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근대화운동] 양무운동(洋務運動), 변법자강운동(變法自彊運動), 신해혁명(辛亥革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근대화운동] 양무운동(洋務運動), 변법자강운동(變法自彊運動), 신해혁명(辛亥革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洋務運動(양무운동)의 발생 배경
2. 洋務運動(양무운동)의 추진세력
3. 洋務運動(양무운동)의 추진 내용
4. 洋務運動(양무운동)의 평가 및 한계

5. 變法自疆(변법자강)운동의 발생 배경
6. 무술변법의 추진
7. 變法自疆(변법자강)운동의 근본적 목표
8. 무술정변과 변법자강운동의 실패
9. 變法自疆(변법자강)운동의 한계와 역사적의의

10. 共和革命(공화혁명)운동의 전개와 辛亥革命(신해혁명)의 배경
11. 혁명의 성숙
12. 혁명운동의 전개 과정
13. 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14. 辛亥革命(신해혁명)의 평가

본문내용

된 華興會(화흥회)와 光復會(광복회)이다. 華興會는 중국적특성을 고려하여 各 城의 독립을 주장하였으며 光復會는 중국전통사상에 기초하여 자기희생적 혁명도덕을 중시하였다. 따라서 광복회는 ‘테러리즘’을 강조하였으며 피압박민족의 세계적 저항을 주장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혁명파 이외에 입헌군주정을 고집하는 강유위등 保皇派(보황파)와 수만 명의 유학생들이 혁명사조에 열을 올리고 있어서 중국사회의 혁명운동의 성숙함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12. 혁명운동의 전개 과정
1905년 한반도를 둘러싼 러-일전쟁의 결과 일본이 승리하게 되자 중국의 혁명세력은 커다란 충격에 휩싸였다. 혁명파는 이를 전제군주제에 대한 입헌군주제의 승리임과 동시에 유럽에 대한 동양의 승리로 간주하여 혁명운도에 더욱 박차를 가하였다. 따라서 諸革命派(제혁명파)가 興中會+華興會+光復會
가 결집하여 中國同盟會(중국동맹회)를 결성하였으며 손문을 총리로 선출하였다. 손문은 오랑캐를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는 【민족주의】 恢復中華(회복중화)
와 ‘입법 사법 행정 감찰 고시’의 5권 분립을 원칙으로 하여 民國(민국)창립을 주창하는 【민권주의】, 그리고 토지소유권을 균등히 하는 【민생주의】 平均地權(평균지권)-耕作者其有田(경작자기유전)원칙
으로 구성되어 있는 三民主義(삼민주의)를 정치적 이념으로 채택하여 동맹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삼민주의의 정치이념을 선전하기 위하여 [民報]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청조는 1911년 안팎에서 가해오는 개혁의 압력을 극복하고 왕조의 안정을 꾀할 목적으로 새로운 내각 新貴族內閣, 13명으로 구성. 만주황족이 8명으로 대부분 황족이 독점.
을 구성하였으나 이 내각의 성립은 개혁을 원하는 지식인들에게 절망을 안겨주었다. 더욱이 이 내각은 열강으로부터 차관을 얻기 위해 철도권을 담보로 제공하려고 철도국유령을 선포하였는데 이러한 조치들은 四川成(사천성)을 비롯하여 각지에서 철도국유반대운동이 일어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중국 각 지역에서 혁명활동의 전개가 활발이 이루어 졌다. 양쯔강 유역의 華中(화중)지역을 거점으로 광동, 광서, 운남 등지에서 농민의 무장봉기가 확산 되었으며 손문이 이끄는 新軍(신군)도 합류를 하였다. 농민들을 중심으로 한 무장봉기가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자 동맹회는 ‘중부총회결성’을 하여 무장봉기의 통일적인 지도기관을 탄생시켰으며 이로써 혁명의 교두보가 확보 될 수 있었다.
13. 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신해혁명의 직접적인도화선이 된 것은 武昌首義(무창수의)라고 일컫어지는 무창봉기(1911.10.10)이다. 무창봉기는 신군의 공진회, 문학사, 혁명파 청년 지식인들이 일으킨 것으로 그들은 武漢 3鎭 武漢, 漢口 漢陽
