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기원, 특성과 역사,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재간, 기술,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허리기술,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한국 전통놀이 씨름 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기원, 특성과 역사,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재간, 기술,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허리기술,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한국 전통놀이 씨름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기원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특성과 역사
1. 씨름의 특성
1) 특성
2) 효과
2. 씨름의 역사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재간
1. 팔재간
2. 다리재간
3. 들재간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기술
1. 앞무릎치기
2. 오금당기기
3. 안다리걸기
4. 덧걸이
5. 들배지기
6. 엉덩배지기
7. 잡채기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허리기술
1. 배지기
2. 오른 배지기
3. 맞배지기
4. 엉덩 배지기
5. 돌림 배지기
6. 들배지기
7. 들어 놓기
8. 돌려 뿌리치기
9. 공중 던지기
10. 허리 꺾기
11. 밀어 던지기
12. 차 돌리기
13. 잡채기
14. 들어 잡채기
15. 옆채기
16. 업어 던지기
17. 어깨 넘어 던지기
18. 자반 뒤지기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와서부터 이 절차까지는 겨루기 전까지의 스모 의식의 하나로서 치른다. 그리고는 중앙에서 상대방과 마주하여 다시 시코를 한 다음 준비자세에 들어간다. 이때 주심을 교지라고 하며 교지는 두 선수의 호흡이 맞았다고 보았을 때 겨루기 명령을 내린다. 승부의 판정은 도효 안에서 선수의 발바닥 이외의 신체일부가 먼저 바닥에 닿았을 때 패자가 되며, 도효밖으로 밀려나가도 패자가 되는 것이다.
스모 승부 중 대표적인 함판인 요리키리(밀어내기)는 선 자세에서 상대방의 앞이나 옆을 밀어, 장외로 밀어내는 기술인데 여기서 배가 나온 이유를 알 수가 있었다. 배가 없이 날씬하면 당장에 허리꺽기에 걸리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배가 없는 초보선수는 우선 운동에 필요한 양의 밥을 죽으로 만들어 끼니를 떼워서 배를 만든다고 한다.
우리나라 씨름과 다른 점은 여러가지지만 가장 다른 점은 우선 한판 승부라는 점이었다. 3판 2승이니,5판 3승 같은 것은 절대로 존재하지 않았다. 무조건 한 번지면 그걸로 끝이었다. 일본 정말로 무서운 나라다. 그런데 일본은 모든 싸움에서 단 한판의 승부를 즐기는 것 같아보였다.
변명도 없고, 이유도 없는 깨끗한 경기를 한다는 것은 참 좋았다.
또 다른 점이라면 동서 양 팀으로 다 나눠서 싸우지만 팀의 승리는 전혀 의미가 없고 개인의 성적으로 한명의 우승자를 가린다는 것이다.
또 싸울때 ,우리와 달리 잡지 않고 마구 밀거나 넘어뜨린다. 심지어는 손바닥으로 상대의 뺨을 왕복으로 갈기기도 하는데 주먹이 아니면 반칙이 아니라는 점에 대하여 참 의아했다.
이 밖에도 다른 점이 있다. 상금이 많은데 상금보다는 일단 우승하고 나면 부수입이 훨씬 더 많은 것 또한 특징이다.
그리고 씨름장에다 소금을 휘휙 뿌리고 손가락에 묻은 소금을 쩝 맛보는거 보았을 것이다.
소금을 뿌리는 건 잡귀를 없애는 행위이고 맛 보는 건, 시합에 지면 이 소금 맛보다 더 짠 쓰라린 신세가 됨을 스스로에게 상기시키는 행위라고한다.
세세한 경기 하나에도 그렇게 목숨을 걸고 하는 걸 보면 정말 놀랍다.
그리고 일본의 3대 스포츠 중에서 하나이지만 우리나라는 명절 때에 TV에서 가끔 해주지만 우리나라의 씨름은 인기가 없다.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방법
씨름은 두 사람이 다리에 낀 샅바와 허리에 맨 띠를 잡고 넘어뜨리기를 겨루는 방법으로 한다. 씨름은 예전에는 씨름판 주위에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놀이였지만, 경기로 정착되면서 단체 겨루기는 몸무게에 따라 여러 급을 나누어 하거나 몸무게에 구별 없이 겨루기도 한다. 우 리 나라 씨름은 넓적다리에 샅바를 매고 하는데 어느 쪽에 매는 가에 따라 왼 씨름과 바른 씨름으로 구분한다. 그 가운데서 왼 씨름이 보편적이다.
