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외적타당도의 개념
2. 외적타당도와 관련된 요인 3가지와 각각의 예시
3. 기타 외적타당도 저해요인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외적타당도의 개념
2. 외적타당도와 관련된 요인 3가지와 각각의 예시
3. 기타 외적타당도 저해요인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연한 사건 또는 역사 요인
조사설계 기간중에 의도와는 상관없이 돌발적으로 발생한 통제 불가능한 사건으로 인하여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뜻한다. 가령 대상이 다른 시도지역으로 전출을 가거나, 원래 의도하였던 복지서비스를 애초에 원하지 않았었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상실요인
대상 집단의 일부의 탈락과 상실로 인하여 남아있는 대상이 원래의 관찰집단과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되는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관찰집단이 중도에 타 지방으로 이사를 가던지 의도적 중도해지로 인하여 발생한다.
-도구요인
조사 이전과 이후에 측정자의 기준이 달리 적용되거나, 수단이 변화됨으로서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가령 조사에 있어 측정 기준을 달리하거나 표본조사 대상을 변화시켰을 때 도구요인에 해당된다 할 수 있다.
Ⅲ. 결론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지 못한 조사연구는 조사연구의 정당성을 확보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활용성도 낮기 때문에 그만큼 값어치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조사연구자는 조사 이전에 조사연구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 연구조사방법론 김환준 저 | 나남 | 2004.03.15.
조사설계 기간중에 의도와는 상관없이 돌발적으로 발생한 통제 불가능한 사건으로 인하여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뜻한다. 가령 대상이 다른 시도지역으로 전출을 가거나, 원래 의도하였던 복지서비스를 애초에 원하지 않았었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상실요인
대상 집단의 일부의 탈락과 상실로 인하여 남아있는 대상이 원래의 관찰집단과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되는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관찰집단이 중도에 타 지방으로 이사를 가던지 의도적 중도해지로 인하여 발생한다.
-도구요인
조사 이전과 이후에 측정자의 기준이 달리 적용되거나, 수단이 변화됨으로서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가령 조사에 있어 측정 기준을 달리하거나 표본조사 대상을 변화시켰을 때 도구요인에 해당된다 할 수 있다.
Ⅲ. 결론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지 못한 조사연구는 조사연구의 정당성을 확보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활용성도 낮기 때문에 그만큼 값어치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조사연구자는 조사 이전에 조사연구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 연구조사방법론 김환준 저 | 나남 | 2004.03.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