을 제압 점령하여 湖北軍政府(호북군정부)를 수립하였다. 무창봉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11월 하순에는 지방 24개성 가운데 14성이 청조의 지배로부터 이탈하였다. 이렇게 혁명세력이 확대되지 학생, 노동자, 농민이 적극 가담하여 마침내 남경을 점령하고 독립한 17성의 대표는 남경에서 미국으로부터 귀국한 손문을 1911년 12월9일 임시 대총통으로 선출하고 마침내 1912년 1월 1일 중화 임시정부를 수립을 선포 하였다. 이에 대해 청조는 北洋軍(북양군)의 원세개를 흠차대신으로 기용하여 육해군의 지휘권을 주고 新貴族內閣(신귀족내각)을 해산한 후 원세개를 총리대신에 임명하여 혁명세력을 진압토록 하였다. 그러나 원세개는 청조의 기대와는 달리 오히려 혁명군에 가담함으로써 마침내 청조는 멸망하게 되었다. 한편 중국의 이러한 혁명전개에 대하여 열강의 이해관계는 서로 엇갈리고 있었다. 화중-화남 지방에 큰 이권을 보유하고 있던 영국과 일본은 처음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혁명을 지지하였으나 차츰 입헌군주제하의 청조존속을 통한 중국본토 이익을 증대를 기대하게 됨에 따라 신정부 지지를 단념하였으며 오히려 조속한 내란을 수습한 원세개를 오히려 지지하였다. 열강의 지지와 북경정부의 실권을 장악한 원세개는 혁명정부의 재정적 어려움과 내부분열을 교묘히 이용하여 혁명정부를 곤궁으로 몰아넣었다. 손문은 이와 같은 난국을 극복하기 위하여 원세개와 타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여 청조황제의 퇴위와 공화제의 실현 그리고 수도의 남경이전을 조건으로 원세개에게 임시 대총통 자리를 양보하였다. 임시대총통이된 원세게는 청조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 중국의 마지막 황제(1900-1911)
에게 대청황실의 존속과 선통제를 외국군주의 예우로써 宮城內거주를 허용, 그리고 稅費(세비)지급과 환관의 궁내생활인정을 조건으로 퇴위를 시켰다. 이로써 중국은 중국의 秦始皇(진시황) 이래 2천 년간 계속되어 오던 皇帝支配體制(황제지배체제) 무너지고 동아시아 역사상 처음으로 共和制(공화제)로 전환되는 역사적 의의를 가져왔다.
14. 辛亥革命(신해혁명)의 평가
신해혁명의 성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많다. 신해혁명의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지닌 학자들의 견해는 反植民地-半封建的(반식민지-반봉건적) 여러 세력들이 사회의 기본 틀을 변경함이 없이 부르즈와적 요소를 위로부터 포섭함으로써 봉건적 지배의 재편을 꾀하는 단순한 정치적 변혁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또한 신해혁명은 청말 이래의 신사 층이 자신의 保身(보신)을 위해 일으킨 단수한 정권 교체적 정변으로 규정하는 학자도 있다. 신해혁명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학자들은 우선 농민을 주된 主力軍(주력군)으로 한 인민과 반동집단 제국주의-봉건주의
과의 투쟁에서 찾고 있다. 신해혁명 전개과정의 기본축이 바로 농민투쟁이며 이것이 혁명의 기본적 동력으로 발전하였다고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상 최초의 공화국수립이란 의미를 강조하는 혁명론 자들도 구질서가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신해혁명의 역사적 성격은 신해혁명이 이루어 놓은 현상보다는 反帝-半封建(반제-반봉건)이라고 하는 세계사 전개의 출발점이 되었다는데 그 의미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東洋史槪論 (삼영사출판 신채식저술).
현대중국의이해 (한울아카데미출판 2002).
양무운동-변법운동(암파서점 서순장저술).
2004년 현대중국의이해 강의노트.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