너비가 10m에 불과해 비좁고 주변 지역에 신도시가 들어서 교통량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본래 1987년 공사를 시작하여 1992년 12월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1992년 7월 31일 구조상의 문제로 일부 구간이 무너져 내려 오히려 수도권 일대의 교통난을 악화시키기도 했다. 이 붕괴사고를 계기로 1995년 정부에서는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공공 시설물에 대한 미관을 중시하여 1997년 5월 한강 다리 중에서 최초로 조명시설이 설치되었다.
1996년부터는 제2신행주대교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2000년 12월 16일 개통되었다. 이에 따라 신행주대교는 고양시에서 서울 방향, 제2신행주대교는 서울에서 고양시 방향으로 각각 일방통행하게 되었다. 각 노선은 편도 3차선이다. 그리고 그 동안 승용차만 다니던 행주대교는 비상도로로 활용하다가 철거될 계획이다. 다리 북쪽의 덕양산(德陽山)에 행주산성이 있다.
[출처] 신행주대교 | 두산백과
김포대교
국가
한국
구분
다리
소재지
경기 고양시 덕양구 신평동
건립기간
1997년 10월
규모
길이 2,280m(총연장 1,475m), 너비 38.2m
1차도는 8차선으로 28.8m이고 중앙에는 너비 3.4m의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구조는 교대가 20기이고, 경간 사이의 최대 거리는 125m에 이른다. 총 공사비는 1,431억원이 들어갔다. 서울 외부순환고속도로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한강 다리로는 21번째이다. 한강 다리 중에서 너비가 가장 넓고 길이도 가장 길다.
남쪽은 김포제방도로를 가로지르고 고양시 쪽으로는 자유로를 가로지른다. 자유로와는 신평인터체인지로 이어지며, 남쪽에서는 김포인터체인지에서 48번 국도와 이어진다. 최신식 다리인만큼 하부의 교각이 상부구조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이 뛰어나다. 김포시와 고양시 일산 지역은 물론 문산읍과 파주시, 서울특별시 서부 지역의 교통난을 분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 김포대교 | 두산백과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