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티칭(협력교수)의 정의와 원리, 팀티칭(협력교수)의 분류, 팀티칭(협력교수)의 필요성, 팀티칭(협력교수)의 학습전개과정, 팀티칭(협력교수)의 장단점, 팀티칭(협력교수)의 평가, 팀티칭(협력교수) 지도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팀티칭(협력교수)의 정의와 원리, 팀티칭(협력교수)의 분류, 팀티칭(협력교수)의 필요성, 팀티칭(협력교수)의 학습전개과정, 팀티칭(협력교수)의 장단점, 팀티칭(협력교수)의 평가, 팀티칭(협력교수) 지도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팀티칭(협력교수)의 정의와 원리

Ⅲ. 팀티칭(협력교수)의 분류
1. 지도자의 구성으로 본 팀티칭
1) 일반형
2) 추가 배치형①
3) 추가 배치형②
2. 역할 분담으로 본 팀 티칭
3. 지도 형태로 본 팀티칭
1) 도달도별 학습
2) 학습 과제에 따른 학습

Ⅳ. 팀티칭(협력교수)의 필요성

Ⅴ. 팀티칭(협력교수)의 학습전개과정

Ⅵ. 팀티칭(협력교수)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Ⅶ. 팀티칭(협력교수)의 평가

Ⅷ. 팀티칭(협력교수)의 지도방법
1. 도달도에 따른 팀 티칭
1) 도달도에 따른 팀 티칭 방법
2) 도달도에 따른 팀 티칭의 예
2. 학습과제에 따른 팀 티칭
1) 학습과제에 따른 팀 티칭 방법
2) 학습과제에 따른 팀 티칭의 예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활과 집짐승에서 집짐승의 종류, 집짐승의 이용 (2) 닭 기르기에서 닭의 품종과 특징, 알깨기, 병아리 기르기, 큰 닭 기르기(3)토끼 기르기에서 토끼의 품종과 특징, 새끼치기와 기르기, 어미 토끼 기르기가 학습 과제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모두가 학습해야 할 과제이지만, 교과서에 실린 순서대로 학습하지 않아도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의 순서를 각자의 흥미, 관심에 따라, 자기가 결정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각자가 결정한 순서에 따라, 각 과제별 학습장소(팀 티칭에 참가한 동학년 3개 교실과 사육실)에 가서, 그곳에 마련되어 있는 학습지를 비롯한 학습자료를 활용하여 학습하게 된다.
이 때, 팀 티칭에 참가한 동학년 3개 반의 담임교사와 실과 교과 담임교사는 각각 한 과제씩 분담하여, 소정의 학습 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일제지도 또는 개별지도를 한다.
다음으로 과제선발 학습방식 팀 티칭의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3학년 1학기 실과 단원 3. 정리 상자 만들기의 소단원 상자 만들기의 준비 중(2) 상자 만들 때에 쓰이는 도구 다루기에는 ①선 긋기 ②가위 사용하기 ③ 자를 대고 칼로 자르기 ④ 자와 송곳을 이용하여 접는 선 긋기의 네 가지 학습 과제가 잇다.
이 네 가지 학습과제 중에서 선 긋기 연습을 충분히 하여 기능을 한 다음, 각자의 흥미, 관심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개별학습하거나, 같은 과제를 선택한 사람끼리 그룹을 지어 학습함으로써, 각자가 선택한 분야의 기능을 익히게 한다.
이 때의 학습은 과제별로 학습지를 비롯하여 관계있는 학습자료가 준비 되어 있는 각 과제별 학습장소에서 그 곳을 분담한 교사의 일제 또는 개별 지도를 받아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이어서 종결단계의 전체학습(T①이 지도하고 T②, T③은 보조한다.)에서 각 과제별로 발표교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어린이들은 이를 통하여 종이나 판지를 다루는 기초 기능을 익히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능숙하게 종이 상자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Ⅸ. 결론
협력학습은 그들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감각 손상된 중증 아동이라도 과업에 흥미를 갖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자극을 주게 된다. 학습 과정에 직접 손으로 참여하는 것은 전통적 학습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게 한다. 탐색, 만지기, 상호작용, 직접 수행(Perform)에 기회를 준다면 감각 손상 아동에게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협력 집단 내에서 특정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학생들이 역할 인식을 하고 다른 학생과의 역할 차이, 그리고 협력을 이해하고 적극적 참여자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인간관계 형성은 사회적 적응 기능(Adaptive Social Skills)개발을 필요로 하는 중증 장애학생에게 특히 권장할 만한 교육 목표이다. 협력학습을 통해 기본 사회적 기능을 배울 기회가 많아지게 된다(예:대화를 시작하는 것을 배울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의 관계를 배우게 되어 자아의식, 자아 정체감을 증진시킨다.
