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풍의 피해와 예측
2. 연직구조
3. 태풍의 관측
4. 태풍의 이동
5. 태풍에 의한 강수효과
6. 태풍의 강도
2. 연직구조
3. 태풍의 관측
4. 태풍의 이동
5. 태풍에 의한 강수효과
6. 태풍의 강도
본문내용
공급 환경과 크게 연관되어 있다. 먼저 태풍이 지나가는 해면온도가 높을수록 태풍이 수증기를 함유하기 쉬워진다. 또한 대기와 해수 간 기온차가 클 경우 바다로부터 대기로 유입되는 수증기의 량도 많아진다. 보통 해면 온도가 27℃ 이상일 때 태풍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하층에서 저기압성 순환기류가 일어나거나, 상층에서 발산기류가 있을 때 이러한 것들은 대규모의 상승기류를 유도하여, 적란운을 형성시키고 태풍을 발달시킨다. 보통 태풍은 연직시어가 작을 때 연직적으로 적란운의 발달이 촉진되어 크게 발달한다. 만약, 연직시어가 크다면 상층과 하층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조직적인 적운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태풍의 강도가 약해진다. 태풍은 중위도에 진입하면 그 세력이 약해진다. 중위도의 강력한 경압성은 태풍의 연직시어를 크게 흩뜨려 놓음으로써 태풍의 세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한랭건조한 공기가 태풍에 접근하면 태풍에 수증기의 원활한 공급을 방해하므로 태풍을 소멸시킨다. 태풍이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후에도, 중위도 제트류가 갖는 가용위치에너지가 공급되면 다시 발달하여 풍속이 다시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태풍의 세력이 약화되면 열대저기압으로 변질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