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인의 생활과 정신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인의 생활과 정신문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고구려의 성립 - 전성기 - 멸망

* 고구려인의 생활
1. 의
2. 식
3. 주
4. 생업과 교육 그리고 율령(법)
5. 결혼 & 장례 (무덤)
6. 예술문화 - 건축, 공예, 회화(고분벽화)
7. 풍속
8. 언어

고구려인의 정신문화

1. 종교와 신앙 - 벽화
2. 인생관
3. 천하관 (세상의 중심은 우리)

정리

본문내용

>돌무지에서 굴식 돌방으로
굴식 돌방무덤의 대표적 예로써, 다듬은 돌을 계단식으로 7층까지 쌓아 올린 장군총
고분 벽화 : 초기에는 주로 무덤 주인의 생활을 표현한 그림->후기로 갈수록 점차 추상화 되어 사신도와 같은 상징적 그림으로 변모// 무용총의 사냥 그림과 강서대묘의 사신도에서
고구려의 패기와 진취성을 엿볼 수 있음.
2) 고구려의 공예
투각초화무늬 금동관// 투각화염무늬 금동관//금동귀걸이
->무늬가 정교하고 지밀하며 유려함
토기는 백제.가야.신라에 비하여 장기간 존속하였고,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되었으나
출토물은 지극히 적음.
3) 고구려의 회화
고구려 무덤의 내부에 그린 고분벽화는 회를 바른 벽면 또는 돌벽에 그림- 그 내용으로
인물화,풍속화,동식물화, 산수화, 신비화, 천체도, 건축, 의장, 장식무늬 등 다양
필치는 세련되고 원숙하며, 섬세하면서도 억세고 호탕함
7. 고구려인의 풍속
검소하고 청결하고 상무적이며 기사에 능함
가옥은 왕궁과 관청, 사원등에만 기와를 덮고, 일반 민가는 초가였으며 온돌을 사용.
귀족의 모자는 소골이라고 하여 깃과 금으로 장식한 비단으로 된 관을 썼으며 관리는 등급에 따라 복색이 다르고 무사는 절풍이란 건을 썼음.
상류층에서는 바둑, 투호, 축국 등 대륙식 오락을 즐기고 하류층에서는 무도, 음악, 석전, 씨름 등을 즐김. 장례풍속은 껴묻거리를 관 속에 넣는 풍속이 있었음. 특히 10월에는 시조신을 모시는 동맹이라는 제전을 열어 부족의 전통을 재확인
8. 고구려인의 언어
고구려 언어는 부여의 언어와 비슷하며 옥저 및 예와의 언어와도 비슷하여 하나의 어군을 이루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훗날 고구려가 부여 , 옥저, 예 등을 통일하면서 고구려어는 이 어군을 대표하는 언어로 후세에 까지 그 자료가 남아있다.
* 대표적인 자료
<삼국사기> <지리지>
-단어의 발음과 의미를 재구 할 수 있음.
-같은 지명에 대하여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한 것과 훈을 빌려 표기
* 고구려어의 계통적 위치
- 신라어(또는 중세어)와 다른 언어였음을 알 수 있으나 서로 가까운 친족관계에 있었다.
- 신라어 보다 일본어에 더 가까운 친족관계에 있었음이 드러난다.
- 만주통구스제어와도 분명히 친족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지만, 위에서 말한 언어들보단 좀 먼 관계에 있다.
<<고구려인들의 정신문화편>>
9. 고구려인의 종교와 신앙
*고구려인은 귀신, 사직, 영성에게 제사지내기를 좋아함//추모왕과 유화부인을 지칭하는 고 등신과 부여신의 사당(신묘)을 두어 제를 지냄
*동맹 행사->고구려 동쪽 큰 굴(수혈). 매년 10월이면 온 나라 사람들이 모여 수신을 맞이
하여 나라의 동쪽 강가 위에 모시고 가서 왕이 친히 제사를 지냄. 또한 군사적으로 큰 일 이 있을 때도 제천행사를 지냄.
1) 샤머니즘
