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활성화 방안,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향후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활성화 방안,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향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홈네트워크의 개요
 1) 홈네트워크의 개념
 2) 지능형 홈네트워크의 개념
 3) 홈네트워크 용도별 특징
 4) 홈네트워크 전송 방식

2. 홈네트워크 구성 기술과 홈네트워크 서비스
 1) 홈네트워크 구성 기술
 2) 홈네트워크 서비스

3. 스마트홈의 개요
 1) 스마트홈 산업의 개념
 2) 스마트홈 산업의 동향
 3) 국내 신규 공동주택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4) 스마트홈 추진 전략

4.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활성화 방안

5.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향후 전망

【 참고자료 】

본문내용

○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홈 시큐리티’ 서비스 경쟁
-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 IC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알림 및 양방향 서비스
- 사업자별 유사 서비스, 일부 차별화(kt텔레캅)
○ B2C 시장에서 통신사 협력
- B2C 시장의 마케팅 노하우와
서비스 infra에 필수적인 통신
사와 협력 추구
제조사
○ 가전 기기의 스마트화를 통한 스마트홈 추구
- 가전 기기 간 통신 규격 마련,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 모든 스마트 기기, 저장매체의 콘텐츠 관리 및 공유
- ‘홈싱크’와 같은 홈허브 기기 개발
○ 통신사와 서비스 주도 경쟁
-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해 앱 형
태로 서비스 제공
(자료: 박연익·방종수, 2013)
4.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활성화 방안
(1) 홈네트워크 인프라의 유지관리
홈네트워크 인프라는 홈네트워크를 위한 통신망을 의미하며, 이러한 홈네트워크망은 주택 내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설치하는 기기인 디바이스와 센서 등을 연결하고 이를 인터넷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① 관리의 원칙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홈네트워크망은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일정기간 동안 하자보수책임이 있는 건설주체는 홈네트워크망의 하자에 대해 관리책임을 지며, 이후에는 관리주체가 장기수선계획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여야 한다.
② 소유권 귀속
건설사가 주택건설사업을 하는 경우 IT업체에게 단지망을 구축하도록 한 후 이에 대한 소유권을 입주자에게 넘겨야 하는 것이 원칙적인 모습이다. 만일 단지망 소유권을 주택 소유자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단지망을 장기적으로 유지관리, 보수 등을 하는 경우 장기수선충당금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임미숙 외, 2007).
(2) 홈네트워크 설비공간 설치 및 유지관리 방안
① 홈네트워크 설비공간 설치
홈네트워크 설비공간의 설치 기준을 수립하면 그것을 근거로 관련 기기나 장비 등의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좀 더 수월해질 것이다. 설치 기준의 규정에는 우선적으로 이용자들의 안전성 및 편의성과 함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② 홈네트워크 설비공간의 유지관리
홈네트워크 설비공간 내에 설치된 설비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홈네트워크 설비공간은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홈네트워크 설비공간의 관리는 설치에 연속되는 행위로서 설치와 관리 간 유기적인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임미숙 외, 2007).
(3) 스마트홈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사회 문화적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기술적, 제도적 기반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박현제·장동현·박준희, 2013).
(4) 홈네트워크 산업은 다양한 기술과 산업 간 융합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관련 업계의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 홈네트워크(스마트홈) 산업의 향후 전망
(1) 국내, 세계 시마트홈 시장
국내 스마트홈(홈네트워크) 시장이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향후 5년간 3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세계 스마트홈 시장은 2011년 2,472억 달러 규모에서 2016년 3,986억 달러까지 연평균 1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박현제·장동현·박준희, 2013).
(2) 솔루션 공급자가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는 폐쇄적 서비스 환경에서 누구나 서비스를 개발하여 오픈마켓에 올려두면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서비스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① 스마트 폰의 경우 애플이 앱 스토어 기반의 개방된 모바일 생태계를 내세워 모바일 시장을 재편한 이래로 개방화된 서비스 환경이 대세로 자리 잡음
② 스마트TV의 경우도 사용자가 자유롭게 개방된 인터넷 환경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TV의 출하량이 폐쇄적 서비스만 제공하는 스마트TV 출하량을 압도할 것으로 예측된다(NPD DisplaySearch, 2012).
③ 개방형 서비스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홈네트워크나 가전 사업자뿐만 아니라 통신 사업자와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자들이 스마트홈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박현제·장동현·박준희, 2013).
(3) 혈압·혈당 등 생체 모니터링을 비롯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iHealth는 혈당 모니터링 앱(Smart Glucometer)과 액세서리를 활용해 당뇨병 환자들이 효과적으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4) 커넥티드 가전들을 활용한 사업모델도 속속 등장할 것이다.
최근 삼성전자가 국내에서 이마트와 협력, ‘지펠 T9000’ 스마트 냉장고를 통해 식료품의 광고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좋은 사례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 및 센서가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연결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가 구축되면서 고도화되어지는 모습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조성원·노지은, 2013).
(5) 국내 스마트홈 산업의 활성화로 국가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 행복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며, 일자리 창출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최상만, 2013).
【 참고자료 】
최상만(2013)「국내 스마트홈 시장 현황분석 및 활성화 방안」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박현제,장동현,박준희(2013)「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KEIT PD 이슈리포트 2013-5호-이슈5
조성원,노지은(2013)「AT&T 사례를 통해 본 스마트홈 서비스 진화 방향」kt경제경영연구소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2013)「스마트홈 산업의 최근 해외 동향과 향후 과제」동향과 전망 : 방송·통신·전파 통권 제65호
박연익,방종수(2013)「스마트홈 국내외 동향 및 시사점」kt경제경영연구소
임미숙 외(2007)「지능형 홈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건설교통부
문행규,김한,이재수,오성렬(2007)「홈 네트워크 기술기준 도입에 관한 연구」전파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06)「홈네트워크 동향 및 서비스 적용모델 분석」
원정인(2007)「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기술과 보안에 대한 연구」수원대학교 공학대학원 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2.1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