협력학습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가 있어야 한다.
수업해야 할 목표를 분명히 구체화 하는 것. 수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학습 집단에 배치할 학생들을 결정하는 것. 과제를 분명히 설명하고 긍정적으로 서로 의존하게 하고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학습하게 하는 것. 협력학습 집단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과제 수행을 보조하도록 조정하든지 학생의 인간관계나 집단 기능을 증가시키도록 조정하는 것. 학생들의 성취를 평가하고 서로 어떻게 하면 잘 협동할 수 있는지 토의하도록 도와주는 것 등이다.
교사는 협력학습을 시행하기 전에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는 학생의 능력 수준에 맞게 지적 교과의 모적을 구체화하고 교육 수준을 맞추고 인간관계나 소집단 기술이 수업에서 강조될 수 있도록 협동력을 교육 목표로 상세화해야 한다.
협력학습 집단에 학생을 배치하고 역할 분담을 할 때 여러 가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집단의 크기는 4명 내지 6명으로 하여야 한다. 집단 구성을 처음 할 때는 소수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협력학습에 적응이 되면 늘려 나가는 방법이 좋을 것이다. 협력 집단의 구성원은 역할 분담을 받고 집단 목표에 기여하도록 조정해 주어야 한다.
또 다른 요소는 여러 집단으로 학생을 배치하는 것도 배려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성별, 연령, 장애 종별, 학업 성취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서 이질 집단이 되도록 학생을 배치해야 한다. 교실 내의 모든 집단은 가능한 다양해야 하고 남녀, 장애와 비장애가 골고루 뽑혀야 한다. 동일 학생이 여러 가지 배치상황에 돌아가면서 배치될 수도 있고, 1년간 같은 집단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실의 조정은 협력학습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책상, 걸상 등은 모두 같이 보면서 앉을 수 있고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원으로 만들 수도 있다. 협력 집단에서 교사는 어떤 질문이라도 분명하게 파악하고 조정해야 하며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한다.
장애아동을 위해서는 IEP 목표에 적절한 자료를 선택하고 장애아동이 포함되었을 때 집단의 크기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협력적 목표와 비협력적 목표로 나누어 목표구조를 정할 수 있고 보상 체제도 갖추어야 한다. 학생의 성공에 대한 판단 준거도 확실히 설정해 주어야 한다. 집단 점검과 직접 관찰에 의해서 개인의 수행 능력을 점검해야 한다. 지적 교과와 협력 기능을 가르쳐야 할 필요가 있으면 중재 전략을 세워야 하고 또 이 두 가지를 평가할 계획도 세워두어야 한다.
참고문헌
권미정(2009), 원어민 영어교사와의 팀티칭 실태 분석을 통한 수업모형 개발 연구, 경북대학교
김정희(2005), 팀티칭에 의한 대학영어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현대영어교육학회
이대균 외 1명(2009),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초임교사에게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학회
최정란(1998), 예·체능 영역의 팀 티칭을 통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 이해 지도, 광주교육대학교
최청일 외 1명(2002), 교양교육에서 효과적인 팀 티칭(team teaching)의 구성 및 방법 분석,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황미옥(2006), 팀티칭에 의한 일본어작문 교수법, 한국외국어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