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2. 3수준 6단계 도덕발달
1) 전인습적 도덕성
2) 인습적 도덕성
3) 후인습적 도덕성
3. 교육적 시사점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1) 고정비율 강화계획
2) 변동비율 강화계획
3) 고정간격 강화계획
4) 변동간격 강화계획
참고자료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2. 3수준 6단계 도덕발달
1) 전인습적 도덕성
2) 인습적 도덕성
3) 후인습적 도덕성
3. 교육적 시사점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1) 고정비율 강화계획
2) 변동비율 강화계획
3) 고정간격 강화계획
4) 변동간격 강화계획
참고자료
본문내용
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할 때 새로운 도덕적 인지구조의 형성이 시작된다. 즉 이전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다음 단계의 도덕적 추론이 발달된다.
콜버그의 이론은 도덕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여건 형성의 과정에서 교사가 도구적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첫째는 갈등조성의 기능이다. 갈등은 사교유형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둘째는 자신의 입장을 떠나 타인의 입장 및 관점을 취할 수 있는 역할채택을 자극하는 기능이다.
또한 도덕적 모범을 보일 수 있는 모델로서 교사는 권위를 가져야한다. 진리를 추구하고 선을 경험함으로써 아동, 학생들에게 그와 같은 진리와 선을 추구하도록 도와야 하는 교사는 교육자로서 교육에의 신념과 열정을 가지고 도덕적으로 모범을 보일 때 권위를 가지게 될 것이다.
첫째, 교사는 도덕적 발달과정에 기여하는 것이 주된 임무이므로 학생의 인지·발달적 도덕적 성장을 위한 촉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교사는 토의를 진행시키는 지도자로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기보다, 아량과 절제를 가지고 경청하는 자이다. 그리고 질문자이면서 모든 아이디어에 개방적이어야 한다. 또한 일방적으로 해답을 제시하기보다 아이디어를 명료하기 하는 요약자로서 활동하는 자이다. 또 학생들에게 인지갈등을 일으키게 하고 역할 채택을 자극할 수 있는 조성자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강화계획의 종류는 크게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적 강화는 바라던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매번 강화를 하는 것이고, 간헐적 강화는 부분적으로 강화를 하는 것이다. 두 가지 강화계획 중에 어느 것이 효과적일까? 계속적 강화보다 간헐적 강화가 효과적이라고 한다. 학생이 공부할 때마다 교사가 매번 칭찬을 하는 계속적 강화는 오히려 강화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은 계속적 강화이므로 크게 감동을 받지 못하지만, 간혹 먹는 피자나 자장면에 환호하는 것은 간헐적 강화이기 때문이다. 간헐적 강화계획은 횟수 혹은 시간에 따라 비율강화계획과 간격강화계획으로 구분된다.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1) 고정비율계획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일정 횟수의 행동 이후에 제시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매 5문제를 풀 때마다 칭찬을 해주기도 했다고 가정해보자. 엄마의 시간이 지났는지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매 5문제를 끝내게 되면 교사로부터 칭찬이라는 강화를 받게 된다.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받기 위해 개인이 신속하게 반응하며 개인이 강화물을 원하는 한 꾸준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변동비율계획
변동비율계획은 강화물을 고정적이지 않은 횟수 이후에 제시한다. 교사가 학급규칙을 잘 지킨 학생들에게 평균 5번에 한 번씩 청소를 면제해주는 강화계획을 세웠다고 하자. 이때 매 5번째마다 면제를 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3번째, 4번
콜버그의 이론은 도덕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여건 형성의 과정에서 교사가 도구적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첫째는 갈등조성의 기능이다. 갈등은 사교유형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둘째는 자신의 입장을 떠나 타인의 입장 및 관점을 취할 수 있는 역할채택을 자극하는 기능이다.
또한 도덕적 모범을 보일 수 있는 모델로서 교사는 권위를 가져야한다. 진리를 추구하고 선을 경험함으로써 아동, 학생들에게 그와 같은 진리와 선을 추구하도록 도와야 하는 교사는 교육자로서 교육에의 신념과 열정을 가지고 도덕적으로 모범을 보일 때 권위를 가지게 될 것이다.
첫째, 교사는 도덕적 발달과정에 기여하는 것이 주된 임무이므로 학생의 인지·발달적 도덕적 성장을 위한 촉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교사는 토의를 진행시키는 지도자로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기보다, 아량과 절제를 가지고 경청하는 자이다. 그리고 질문자이면서 모든 아이디어에 개방적이어야 한다. 또한 일방적으로 해답을 제시하기보다 아이디어를 명료하기 하는 요약자로서 활동하는 자이다. 또 학생들에게 인지갈등을 일으키게 하고 역할 채택을 자극할 수 있는 조성자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강화계획의 종류는 크게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적 강화는 바라던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매번 강화를 하는 것이고, 간헐적 강화는 부분적으로 강화를 하는 것이다. 두 가지 강화계획 중에 어느 것이 효과적일까? 계속적 강화보다 간헐적 강화가 효과적이라고 한다. 학생이 공부할 때마다 교사가 매번 칭찬을 하는 계속적 강화는 오히려 강화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은 계속적 강화이므로 크게 감동을 받지 못하지만, 간혹 먹는 피자나 자장면에 환호하는 것은 간헐적 강화이기 때문이다. 간헐적 강화계획은 횟수 혹은 시간에 따라 비율강화계획과 간격강화계획으로 구분된다.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1) 고정비율계획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일정 횟수의 행동 이후에 제시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매 5문제를 풀 때마다 칭찬을 해주기도 했다고 가정해보자. 엄마의 시간이 지났는지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매 5문제를 끝내게 되면 교사로부터 칭찬이라는 강화를 받게 된다.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받기 위해 개인이 신속하게 반응하며 개인이 강화물을 원하는 한 꾸준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변동비율계획
변동비율계획은 강화물을 고정적이지 않은 횟수 이후에 제시한다. 교사가 학급규칙을 잘 지킨 학생들에게 평균 5번에 한 번씩 청소를 면제해주는 강화계획을 세웠다고 하자. 이때 매 5번째마다 면제를 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3번째, 4번
추천자료
[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상담영역을 중심
[교육심리학]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교육심리학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
교육심리학의 정의 연구영역 발달 관련자료
교육심리학의 학문적성격
[교육심리학]인본주의
[인문과학] 교육심리학의 기초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진로지도와 교육심리학의 적용
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정리
[교육심리학]도덕성 및 성역할 발달에 관한 고찰
2011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 요약정리
[교육심리학] (A+)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심리학] 성격과 적응
[교육education심리학] 발달의 개념 및 발달 연구의 동향 (발달의 정의, 발달에 대한 주요 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