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실록의 편찬 과정
1) 춘추관과 사관
2) 사초와 시정기의 작성
3) 실록청의 설치와 실록의 편찬
3. 실록의 인쇄와 보관
1) 실록의 인쇄와 세초(洗草)
2) 보관 및 판본
① 조선 전기
② 조선 후기
3) 병합 이후
4) 원본 影印
5) 國譯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초의 종류
(1) 입시사초
입시사초란 예문관의 전임관 중 기사관이 정사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입시하여 기록한 것을 말한다. 작성된 사초는 춘추관에 납입되어 승정원일기와 겸임사관들이 보고한 각 관청의 시행사와 함께 시정기로 작성되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성한 사초(史草), 각사 등록(謄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가 실록편찬의 기본자료였고, 문집일기야사류 등도 이용되었으며, 후기에는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과 《일성록》도사용되었다. 실록편찬 작성과정은 초초(初草)중초(中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초(史草)이다. 사초는 춘추관 관직을 겸임한 관원을 통칭하는 사관(史官)에 의해 작성되는데 이 사관 중에서도 주로 춘추관의 사무를 담당하여 사초를 작성하는 이들을 전임사관(專任史官) 예문관의 봉교(奉敎, 정7품) 2인, 대교(待敎, 정8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초를 작성하여 국왕이 사망한 이후 실록을 작성하는 자료로 삼았다. 어떤 통치자가 자신의 행위가 낱낱이 기록되는 것을 좋아 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누구나 나의 행동이 기록된다고 하였을 때 정치행위를 조심스럽게 할 것이라는 점은 분
기념 기념일, 기념사업 기념사, [기념, 기념과 기념사업, 기념과 기념일, 기념과 기념사, 기념관, 기념시설, 기념탑, 기념비]기념과 기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