또 같은 샅바를 매는 씨름에도 된샅바걸 이 씨름 막걸리 시름, 늦은 샅바 걸이 씨름, 허리띠 씨름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그밖에 샅바를 매지 않고 하는 민둥씨름이 있다. 씨름은 힘과 재주를 가져야 이길 수 있는 놀이로 샅바 잡기, 몸자세 취하기, 발 옮겨 디디기 등의 기술이 있어야 한다. 샅바 잡기는 먼저 샅바의 한 쪽을 다리에 끼고 나머지 부분을 허리에 둘러서 배의 중심에 맨 다음 짧은 한 쪽 끝을 남긴다.
선수들은 허리를 펴고 가까이 마주서서 허리를 잡는다. 이 때 엄지손가락은 다리띠 앞부분에 가 닿게 하고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는 다리띠 바깥쪽을 감아 잡는다. 다리띠는 손목이나 팔뚝으로 걸어 잡지 못한다. 다음은 오른손으로 상대편의 허리띠를 잡는데 이때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을 펴서 띠의 윗 부분으로부터 아래에 껴서 손목 을 돌려 엄지손가락과 같이 감아 잡는다. 상대편은 상대가 허리띠를 잡는데 불리하지 않게 하 여야 한다.
샅바를 마주잡은 다음 두발을 안전하게 벌려 디디고 몸을 앞으로 굽혀 서로 오른쪽 어깨를 마 주 댄다. 다음 다리를 펴고 머리를 앞으로 들어 잔등이 서로 수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 한 자세 다음에는 공격이나 방어를 하기 위하여 왼 다리를 한 걸음 정도 앞에 내디디고 무릎을 약간 굽히면서 엉덩이를 뒤로 보내고 허리를 쭉 편다.
그리고 몸의 중심을 두 다리 사이에 높아 균형을 잡는다. 방어하려 할 때나 손을 써서 공격하려 할 때에는 낮은 자세를 취하고 몸으로나 다리를 서서 공격하려 할 때에는 높은 자세를 취해야 한다. 씨름의 기술에는 크게 공격 기술 [메지기]와 방어 기술[되지기]로 나눌 수가 있다. 메지기는 다 시 허리재간다리재간손(팔)재간이 있다. 허리재간은 상대방을 자기 앞으로 끌어당겨 위로 들어 좌우로 돌리며 젖혀서 뒤나 옆으로 넘어뜨리는 기술이다. 허리 재간의 종류는 배재기, 엉덩배재기, 재치기, 돌려치기, 회목받치기, 회목걸이, 뛰어 던지기 등이 있다. 다리재간은 상대방을 자기의 발과 다리로 걸고 앞으로 당기며 또 뒤로 밀며 옆으로 틀며 돌리면서 후리며 넘어뜨리는 재간이다.
이 기술로는 안다리걸기, 안다리 젖히기, 안다리후리기, 앞 다리 걸기, 덧거리, 바깥다리걸기, 바깥다리 후리기 가 있다. 마지막 손재간은 상대를 자신의 손으로 앞으로 당기고 밀며 앞으로 젖히며 넘어뜨리는 기술이 다. 앞무릎치기, 앞무릎뒤집기, 뒷무릎치기, 앞다리채기, 덜미잡이, 꼭두잡이, 팔걸이가 있다. 이 외에도 되치기라는 기술이 있는데 이는 각 재간을 공격받아 오히려 역공격하는 기술을 말한다.
씨름의 기술로서 인정할 수 없는 이른 바 반칙 행위로는 목을 조르거나 비트는 행위, 팔을 비틀거나 꺾는 행위, 머리로 받는 행위, 주먹으로 치는 행위, 발로 차는 행위, 경고를 받고도 재 차 반칙을 되풀이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김효경, 씨름의 사회사 : 역사적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2003
김영만 외 1명, 한국의 전통무예 활쏘기, 씨름, 택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2011
유승록, 씨름지도행동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 용인대학교, 2009
유오근, 우리나라 민속 씨름의 시대적 발전과정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1984
이태현, 민속 씨름경기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2001
이용완, 씨름경기의 체급별 기술유형 비교 분석, 공주대학교, 2002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