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사관]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개념,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성립,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내용,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주장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민사관]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개념,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성립,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내용,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주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개념

Ⅲ.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성립

Ⅳ.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내용
1. 일본의 한국사 연구
1) 주자학자
2) 국학자 - 「일본서기」「고사기」
3) 해방론자
2. 조선총독부의 한국사 서술
1) 간행역사서
2) 역사의 왜곡방법
3. 근현대 한국사 서술
1) 타율성 이론
2) 일선동조론, 일선동종론, 일선동역론
3) 정체성 이론

Ⅴ.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주장
1. 일선동조론
2. 당파성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사 연구를 본격화
▽ 침략3서
① 朝鮮王國(1896)
: 國初를 「기자」로 하여, 中國의 分國이며 屬國이라는 주장. 또한 淸日戰爭에 의해 日本이 조선을 獨立시켰다고 주장
② 朝鮮開化史(1901)
: 당파성사대성침체성을 주장
③ 韓半島(1901)
: 한국의 풍부한 지하자원에 대해 스스로 개발능력이 없으므로, 일본이 들어와서 지재하며 개발해야한다는 주장
2. 조선총독부의 한국사 서술
1910년 8월 29일 일제에게 강점당한후 일본은 朝鮮總督府를 설치. 직속기관으로 「조선사편술회」를 설치
1) 간행역사서
① 朝鮮史(全 37권)
② 朝鮮史 안내(1936년)
2) 역사의 왜곡방법
① 歷史의 時代區分에 있어서
기자 → 고조선사회 → 낙랑군시대 → 삼국시대 → 고려 →조선
② 韓國史의 파행성 강조
③ 신라와 백제를 A.D 4세기 이후 성립되었다고 주장 → 역사의 후진성 강조
④ 신라백제가 神功왕후의 직할 지었다고 주장
⑤ 文化模倣流入說을 주장
ex) 훈민정음 몽고 전파설
⑥ 외세의 침략강조
: 외세 되치 능력이 없다고 평가, 능력을 평가하지 않음. (역사서에 기록된 침략만 960여번)
⑦ 사회의 어둡고 수치스러운 면만을 기재
ex) 당쟁, 사화
3. 근현대 한국사 서술
1) 타율성 이론
한민족의 역사발전은 주체적인 전개가 아니라 타율적으로 전개되었다는 주장
① 三品彰英 : 「朝鮮史槪說」-事大主義論, 半島的 性格論
② 稻葉岩吉 : 「滿鮮史 大系의 재인식」
③ 喜田貞吉 : 「滿鮮 不可分의 私的 고찰」
cf) 滿鮮史觀 : 滿洲와 朝鮮이 같은 땅이기에 같은 역사를 가진다는 사관으로 滿洲事變을 일으키는 根據로 삼았다.
2) 일선동조론, 일선동종론, 일선동역론
일본과 조선이 얼굴모양, 어법, 고대 풍습이 같다하여 같은 조상이라는 주장
→ 喜田貞吉, 「한국병합과 국사」
3) 정체성 이론
① 福田德三 : 한국의 경제조직과 경제 단위
② 喜田貞吉 : 경신섬만 여행일지
③ 黑田巖 : 조선 경제 조직과 봉건제도
→ 통치 미화론, 한국은 봉건제가 없었기 때문에 한국의 역사가 일본보다 600년 뒤진다고 주장하였다.
Ⅴ.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주장
1. 일선동조론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은 표면적으로 한국과 일본이 동일한 선조로부터 피를 이어 받은 근친관계에 있다는 주장이지만 내면적으로 고대 이래 한국은 일본의 지배를 받았다는 이론이다. 그 주 내용은 신화시대에는 일본 신의 후손이 조선신이 되었으며, 역사시대에 들어와서는 신공왕후의 신라정벌설과 임나일본부설을 근간으로 한국은 일본의 지배 하에 있었다는 것이다.
2. 당파성론
당파성론은 조선시대 정치사를 대상으로 해서 만든 식민사관에서 나온 것이다. 조선 왕조의 정치를 당쟁이라고 규정하고 매도한 대표적인 사람은 시데하라이다. 그는 1900년에 학정 참여관으로 한국에 와서 교육 분야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던 자였는데, 7년 만에 『한국정쟁지(韓國政爭志)』라는 책을 통하여 당파성 이론을 만들었다. 당쟁이라는 용어를 나름대로 개념 규정하여 처음으로 사용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그는 조선시대의 정파는 “주의를 가지고 서로 대립하는 공당(公黨)이 아니라, 이해를 가지고 서로 배제하는 사쟁(私爭)이다”라고 규정하였다.
참고문헌
* 남재우(2011), 식민사관에 의한 가야사연구와 그 극복, 한국고대사학회
* 박걸순(2001), 식민사관의 형성과 그 논리,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 이신(1986), 민족사관 정립에 관한 연구 식민사관 극복을 중심으로, 국방정신교육원
* 이현희(1987), 사대주의사상과 식민사관의 극복, 대한민국국회
* 이만열(1975), 식민사관이란 무엇인가, 국방부
* 채수목(2008), 식민사관과 민족사관, 담수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7.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0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