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도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상의 도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유,불,선 3교의 융화와 우리의 고유사상을 주장하다.
● 중국의 최치원관련 유적지

본문내용

으며 이 고장의 주 수입원이 되는 것도 바로 생태관광이다.
최치원은 율수현위를 그만둔 후 양주의 당성에 근무하게 된다. 최치원이 근무했던 당성은 회남 일대를 장악하고 있던 절도사 고변의 주둔지 였다. 이 무렵 황소의 난이 일어나 수도인 장안이 점령당하는 위기를 맞았는데 회남절도사 고변은 이 반란을 토벌하러가는 상황에서 당대 최고의 문장가인 최치원을 종사관으로 임명하게 된다.
황소의 난을 토벌하는 과정에서 최치원은 유명한 글 ‘토 황소격문’을 섰는데 반란을 일으겼던 소금장수 황소가 이글을 읽다가 너무 놀라서 침상 아래로 굴러 떨어졌다고 한다. 당시 중국인들은 황소를 격퇴한 것은 칼이 아니라 최치원의 글이라고 하면서 그의 문장력을 크게 격찬했다.
이러한 공로로 인하여 중국 황제는 최치원에게 정 5품 이상에게 하사하는 붉은색 주머니인 ‘자금어대’를 하사하였다. 중국 장쑤성 양저우시에서는 2000년 동상 제막에 이어 2007년 최치원 기념관을 짓고 매년 10월 15일을 한·중 우호 교류일로 지정, 국제학술대회, 제향 행사 등 대규모 기념축제를 벌인다.중국의 양주시에 있는 최치원 기념관에서는 해마다 10월 15일에 선생에 대한 제사를 올리고 있다. 경주 최씨 종친회에서도 참여하고 있는 최치원 선생 제향행사는 해가 갈수록 내용이 풍성해 지고 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제향행사가 펼쳐진다. 최치원에 대한 제향 행사 후에는 양주대학에서 ‘한-중 교류의 아이콘 고운 최치원’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도 연다. 최치원을 기념하기 위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동아시아의 유명한 교수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성대하게 펼쳐지게 된다.
  • 가격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10.12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