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1. 조기 검진을 받으면 더 오래 살까?
2. 암 치료율은 정말 높아졌을까?
3. 죽지 않는 것이 최선일까?
4. 당뇨병은 인슐린으로 치료되나?
5. 고혈압에 소금은 정말 나쁜가?
6. 비만은 약으로 치료될 수 있나?
2. 암 치료율은 정말 높아졌을까?
3. 죽지 않는 것이 최선일까?
4. 당뇨병은 인슐린으로 치료되나?
5. 고혈압에 소금은 정말 나쁜가?
6. 비만은 약으로 치료될 수 있나?
본문내용
암의 조기발견 = 조기사망
암이 아닌 양성 종양을 암이라고 단정하여 치료가 시작되면서 그 부작용으로 결국 진짜 암이 발생.
현대의학은 양성종양에 대해서만 치료할 수 있고, 악성 종양은 전혀 치료효과 X.
양성 종양 ≠ 암
→ 하루에도 수만 개의 양성 종양이 생기지만 면역체계의 일부인 림프구가 이를 제거하기 때문에 스스로 없어지는 사마귀에 불가
조기검진은 판독 오류로 건강한 사람을 암 환잘 잘못 진단해 수술과 약물 중독으로 만드는 경우가 多.
Ex) 1989년, 미국의협회지(JAMA)에 개재된 한 연구
: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44%이상이 양성 종양 이었음.
유방암의 경우, 77%가 오진이었음.
오진률이 개선되지 않은 이유 : 주류 의사들의 수입과 관련
X선, CT, PET등의 방사선 검사→ 면역체계 파괴
이러한 방사선의 부작용으로 암이 생김.
암이 아닌 양성 종양을 암이라고 단정하여 치료가 시작되면서 그 부작용으로 결국 진짜 암이 발생.
현대의학은 양성종양에 대해서만 치료할 수 있고, 악성 종양은 전혀 치료효과 X.
양성 종양 ≠ 암
→ 하루에도 수만 개의 양성 종양이 생기지만 면역체계의 일부인 림프구가 이를 제거하기 때문에 스스로 없어지는 사마귀에 불가
조기검진은 판독 오류로 건강한 사람을 암 환잘 잘못 진단해 수술과 약물 중독으로 만드는 경우가 多.
Ex) 1989년, 미국의협회지(JAMA)에 개재된 한 연구
: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44%이상이 양성 종양 이었음.
유방암의 경우, 77%가 오진이었음.
오진률이 개선되지 않은 이유 : 주류 의사들의 수입과 관련
X선, CT, PET등의 방사선 검사→ 면역체계 파괴
이러한 방사선의 부작용으로 암이 생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