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서의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기능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 신교육 사회학, 번스타인의 문화재쟁산 이론, 교육과정 사회학, 저항이론, 자본주의 국가론, 탈학교 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에서의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기능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 신교육 사회학, 번스타인의 문화재쟁산 이론, 교육과정 사회학, 저항이론, 자본주의 국가론, 탈학교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능론적 관점
2. 갈등론적 관점
3. 신교육 사회학
4. 번스타인의 문화재쟁산 이론
5. 교육과정 사회학
6. 저항이론
7. 자본주의 국가론
8. 탈학교 운동

본문내용

을 보이고 있으나 재생산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학교교육이 학교 외적에서 기원한 이데올로기 및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압력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고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애플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기대되는 규범에 대해 달리 행동하며 창의적으로 행동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애플은 학교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봄으로써, 사회구조가 교육에 있어 한계를 규정하기는 하지만, 무제한적으로 확산되지는 않으며 교육은 상당한 정도의 자율성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애플은 교육 자체가 자율성 지향을 위한 저항을 하고 있다고 본다.
프레이리(Freire)의 의식화
프레이리는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의식화 기능이란 자신의 삶을 자신이 개척하는 것으로 이러한 의식화 기능교육이란 인간화 교육으로써 교사와 학생이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프레이리는 의식의 함양이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교는 의식화교육을 해야 하며 기존의 은행저금식 학교를 비판한다. 여기서 은행저금식 학교란 기존의 학교를 말하며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명령자와 받아들이는 자의 관계이다. 이는 학생들의 창조력을 억제하고 마비시키며 비판의식을 약화시킨다. 반면 문제제기식 학교는 프레이리가 주장했던 이상적인 학교로 여기서 교사는 단순히 가르치는 자가 아닌 학생과 더불어 배우는 자로 교사와 학생은 상호협동적 관계를 지닌다. 이러한 학교에서는 창조적인 학생을 양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비판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들을 양성함으로써 이렇게 양성된 학습자들은 스스로 인간화 수행능력을 가지고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것을 프레이리는 저항의 실천적 개념인 의식화를 통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지루(Giroux)의 폭로 기능
저항이론의 관점에 있어서 지루는 무엇보다 폭로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폭로기능이란 프레이리가 말한 의식화 촉진과 맥을 같이 한다. 지루는 애플이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학교는 단순하게 경제적 기관이 아니라 자본가의 노동 경제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정치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현장이라 주장하며 학교의 상대적 자율성을 주장한다. 그는 애플과 마찬가지로 교사와 학생은 주어진 교육과정을 저항을 통해 학교의 근본적 메시지와 실천들을 거부하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지루는 저항의 폭로 기능, 지배에 대한 비판, 자기 반성과 투쟁을 위한 기회, 사회적 해방과 자기 해방에 관심을 갖는 모든 심화된 현실 모순의 인식을 통해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인식을 가지고 폭로를 함으로써 사회 정의 구현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윌리스의 반(反)학교문화
노동계급의 학생들은 그들의 문화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학교문화에 반(反)한 반학교문화를 형성하여 그들의 문화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거부하는 행동을 보이며 때로는 심한 저항을 하기도 한다. 노동계급 학생들은 이를 통해 기존 사회의 불평등 현상과 학교에서 선호하는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거부, 의식적 저항을 통한 운동을 전개하기도 한다.
그는 재생산은 인정하되 재생산 이론에서 주장하듯 일방적 수용자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저항을 통해 모순된 사회체제에 저항하는 능동적 행위자로서의 인간양성을 주장한다.
7. 자본주의 국가론
자본주의 국가론은 국가가 단순히 하부구조(경제)에 의해 결정되는 상부구조의 한 부분이 아니라 나름의 자율성을 가진 존재로고 보고 국가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자본주의 국가론에서는 자본가 계급이 국가를 장악하고 이념적 국가기구인 교육, 언론 등을 통해 기존의 질서를 정당화하여 이를 재생산한다고 본다. 자본주의 국가론에서는 교과의 내용이 국가의 지배를 정당화하며 또한 학교는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의 한 부분으로 의무적으로 교육제도를 통해 지배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내면화시킨다고 본다. 즉, 갈등론적 입장과 맥을 같이 하며 자본가 계급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국가가 중립적으로 위장하고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유지시킨다는 입장이다.
나름의 자율성을 지니고 있는 국가기구는 억압적 국가기구와 이념적 국가기구로 구성된다. 억압적 국가기구는 폭력에 기반을 두고 있다면,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는 이념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억압적 국가기구는 강제력에 의해 권력을 행사하지만, 이데올로기적 구각기구는 동의에 의해 권력의 행사를 하고 있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억압적 국가기구는 사법제도, 군대, 경찰, 정부 등이 있으며, 이념적 국가기구는 종교, 교육, 규범과 가치에 관련된 것 등이 있다.
8. 탈학교 운동
탈학교 운동은 기존의 학교제도를 개혁하여 전통적 학교의 성격을 깨뜨리는 것과 학교 밖에서 사회교육을 확대 및 강화하는 것 두 가지가 있다.
갈등론적 입장에서 학교는 지배계층의 이익을 정당화하는 도구로써 학교의 역기능을 주목하고 있으며 여기서 일리치는 학교 무용론 입장의 탈학교 정책을 주장한다.
레빈(Lewin)의 기존 학교개혁 현상의 유형
Lewin은 기존 학교개혁 현상을 기술적 차원과 정치적 차원으로 나누고 다시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미시적-기술적 개혁, 미시적-정치적 개혁, 거시적-기술적 개혁, 거시적-정치적 개혁의 네 개의 유형으로 정리하고 있다.
- 지역사회 관리
학교정책에 주민 대표가 직접 참여하여 학교운영의 주체로 주민이 나서는 학교이다. 이는 학교 구성원인 학습자의 부모가 직접 학교정책결정에 참여함으로써 나름대로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적 입장에 독립적인 체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것이다.
- 교육권 제도
학생 개개인이 원하는 교육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제도로서 이는 경제원칙에 따라 학습자를 소비자로 보고 학습자에게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공장운영학교
교육장소를 학교에서 일의 현장으로 옮김으로써 공장운영학교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 탈학교 정책
전통적 학교교육의 의존에서 벗어나 비형식 교육으로 이행해 가는 정책 변화로 학교 대신 도서관, 박물관, 각종 학습기관, 현장교육, 개인 간의 상호교육기회 확대 등을 통한 학교지배의 교육제도에서 벗어나야 된다는 입장이.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11.24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