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 - 잠에서 깨어나_서거정, 진중음_이순신, 춘일성남즉사_권근, 영월군루작_단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 - 잠에서 깨어나_서거정, 진중음_이순신, 춘일성남즉사_권근, 영월군루작_단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Ⅰ. 들어가며

Ⅱ. 한시 감상법
 1. 한시의 개념
  1) 한시의 정의
  2) 한시의 특성
 2. 한시의 유형
  1) 고체시(古體詩)
   (1) 오언고시
   (2) 칠언고시
  2) 근체시(近體詩)
   (1) 절구
   (2) 율시
   (3) 배율
 3. 한시 감상법
 4.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 한시감상
  1) 오언절구
   (1) 잠에서 깨어나(睡起) - 서거정(徐居正)
   (2) 한시감상법에 따른 한시감상
  2) 오언율시
   (1) 진중음(陣中吟) - 이순신(李舜臣)
   (2) 한시감상법에 따른 한시감상
  3) 칠언절구
   (1) 춘일성남즉사(春日城南卽事) - 권근(權近)
   (2) 한시감상법에 따른 한시감상
  4) 칠언율시
   (1) 영월군루작(寧越郡樓作) - 단종(端宗)
   (2) 한시감상법에 따른 한시감상

Ⅲ.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이며 평. 측의 구성도 각 구 2. 4 부동과 2. 6동의 원칙에 잘 맞추어져 있으며 마주보는 구의 글자끼리 평. 측이 엇갈리게 배열되어 규칙에 어긋남이 전혀 없으며 또한 시유팔병에 위격이 없어 정격에 충실하게 잘 짜여진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률시의 가장 묘미라 할 수 있는 承, 轉聯의 對를 보면 承句의 “假”와 “窮”字를 첫째자와 마지막자에 재배치하여 작자의 심정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핵심 글자인 “眠”, “恨”을 똑 같이 배열하여 운율의 흐름을 잘 다듬었으며, 시간단위인 “夜夜”와 “年年”을 첩어로 사용하여 운율 및 점층의 효과를 만들어 내어 작가의 애절한 사연을 절묘하게 대치시켰다. 또한 轉句에는 각 구 글자마다 對가 되는 글자로 명사는 명사, 동사는 동사, 어휘와 어휘, 색과 색이 잘 어우러져 對를 이루면서도 그 뜻에 맞게 구성되어 한시만의 고유한 영역을 탁월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가히 정격의 극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영월에서의 귀양살이
영도교에서 아내와 헤어진 뒤 왕십리를 지나 살곶이 다리를 건너 뚝섬에서 배를 타고 영월로 갔다. 귀양살이를 해야 할 곳은 청령포라는 곳이다. 청령포 앞을 흐르는 서강(西江)은 영월에서 동강과 합쳐져 남한강이 되고 남한강은 경기도 두 물에서 북한강과 합쳐져 한강이 되어 한양을 지나 황해바다로 흘러간다. 귀양살이 할 곳의 뒷산은 험해서 사람이 넘기 힘들고 앞은 강물이 막아 오도 가도 못 하는 곳이다. 그해 여름, 홍수가 나기 전 영월관아의 관풍헌에 나와 있었다. 할아버지가 너무도 아꼈던 신하 김시습이 몰래 다녀가기도 했다는 관풍헌 옆 자규루에 올라 시를 지었다고 한다. 어느 날 사람이 찾아 왔다. 영월에서 산을 넘어 남쪽에 있는 경상도 순흥도호부(지금의 영주시 순흥면)에 귀양살이 중이던 금성대군이 보낸 사람이었다. 결국 이 사건이 발각되어 금성대군은 32살의 나이에 삶을 끝냈다. 단종을 다시 왕으로 세우려고 계획을 했던 곳인 숙수사라는 절은 없애버렸고 금성대군의 뜻에 따랐던 많은 선비들이 목숨을 잃었다. 순흥도호부는 없애고 풍기군에 속하게 했다. 이 때 없어진 절터에 단종이 죽은 후 소수서원이 세워진다. 이 사건으로 단종의 지위는 더욱 낮아져 노산군에서 서인(庶人)이 된다.
