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職務만족과 삶의 만족에 대한 이해 및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무職務만족과 삶의 만족에 대한 이해 및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직무만족에 대한 이해
2. 삶의 만족에 대한 논의
3.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

본문내용

l., 1986; Judge & Locke, 1993), 역으로 직무만족은 삶 혹은 비업무적인 만족에 대하여 그 반대의 경우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다고 한다(Chacko, 1983). 이같은 인과적 순서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업무에 부여한 가치가 무엇인가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Judge et al., 1998). 전이모형과 비교하여 보상모형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사이에는 부(-)의 관계가 있다고 한다(George & Brief, 1990). 특히 업무에서 불만을 가진 근로자들은 비업무적 활동에서 대체적인 만족을 얻음으로써 직무에서의 불만에 대한 보상을 받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Schmitt & Mellon(1980)은 일상적이고 지루한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비업무적 역할에서 흥미와 만족을 얻으려고 한다. 비업무영역에서 보상을 받으려는 부정적인 업무에서의 경험이 부(-)의 인과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구분모형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밝히고 있다. 즉 근로자들은 업무와 비업무적 생활을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대다수 경험적 증거들은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전이모형을 지지하고 있다(Rain et al., 1991; Tait et al., 1989). 이들 관계에 관한 이유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직장에서 보낼 뿐만 아니라 업무가 생활활동의 중심이기 때문이다(Dubin, 1956). 또한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의 일부이기 때문에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Andrews & Withey, 1976; Campbell et al., 1976; Rice et al., 1985). 삶의 만족은 역할 성과와 직접 관련이 있고(Wright & Cropanzano, 2000), 설사 직무만족과 관련이 없다고 하더라도 감독자의 직원성과 평정과 관련이 있다. 또한 주관적 복리는 심장병 발병과 관련이 있고, 직원의 결석율과 건강비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삶의 만족은 관리자의 관심 사항과 관계가 있다(Booth-Kewley & Friedman, 1987). 따라서 직무, 조직구조, 인적자원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상승에 영향을 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한 연구결과들이 있다. 민경진 외(2004)의 연구에 의하면, 직무불만족요인이 공무원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것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직업인이 하루에 적어도 8시간 이상은 직무와 관련된 활동하므로 직무의 만족이 낮으면 삶의 만족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업인의 직무의 질은 삶에 큰 영향을 주며, 한사람의 직업인이 느끼는 인생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가장 큰 부분이 직업에서의 생활이다. 개성(personality)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증거에 의하면, 직무가치와 직무기대 같은 개인적 변수들은 삶의 만족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Judge et al., 1998). Loscocco & Roschelle(1991: 207)는 “실질적인 복잡성, 도전 및 자율성과 같은 가치 있는 직무보상을 받지 못하게 되면 근로자들의 감정상의 행복이 고통을 받게 된다”고 한다. 덧붙여, 직무에 대한 기대가 성취되지 못할 것 같을 때 삶의 만족은 감소할 것이다.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Diener et al., 1999; Mulllis, 1992; Helliwell, 2001), 이 요인들이 사회자본요인과 결합할 때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박희봉이희창, 2005).
비록 대부분의 연구들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있지만, 이 인과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은 기존 연구들의 이론적방법론적 한계에 그 원인이 있다. Schmitt & Mellen(1980)은 경선적(longitudinal)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차상관관계분석을 시도하였으나 자료수집상의 한계를 경험했다. 횡단면적(cross-sectional) 분석을 시도한 Keon & McDonald(1982)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변수들을 식별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같은 작은 표본의 크기와 부적합한 통계분석과 같은 한계 때문에, Judge & Watanabe(1993)는 경선적 및 횡단면적 접근법 모두를 사용하면서, 상호 영향을 미치는 양(+)의 유의한 관계를 발견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