불교 수용 이전 고구려인들의 정신 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무속신앙
->자연을 중추에 놓고 세계를 파악//인간은 세계의 구성 요소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인 산천과 특이한 돌과 나무, 특정 동물들에 정령이 있다고 믿음
->중개적 역할인 무당의 역할이 중요시 됨(무당은 비단 일상적인 신앙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역할
2) 불교
372년(소수림왕 2년) 순도가 전진의 사신과 함께 와서 불경과 불상을 전하면서 고구려에서 공식적 수용 시작//이어 374년 아도 입국//375년 초문사와 이불란사를 짓고서 각기 순도와 아도를 거처하게 해 불교를 공포하게 함
->수용되는 데 별다른 알력없이 왕실에 의해 환영(왕즉불 사상이 지배체제 확립에 유용하 였으므로)을 받으면서 공인//불교를 통해 사상체계를 통일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함
대승불교인 삼종론이 성행하였으며, 고구려 말기 연개소문의 도교진흥정책으로 불교가 억압받고 쇠퇴함
3) 도교
624년(영류왕 7년) 당고조 이연이 도사를 파견하여 도법을 강론하도록 함//이후 연개소문이 643년에 보장왕에게 도교를 장려함으로써 당에서 도사 숙달 등 8인의 도사와 도덕경을 보내 호응함
->사료상으로는 이것이 고구려 도교의 시초라고 여겨지나, 고구려 고분 벽화들을 살펴보면 실질적으로 도교는 고분 벽화가 그려지기 시작한 시기부터 있었다고 짐작됨
ex)신선도와 사신도 등-매산리 사신총, 무용총, 통구의 사신총, 감신총, 강서대묘, 복사리 고분 등
->고분 벽화에는 사신도와 함께 천제의 사절로서 천계의 길목이자 선향인 곤륜산을 오르내 리는 신조인 봉황도도 자주 등장.
ex)연화총, 쌍영총, 수산리 고분, 안악 1호분, 강서대묘, 약수리 고분
10. 고구려인의 인생관
*조상들이 자신을 돌보아 준다는 관념을 지님->계세사상(현실세계가 다음세계로 이어짐)
효의 발달->조상의 숭배로 이어지고 시조신(추모왕)을 신으로 섬김
=>고구려인의 가치관에 효가 핵심적
*자유의지가 강함-> 자신의 의지대로 남편을 고른 우씨왕후나 평강공주
외부의 적에게 굴복하는 것을 죽기보다 싫어함->외세에 대한 강한 저항 ex)청야전술
11. 고구려인의 천하관
*고구려인 특유의 천손의식과 중국의 천하관에서 받은 영향이 더해진 천하관을 지님//
4세기 말 이후 고구려의 영토가 확장되고 주변 국가들을 지배해 가는 과정에서 구체적
으로 드러남//시조 주몽 때부터 내려온 자신들이 천하의 중심이란 생각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현실적인 힘을 갖게 됨=>고구려 주변 나라들을 고구려에 백성으로 속한 존재라고
여기게 됨 ->광개토대왕릉비, 모두루 묘지,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남
<<정리>>
고구려는 정치와 군사적으로 강국이었으며 제국적인 성격을 띰. 동시에 정신이 자유롭고
문화가 매우 발달한 문화국가였음->고조선과 부여를 계승함.
지리적으로 다양한 자연 환경이 만나는 지역->초원 유목 문화, 화북의 농경 문화, 중국 황하 유역의 문화, 한반도 문화 등이 융합되어 고구려 특유의 문화와 조화.
자신들을 천손이라 칭하여 강한 자의식을 지님. 건국신화를 만들어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고분 벽화나 비문 등에 강하고 당당하게 남김.
문화적으로 개방적이었고 보편성을 지닌 세계적인 인식을 가졌으며, 반면 자기 집단과 문화에 대한 자아 의식이 강하여 종족 정체성에 충실함.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