③ 감상
너무나 애처롭고 아름다운 시이다. 단종이 유배된 영월에는 관풍루와 매죽루가 있었는데, 이 시는 한 루에 올라 한양 도성을 향하여 처절 무비하고 한에 겨운 자신을 자규에 비겨 절규한 것이다. 단종은 실로 우리나라 역대 제왕 중 문학에 대한 열의 정도가 가장 높았다고 한다. 이 시는 자규사와 함께 만인의 가슴을 적신 작품이다.
④ 작가소개 - 단종
단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휘는 홍위(弘暐)이다. 1455년 숙부 세조의 정변으로 양위하였다가, 세조 측근들의 탄핵으로 강원도 영월군 청령포로 유배되었다가 암살되었다. 폐위되어 죽어서 시호를 받지 못한 채 노산군(魯山君)으로 불리다가 이후 중종 때에 복권 상소가 올렸으나 거절당했고, 숙종 대에 가서야 성리학자들의 건의로 정종과 함께 묘호와 시호가 올라 정식 시호는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이다. 세종의 장남인 문종과 현덕왕후의 외아들이며, 조선 왕조 최초의 왕세손이기도 하다. 1452년부터 이듬해 1453년까지 김종서가 섭정하였고 1453년부터 1455년 퇴위할 때까지 왕숙 수양대군(훗날 세조)이 섭정하였다.
Ⅲ. 나가며
한시에 대한 연구가 거듭되어 상당한 성과를 축적하고 있음도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도 국문학 중 가장 방대한 유산인 한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내적 전개과정과 원리를 정확히 밝혀내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하겠다. 더욱이 한시는 이제 향유의 대상이 아니라 연구의 대상일 뿐이며 시간이 흐를수록 한시에 익숙해지지 않게 되면서도 한시를 연구하지 않으면 안 될 어려운 상황에 있다. 우리 전통문학의 최고 결정체라 할 수 있는 한시의 맥을 잇기 위해선 무엇보담 엄격한 정형의 틀을 깨트리고 시대에 맞는 우리의 호흡으로 전환하는 커다란 사고의 변화만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가령 한자의 평측법은 중국의 음운 즉 사성에 맞추는 규칙으로 우리의 발음과는 전혀 달라 결국 한편의 시에 들어가는 글자의 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옥편을 수없이 찾아야 하는 수고로움이 더 커서 일으킨 시상이 시로써 승화되기 전에 지쳐버리는 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려조의 대문호인 백운거사 이규보선생은 “시란 의경이 주가 되고, 철사는 그 다음이다”라고 말했으며 이것은 일으킨 시상 즉 성정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움을 토로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문학인 한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일으킨 시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우리 시대에 맞는 규정으로 변화시켜 많은 동호인을 불러 모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윤인현(2011) 한국 한시 비평론과 한시 작가 작품론, 다운샘
송재소(2011) 한국한시작가열전-송재소와 함께 읽는 우리 옛시, 한길사
심경호(2011) 한시의 서정과 시인의 마음, 서정시학
김상홍(2003) 한시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사
윤용식, 손종흠(2010) 한국한문고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학주(2008) 중국문학사, 신아사
손종섭(2005)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한국 역대 한시 평설, 태학사
심경호(2002) 한국한시의 이해, 태학사
김태준 엮음(2002) 고전문학사,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연구실
황패강 외(2000) 한국문학작가론3, 집문당
이병주 외(1991) 한국한문학사, 반도출판사
이종찬(1992) 한문학개론, 이우출판사
이가원(1989)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정 민(1990) 조선후기 고문론 연구, 아세아문화사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동문선, 1982
임형택 편역(1992) 이조시대 서사시上, 下, 창작과 비평사
진재교(1995) 조선 후기 현실주의 시문학의 다양한 발전, 민족 문학사강좌, 창작과 비평사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