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한국전쟁과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 『마을로 간 한국전쟁』 _ 박찬승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평] 「한국전쟁과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 『마을로 간 한국전쟁』 _ 박찬승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
1) 세등리 비극의 내적 배경
2) 한국전쟁과 세등리의 비극
2. 또 다른 갈등의 사례들
1) 친족·마을 간의 갈등
2) 신분·계급 간의 갈등
3) 종교와 이념의 갈등

Ⅲ. 나가며

본문내용

자신들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신부와 신도회 회장 등을 붙잡아 가싸. H마을 주민들도 마을 안에 인민위원회 등 협조 단체를 만들어야만 했다. 그러나 인근의 X마을 주민들은 H마을을 우익마을로 간주하고 있었고, 결국 인민군 철수시 H마을을 습격하여 주민 8명을 끌고 가 처형했다. 9·28수복 이후 경찰이 진주하자 이번에는 H마을에서 X마을을 포위하고 주민들 대부분을 끌어다 징치했고, 상당수가 경찰과 우익청년단에 넘겨져 다시는 마을로 돌아오지 못했다.
H마을과 X마을의 경우 이웃마을로써 오랜 세월동안 합덕 방죽의 농수문제를 놓고 다툴 수밖에 없었고, X마을에 있는 천주교회 혹은 다른 부재지주의 토지를 H마을 사람들이 소작하는 문제를 놓고도 갈등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H마을과 X마을 간의 충돌은 종교와 이념의 갈등이라는 성격을 띠고 있었지만 소작농민들 간의 이해관계의 충돌이라는 배경도 있었다고 여겨진다.
개신교 신도들의 피해는 천주교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컸다. 한국전쟁기 군단위에서 가장 많은 학살 피해자가 난 곳은 전남 영광군이었다. 영광군이 당시 인구는 약 16만 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전쟁 중에 2만 5,000~3만 5,000명이 희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산면에서는 약 3,300~5,000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희생된 것으로 보인다. 염산면 내에는 염산교회와 야월교회가 있었다. 이들 교회의 교인들은 인민군 점령기에 이미 소수가 희생되었다. 그리고 9·28수복 이후 이듬해 1월까지 염산면은 인민군과 빨치산들의 점령 하에 있었는데, 두 교회 교인들은 1950년 10월과 11월에 집중적으로 학살당했다.
전남 영암의 G마을에서 벌어진 개신교 교인들에 대한 학살도 주목해야 할 사례이다. G마을에서는 1950년 10월 7일 경찰이 영암읍을 수복하자 철수하던 좌익세력들이 우익청년단원, 교회 교인 등 28명을 G마을 민가에 가두어놓고 불을 질러 학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G마을에서는 18명의 신도들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2000년 G마을에 세워진 순교비를 보면 전쟁기에 영암에서 희생된 개신교인들은 영암읍교회 25명, 상월교회 26명, G교회 18명, 천해교회 7명, 삼호교회 2명, 서호교회와 매월교회 각 1명 등이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와 같은 양상은 다른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렇다면 왜 개신교인들은 이와 같은 피해를 입게 되었을까. 윤정란이 지적한대로 기독교인들은 해방 이후 친이승만노선을 걸어왔고, 일부는 실제 우익단체에 참여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미 종교를 아편이라고 생각했던 인민군과 지방좌익들은 기독교 세력 전체를 위험한 집단으로 여겼을 것이다. 이것이 개신교인들이 특히 큰 피해를 입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문제 역시 보다 많은 사례연구를 통해 더 구체적인 원인을 밝혀야할 것으로 보인다.
나가며
이상에서 한국전쟁기 마을 단위에서 나타난 민간인 학살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방대한 자료수집과 구술을 통해 아주 구체적인 부분까지 세밀하게 다루고 있는 것은 후학으로서 배워야할 자세라고 여겨졌다. 다만 저자는 마을 단위의 민간인 학살의 내적· 역사적 배경으로 신분계급갈등, 친족 간의 갈등, 종교 갈등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내적 원인이 어떠하더라고 결과적으로 보면 결국 좌우익으로 분열하여 학살을 진행한 것인데, 과연 저자가 밝힌 원인들이 이념·계급의 갈등보다 더 큰 원인이었다고 말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신분 갈등(양반-평민)의 경우 마치 조선시대에서 곧 바로 한국전쟁으로 연결되는 듯한 인상을 준다. 블랙박스 처리된 꽤 긴 시간에 대한 보충 서술이 있었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2.02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