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이해-‘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이를테면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의 여주인공 정인에 연애 [문학의이해 - 내아내의모든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의이해-‘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이를테면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의 여주인공 정인에 연애 [문학의이해 - 내아내의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학의 이해 들어가기(서론)

2. 프로이드의 심리주의 비평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2) 이드, 에고, 슈퍼에고

3. 나를 찾아줘 (Gone Girl)
1) 내용 요약
2) 인물 분석

4. 심리주의 비평 시각에서 남자 주인공(닉 던)의 심리분석

5. 심리주의 비평 시각에서 여자 주인공 (에이미 던)의 심리분석

6. 심리주의 비평 시각에서 바라 본 작품 속 작가의 심리분석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닉이 제자와 사랑에 빠진 것을 확인하면서 그녀는 아주 오랜 시간동안 복수를 계획해 나간다.
사실 그녀가 생각하는 애정은 그녀의 부모가 자신을 꼭두각시 인형처럼 어떠한 틀에서 만들어 나간 것처럼 자신 또한 남성을 자신의 틀에 맞추어 행동하는 애정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녀의 애정관은 전 남자친구인 토미의 진술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에이미의 이러한 애정관계를 눈치 채고 그녀에게서 벗어나려고 하다가 그녀가 계획한 함정에 빠져 성폭행범으로 몰려 현재 직장도 구할 수 없는 힘든 삶을 갈아가고 있다. 즉, 그녀는 자신의 영향력 밖으로 나가려하는 행위를 용납할 수 없는 애정관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에이미는 자신의 이드(원초아)의 모습을 완벽하게 감추고 사는 여성이다. 그녀의 본능적인 모습은 그녀가 실종된 이후의 그녀의 삶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대중의 눈에서 벗어나면서 그녀는 완벽한 그녀의 모습에서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탄산음료와 초콜릿바를 실컷 먹으며, 자신의 뉴스를 보면서 험담을 하는 여성의 음료수에 침을 뱉는 등 평소의 에이미에게서는 찾을 수 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실종되기 전 그녀의 삶에는 이드(원초아)의 모습은 완벽하게 차단된 것으로 보인다.
에이미가 닉에게 복수를 결심하고 철저하게 계획을 한 이유는 그가 자신의 슈퍼에고(초자아)로 생각되는 그녀의 삶을 망가트렸기 때문이다. 잘못된 그녀의 슈퍼에고(초자아)의 개념은 다른 어떠한 도덕적 행위보다도 상위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그녀의 대중적인 삶에 대한 이미지를 위해서 그녀는 닉을 자신을 살해한 살해범으로 계획을 하고 그 과정에서 데시를 실제 살해하기도 하는 등 일반적으로 도덕적으로 생각되는 개념들을 무참히 깨버릴 수 있다.
에이미는 닉이 후회하고 그녀를 기다리는 것처럼 인터뷰를 한 모습을 보고 그녀는 다시 닉에게 돌아가려고 계획한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 데시를 살해하고 데시가 자신을 납치하여 감금한 것으로 꾸민다. 그리고 닉이 과거처럼 자신의 꼭두각시가 되어 살아가도록 만들기 위해서 과거에 인공수정을 하기 위해서 보관한 닉의 정자샘플을 이용하여 임신을 한다. 결국 그녀는 자신의 슈퍼에고(초자아)를 위한 삶을 유지시켜 나가기 위하여 닉이 설정한 슈퍼에고(초자아)를 이용했다고 볼 수 있다.
6. 심리주의 비평 시각에서 바라 본 작품 속 작가의 심리분석
프로이드는 독자가 작품 속에서 적절한 쾌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작품 속 인물에게 감정을 이입시키고 공감할 수 있도록 심리적 사실이 적절하게 폭로되고 은폐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곽정연 <문학: 문학형식과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 독일어문학, Vol.19 [2002]
. 즉, 독자가 작품을 통하여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모든 정보를 그대로 드러내서도 안 되며, 그렇다고 모든 정보를 숨겨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나를 찾아줘’영화에서도 작가(감독)은 관객들이 에이미의 존재에 대해서 전혀 알려주지 않는다. 닉이 실제 에이미를 살해하고 은닉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에이미가 모든 것을 꾸미고 잠적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누군가 제 3의 인물이 에이미를 살해한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갑작스럽게 등장한 닉의 내연녀를 보고는 닉을 완벽하게 의심하게 만든다.
관객을 이러한 혼돈 속에 빠뜨리면서 영화는 굉장히 흥미진진한 효과를 유발해 낸다. 관객은 긴장을 놓을 수 없으면서 영화 중반부로 향한다. 그러다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에이미... 이렇게 작가(감독)은 관객에게 신선한 충격을 선사한다.
인간은 무조건 보이는 것을 믿게된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막연한 두려움을 갖는다. 즉, 무의식의 세계게 존재하는 두려움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 같다. 작가(감독)은 이러한 우리의 무의식에 존재하는 두려움에 대해서 매우 잘 파헤치는 듯하다. 우리는 예상할 수 있는 모든 행동에 대해서는 두려움을 갖지 않는다. 그 이유는 예측 가능한 두려움은 어느 정도의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두려움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그 두려움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의 마지막에서 두려움에 떨면서 에이미의 머리를 쓰다듬은 닉의 모습은 우리에게 잔잔한 공포심을 그래도 심어놓는 듯하다.
7. 결 론
‘나를 찾아줘’라는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는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심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공포심이 단순하게 에이미의 섬뜩한 행동들이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수행하면서 심리주의 비평의 시각에서 바라 본 ‘나를 찾아줘’는 매우 신선하게 다가왔다.
어린 시절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란 두 남녀(닉과 에이미)는 서로 다른 결혼생활에 대한 이상향을 꿈꾸고 결국 끔찍한 결과를 낳았다. 부모로부터 받은 성장과정의 환경은 아이가 잘못된 삶에 대한 이상향(슈퍼에고)의 형성하도록 한다. 남에게 보이는 최고의 모습만을 이상향을 설정해 준 에이미의 부모는 에이미가 대중적인 이미지를 위해서는 어떠한 행위도 감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어머니에게 불행한 결혼생활을 지속시킨 닉의 아버지는 닉에게 자신의 아이에게는 책임감 있는 아버지가 되어야 겠다는 이상향을 설정하게 하였다.
영화 속에서 닉과 에이미는 자신들이 선택하는 것이 최고의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닉의 선택에 여동생 마고가 절망하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은 그 선택을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자기 자신마다의 이상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이상향은 자신도 모르게 과거에 경험한 무의식으로 인하여 형성된다. 즉, 프로이드가 이야기 한 것처럼 어린 시절 형성된 무의식 속의 경험들이 우리의 삶을 결정짓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김신정, 박태상, 이상진 지음 <문학의이해> 방송통신대학출판문화원 2013
엘리자베드 라이트 저 <정신분석비평> 권택영 역 문예출판사 1989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 입문 (인간 정신에 대한 혁명적 통찰)> 최석진 역 돋을새김 2015
곽정연 <문학: 문학형식과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 독일어문학, Vol.19 [2002]
김종회 <한국문학에 수용된 심리주의비평 연구> 어문연구 제23권 제4호 통권 제88호 235p ~ 254p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9.02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