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시계의 개념과 활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체시계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체시계의 개념과 활용

I. “약 24시간”이라는 뜻

II. 멜라토닌의 작용

III. 신체리듬은 정신건강에도 중요

IV. 암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사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항암제의 독성을 줄일 수 있는 투약시기를 찾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미국에서는 이것을 이용해 트리아마이신이 뼈에 미치는 독성과 시스-플레티넘이라는 항암제가 신체상에 주는 부담을 최소화하는 투약시기를 선정했다.
몇몇 암들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온도패턴을 갖는다는 것도 암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 가령 정상 유방의 경우 24시간 또는 7일 간격으로 반복되는 온도리듬을 소지하는데 비해 유방암에 걸린 경우에는 20시간, 40시간, 80시간 주기의 온도리듬이 나타난다.
신빙성이 다소 떨어지긴 하지만 생체리듬이 어떻게 작용했다는 결과들은 수없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 수면시간이 그가 얼마나 오래 잠을 자지 못했느냐 보다는 그 사람이 언제 잠자리에 들어갔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주장도 있다. 즉, 체온리듬이 최고점에 달한(체온이 하루 중 가장 높은) 초저녁에 잠들면 체온리듬이 최저점에 달한(체온이 하루 중 가장 낮은) 새벽에 잠자리에 들어간 경우보다 두배나 더 오래 잔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청각, 후각, 미각 등의 감각이 오전 3시에 가장 민감해졌다가 새벽 6시부터 갑자기 둔해지기 시작하고 다시 오후 5시~7시 사이에 민감해진다고 발표한 학자도 있다.
이 사이클이 인간의 스테로이드호르몬 분비주기와 관련이 있다고 발표했다. 아스피린을 아침 7시에 복용하면 저백 7시에 복용한 경우보다 체내에 오래 남아있게 된다는 공식적인 연구결과도 있다.
이처럼 생체리듬은 우리의 수많은 생리작용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생체리듬을 다루는 시간생물학은 늘 소외돼 왔다. 그 지식을 의학적으로 응용하는데 있어서도 인색하기 짝이 없었다. 물론 최근에 와서는 그 인식도가 많이 달라졌다.
생체리듬 즉 생물학적 리듬(Biological-Rhythm)을 과학적인 것으로 바로 이해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제, 우리의 세포 속에 또 유전자 속에 똑똑히 박혀 있는 생체시계에 우리의 시간을 맞춰야 할 때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8.17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