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공통] 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은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1) 이들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공통] 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은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1) 이들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의식장애의 개념
2. 장기간 의식장애 환자 가족의 문제
1) 신체적 문제
2) 심리적 문제
3) 사회적 문제
4) 경제적 문제
3. 같은 상황 시 어려움 극복방안
1) 스트레스 대처방법
(1) 식생활에서의 관리
(2) 규칙적인 운동
(3) 이완/명상
(4) 수면
2) 지역사회 자원 활용
(1) 방문간호사제도
(2) 요양병원 이용
4. 장기간 의식장애 환자의 간호내용
1) 의식상실 환자의 간호내용
2) 의식장애 환자의 간호내용
(1) 분류
(2) 병태생리
(3) 뇌졸중의 예후
(4) 뇌졸중의 동반장애
(5) 간호계획
(6) 간호중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이완기 때와 동일하게 유지하나 손에는 굴곡 공력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hardcone을 쥐게 한다. 그리고 고관절을 외전시켜 다리 사이에 베개를 대주고 골반 밑에도 베개를 대주어 골반도 올려준다.
- 슬관절은 신전공력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굴곡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첨족을 예방하기 위해 부드러운 수건이나 베개 등으로 지지하는데 이는 발바닥이 딱딱한 면에 자극을 받 게 되면 근육긴장도가 증가하여 경직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④ 운동
운동은 관절과 연조직의 가동력유지 및 증가, 신경근육의 조정증가, 근육강도 증가 그리고 신체적 이완을 위하여 필요하며 오랫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는 운동계획이 없는 한 그들의 일상생활동작도 할 수 없게 된다.
(가) 초기이완기에는 수동적 관절운동을 하고 급성기가 지나고 어느 정도 수의적 운동이 나타나면 능동적 보조운동을 하며 근력이 증가함에 따라 능동운동을 실시한다.
(나) 경직기에는 초기치료의 계속이며 기능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운동을 해야 한다.
(다) 회복기에는 사지말단의 기능증진동작의 속도를 증진시키는 데 주력하게 된다.
- 근력강화 운동(구르기, 하지들기, 체간들기)
- 않는 균형운동
- 공받기 운동
-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
⑤ 감각, 지각 및 이지기능 장애 간호
반맹증이 있는 경우 처음에는 환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무엇이든지 보이는 쪽에 놓아주면서 차츰 병변측으로 자주 고개를 돌리도록 연습시킨다. 그리고 좌측 편마비의 경우 좌측에서 오는 차나 전신주에 주의하도록 도와주다. 일측성 시야무시가 있으면 무시된 신체부위를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격려한다.
⑥ 언어기능 장애 간호
언어기능 장애 환자와 의사소통을 할 때는 우선 단순하고 평이한 단어의 짧은 문장을 사용하며, 환자에게 대답할 충분한 시간을 준다. 실어증 환자의 회복이 듣기 - 보기 - 말하기 - 글쓰기의 순으로 이루어지므로 먼저 듣기훈련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⑦ 음식섭취 문제간호
균형 있는 영양공급을 위해 육류, 곡물, 채소를 함께 삶아 으깬 연식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맑은 유동식을 먹을 때 질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가급적 연식을 먹게 하고 액체 음식은 스푼에 담아 혀의 뒤쪽에 넣어준다. 감각상실 또는 안면근육의 근 조절 감소 때문에 마비된 쪽 입안에 음식이 고이거나 질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식사 후에 마비된 부위에 음식이 남아 있는지 점검하도록 환자에게 가르치거나 구강간호를 해준다.
⑧ 배설문제 간호
뇌졸중 환자는 신경인성 장 때문에 변실금이 초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장훈련 프로그램 중 신체운동, 수분섭취, 고섬유질 식이, 일관성 있는 습관이 필수적이다.
⑨ 자가간호교육
자가간호의 수행이 않는 자세의 불균형과 시력 등의 문제로 어려울 수도 있으나 침대에 누워서도 스스로 먹고, 이 닦고, 머리 빗고, 세수하고, 돌아눕도록 환자에게 가르쳐야 하는데 이런 활동들은 모두 관절운동을 포함하고 있다. 환자는 회복이 진전되면 일상생활동작의 집중적인 훈련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손상 받지 않은 손과 팔을 사용하여 마비된 손과 팔 근육의 강도를 기르는 동시에 자가 간호를 하도록 한다.
⑩ 정서적지지
뇌졸중 환자는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정서적 혼란을 보이거나 우울해 한다. 그러므로 우울을 극복하고 자신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재활의 의지를 갖도록 끊임없는 격려와 지지가 필요하다.
⑪ 뇌졸중의 재발 예방교육
뇌졸중을 일으키는 중요한 질환은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이다. 따라서 고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며, 혈압약을 정기적으로 복용하여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 동시에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도록 교육한다. 당분이 있거나 짠 음식,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가능한 한 적게 섭취하고 과식, 과음, 지나친 흡연은 금하며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한다.
Ⅲ. 결론
뇌졸중은 누구에게나 충격적인 일이다. 자신이 알고 사랑하던 사람을 뇌졸중이 변화시켜 버리기 때문에 배우자나 가족은 종종 깊은 상실감을 느낀다. 뇌졸중 초기에는 환자가 앞으로 얼마나 회복될 것인지 어떤 치료가 필요할 것인지 미리 예측하기가 어렵다. 뇌졸중 환자의 가족이 된다는 것은 당신의 삶을 다시 재조정하고 이전에 누리던 자유와 금전적 수입을 잃어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가족들이 자신의 삶과 환자의 삶이 바뀌어 버린 것에 대해 상실감이나 슬픔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한 간병이라고 하는 것은 어렵고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며 화가 나거나 죄의식을 갖거나 불안, 우울해 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다.
뇌졸중 환자는 우리가 별다른 생각 없이 쉽게 결정하는 소소한 문제들(언제 밥을 먹을 것인지, 언제 친지에게 전화를 할 것인지, 언제 텔레비전을 켤 것인지 등등)에 대해서도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가족들은 새로운 역할 분담과 새로운 책임을 짊어져야 하며 환자가 더 이상 요리나 가사 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당신이 갑자기 이런 일들을 떠맡아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환자가 가정 내에서 맡아 하던 일을 다시 하도록 격려하는 것도 오히려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이전에 자신이 하던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잘 할 수 있을만한 새로운 역할이나 일을 찾아주는 것이 환자의 자신감을 길러주고 다른 가족구성원들이 환자를 계속 존중해 줘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양병환(2010) 정신병리학 총론, 중앙문화사
이병윤(1997) 정신의학사전, 일조각
서미경 저(2007) 정신장애와 가족, 집문당
원전헌일 저(2001) 송지영 역, 의식장애의 진단법, 하나의학사
이원숙 저(2012) 가족복지론, 학지사
성정현 외(2009) 가족복지론, 양서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저,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APA, 이근후 외 번역,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하나의학사, 1995
Kolb & Brodie, 이근후 외 번역, 최신임상정신의학 제10판, 하나의학사, 1988
Kurt Schneider, 이부영 외 번역, 임상정신병리학 제14판, 일조각, 1996
대한뇌졸중학회 http://www.stroke.or.kr/
대한재활의학회 http://www.karm.or.kr/
  • 가격4,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4.0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