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연료 계통의 구조와 기능
■ 본 론 ················································
1. 필요 조건
2. 중력식 공급 연료 장치
3. 압력식 장치
4. 연료 여과기
5. 연료 계통 취급 주의사항
6. 증기 폐색
7. 연료 계통 빙결
8. 기화의 원리
■ 결 론 ················································
■ 참고자료 ················································
연료 계통의 구조와 기능
■ 본 론 ················································
1. 필요 조건
2. 중력식 공급 연료 장치
3. 압력식 장치
4. 연료 여과기
5. 연료 계통 취급 주의사항
6. 증기 폐색
7. 연료 계통 빙결
8. 기화의 원리
■ 결 론 ················································
■ 참고자료 ················································
본문내용
게 설계되어 있다. 많은 양의 증기가 모이면 펌프, 밸브, 기화기의 연료 미터링 부의 작동을 방해한다. 증기는 고고도에서 대기압의 저하와 과도한 연료 온도와 연료의 교란 운동에 의하여 생긴다.
증기 폐색을 없애기 위한 최선의 해결책은 승압 펌프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또한 고고도에서 승압 펌프를 사용하는 이유이다.
승압 펌프는 연료 라인에 정압을 공급하여 연료가 증기화되는 경향을 줄여주고 계통 내의 증기 방울을 밀어내어 통기 장치를 통해 내 보낸다.
승압 펌프는 연료 탱크의 하부에 위차하기 때문에 승압 펌프는 항상 연료에 증기 방울이 섞여 있어도 공급 라인에 연료를 계속 공급하게 한다. 연료 펌프와 기화기는 종종 증기가 축적 되었을 때 부자식 밸브 또는 다른 형의 밸브가 열리게 되어 있는 방이다. 밸브가 열리면 증기는 라인을 통하여 연료 탱크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증기가 연료 미터링 장치로 들어가서 정상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연료 라인은 만곡의 최정점에 증기가 모이게 할 수 있는 가파른 커브(Sharp curve)로 설계하여서는 안 된다.
7. 연료계통 빙결 (Fuel System Icing)
항공기 연료 계통 내의 빙결 현상은 연료 계통 내의 물의 존재로 인함이다. 이 물은 연료에 융해 되지 않거나 융해되어 있다. 연료에 융해되지 않은 물의 첫 형태는 연료 내에 미세한 물입자가 섞여 있는 "Entrained Water" 이다. Entrained Water는 정적인 조건하에서 안정시키면 "Free water"로 연료 탱크 바닥에 모이게 된다. 안정률은 온도와 물입자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연료에 융해되지 않은 물은 둘째 형태는 “Free water"로서 재 급유시 또는 "Entrained Water"의 안정으로 인해 생기며 연료 탱크 바닥에 모이게 된다.
"Free water"는 탱크 바닥에서 쉽게 감지되며 연료 계통 내에서 결빙으로 인한 엔진 고장 또는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섬프 드레인을 통하여 물을 드레인 시킨다. "Entrained Water"는 차가운 련료 내에서 결빙될 수 있고 얼음의 비중과 항공용 연료의 비중이 거의 같기 때문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다. 항공용 연료 내에서의 물과 얼음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방빙 방지 첨가제, EGME(Etylene Glycol Monomethyl Ether)가 사용되기도 한다.
추가로 방빙 첨가제가 기화기 가열의 대치 수단이 될 수는 없기 때문에 기화기 가열은 결빙의 우려가 있는 모든 대기 조건하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항공기처럼 큰 물체는 연료가 어떻게 적용될까? 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번을 계기로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되었고 연료 부분도 단순 할 줄 알았는데 이렇
게 복잡 할 줄은 몰랐다. 또 연료계통의 주의사항이 많이 있다는 걸 알았고 연료통
은 날개 안에 있어 빙결현상이 안 일어날 줄 알았는데 일어난다는 것이 신기했다.
항공정비사 워너비 http://cafe.naver.com/airmanwannabe
항공기 왕복엔진-성안당-저자:노명수
증기 폐색을 없애기 위한 최선의 해결책은 승압 펌프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또한 고고도에서 승압 펌프를 사용하는 이유이다.
