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불교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국불교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교의 정의

2.삼국시대의 불교
-고구려의 불교
-백제의 불교
-신라의 불교

3.불교가 미친 영향
-고대 문화 발전에 공헌
-철학적 인식의 토대구축
-중앙 집권화에 기여, 왕권 강화

4. 호국불교의 정의

5.호국불교 사상의 계승

6.호국불교 사상의 성립

7.호국불교의 부정적인 모습

8.호국불교의 긍정적인 모습

9.호국불교의 대표적 인물
-서산대사
-사명대사
-만해 한용운
-고려시대의 팔관회

10.호국불교 관련 문화재
-표충서원
-황룡사 9층 목탑
-사천왕사
-고려대장경

본문내용

금 더 적극적인 자세로 자국민을 보호하고 불법을 호지하기위한 상대방들의 무자비한 살생을 막아준다는 보살도의 정신을 높이 살린 호국정신 이라는 것이지 살생을 합리화 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9.호국불교의 대표적 인물
-서산대사
서산대사라는 호로 잘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고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웠다. 유(儒)·불(佛)·도(道)는 궁극적으로 일치한다고 주장, 삼교통합론(三敎統合論)의 기원을 이루어 놓았다.
-사명대사
경남 밀양에서 태어난 대사는 1559년 경북 김천 직지사로 출가한뒤 2년 만에 승과에 합격했으며 1575년 봉은사 주지로 천거됐으나 거절하고 서산대사인 휴정의 제자가 됐다.
대사는 금강산에서 수도하던 1590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건봉사에서 승병을 규합, 1593년 1월 평양성 탈환작전에 참가해 혁혁한 전공을 세웠으며 그해 3월 서울인근의 노원평과 우환동, 수락산 전투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
특히 대사는 국방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팔공산성과 금오산성, 용기산성, 남한상성, 부산성 등을 축조하고 투항한 왜군 조총병을 비변사에 보내 조총사용법을 가르치도록 했다.
대사는 특히 1604년 강화교섭을 위해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 전란 당시 잡혀간 3천5백여명의 동포들을 데리고 귀국했으며 1610년 8월 해인사에서 입적했다.
-만해 한용운
한국의 시인, 불교 승려이자 독립 운동가이며 호는 만해(萬海)이다. 일제에 대한 저항 정신으로 집도 조선총독부 반대 방향인 북향으로 지었고, 식량 배급도 거부했다는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다. 1911년 송광사에서 박한영·진진응·김종래 등과 승려궐기대회를 개최하여 일본의 조동종(曹洞宗)과 한국불교의 통합을 꾀한 이회광 등의 친일적인 불교행위를 규탄·저지했다
-고려시대의 팔관회
《삼국사기》에 의하면 팔관회는 551년(진흥왕 12)에 처음 행해진 이래 4 차례의 기록이 보인다. 특히 이 때 행해진 팔관회는 모두 호국적인 성격이 짙었다. 이런 팔관회가 국가적 정기 행사로 자리잡게 된 것은 고려조에 들어서였다. 고려 태조는 〈훈요십조〉에서 '천령(天靈) 및 오악(五惡)·명산(名山)·대천(大川)·용신(龍神)을 섬기는 대회'라고 그 성격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팔관회는 불가에서 말하는 살생·도둑질·간음·헛된 말·음주를 금하는 오대계 (五大戒)에 사치 하지 말고, 높은 곳에 앉지 않고, 오후에는 금식해야 한다는 세가지를 덧붙인 8가지의 계율을 하루 낮 하루 밤 동안에 한하여 엄격히 지키게 하는 불교의식의 하나였다.
10.호국불교 관련 문화재
-표충서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서 큰 공을 세운 서산대사, 사명대사, 기허당대선사의 충렬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으로 설립하고 선조로부터 '표충서원' 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황룡사 9층 목탑
신라가 불교의 힘으로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삼국을 통일하기 위해 탑을 지었다. 실제로 탑이 완공되고 23년 만에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하고, 676년에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사천왕사
경주 낭산의 동남쪽 기슭에 있던 절로서, 이 사천왕사는 신라 문무왕 19년(679)에 낙성됨. 문무왕 14년(674)에 당장(唐將) 유인궤(劉仁軌)가 쳐들어오니, 임금은 이 곳에 나라를 수호하는 사천왕의 이름을 따서 사천왕사를 짓고 기도하였음. 이 절은 신라 시대의 중요한 사찰이므로 이 절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천왕사성전(四天王寺成典)이라는 관청을 두었으며, 장관은 진골(眞骨)출신만이 하였음.
-고려대장경
이 거대한 역사(役事)는 불교를 흥왕(興旺)시키려는 목적도 있었지만 문화국으로서의 위력을 이웃나라에 선양하고, 불력(佛力)으로 국난을 타개함으로써 호국(護國)하겠다는 대발원(大發願)에서 이룩된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3.22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9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