승압 펌프는 연료 라인에 정압을 공급하여 연료가 증기화되는 경향을 줄여주고 계통 내의 증기 방울을 밀어내어 통기 장치를 통해 내 보낸다.
승압 펌프는 연료 탱크의 하부에 위차하기 때문에 승압 펌프는 항상 연료에 증기 방울이 섞여 있어도 공급 라인에 연료를 계속 공급하게 한다. 연료 펌프와 기화기는 종종 증기가 축적 되었을 때 부자식 밸브 또는 다른 형의 밸브가 열리게 되어 있는 방이다. 밸브가 열리면 증기는 라인을 통하여 연료 탱크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증기가 연료 미터링 장치로 들어가서 정상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연료 라인은 만곡의 최정점에 증기가 모이게 할 수 있는 가파른 커브(Sharp curve)로 설계하여서는 안 된다.
7. 연료계통 빙결 (Fuel System Icing)
항공기 연료 계통 내의 빙결 현상은 연료 계통 내의 물의 존재로 인함이다. 이 물은 연료에 융해 되지 않거나 융해되어 있다. 연료에 융해되지 않은 물의 첫 형태는 연료 내에 미세한 물입자가 섞여 있는 "Entrained Water" 이다. Entrained Water는 정적인 조건하에서 안정시키면 "Free water"로 연료 탱크 바닥에 모이게 된다. 안정률은 온도와 물입자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연료에 융해되지 않은 물은 둘째 형태는 “Free water"로서 재 급유시 또는 "Entrained Water"의 안정으로 인해 생기며 연료 탱크 바닥에 모이게 된다.
"Free water"는 탱크 바닥에서 쉽게 감지되며 연료 계통 내에서 결빙으로 인한 엔진 고장 또는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섬프 드레인을 통하여 물을 드레인 시킨다. "Entrained Water"는 차가운 련료 내에서 결빙될 수 있고 얼음의 비중과 항공용 연료의 비중이 거의 같기 때문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다. 항공용 연료 내에서의 물과 얼음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방빙 방지 첨가제, EGME(Etylene Glycol Monomethyl Ether)가 사용되기도 한다.
추가로 방빙 첨가제가 기화기 가열의 대치 수단이 될 수는 없기 때문에 기화기 가열은 결빙의 우려가 있는 모든 대기 조건하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항공기처럼 큰 물체는 연료가 어떻게 적용될까? 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번을 계기로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되었고 연료 부분도 단순 할 줄 알았는데 이렇
게 복잡 할 줄은 몰랐다. 또 연료계통의 주의사항이 많이 있다는 걸 알았고 연료통
은 날개 안에 있어 빙결현상이 안 일어날 줄 알았는데 일어난다는 것이 신기했다.
항공정비사 워너비 http://cafe.naver.com/airmanwannabe
항공기 왕복엔진-성안당-저자:노명수
추천자료
조직이론 [챈들러 Chandler 의 전략과 구조에 관한 이론]
천연물의 추출,분리,정제 및 화학구조의 분석 방법
공급사슬관리(SCM)의 의의 및 공급사슬의 발전구조와 참여자
신체적 노화현상(생리적 노화현상, 신체구조의 노화현상)
석유 산업, 석유 제품의 유통과정 구조 체계
간호관리 - chapter 03. 조직 기능 (조직화, 직무관리,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변화)
[화재조사] 석유보일러의 화재조사요점 (구조 및 기능, 발화유형)
[계량분석] 외국 경제 상황 변화와 한국의 수출입구조의 분석
[생화학]효소(Enzyme) - 효소의 본질, 효소의 분류와 구조, 효소활성 관련 인자, 효소와 기질...
Air Carriers 세계3대 항공사 제휴동맹, 항공운송, 저가항공사마케팅, 항공산업, 비용구조, ...
폴란드의 국가 리스크- 폴란드 경제의 개괄,국경쟁력지수 비교,국제무역,소득불평등 구조,빈...
[동물조직학]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계의 조직학적인 정리 {소화기계 정의와 구조, 소화, 위...
원예과 교수-학습 지도안 - II. 시설의 종류, 구조, 자재 및 설치 - 1. 시설의 종류와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