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개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 개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역사(학)의 정의 및 연구영역
3. 역사학의 발전과정
4. 역사학의 연구방법
5. 역사학의 주요정보원
6. 결론
7. 조사 후기

본문내용

관은 역사 뿐 아니라 모든 학문적 연구를 크게 제한했다.
그러나 14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사람들의 생각이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바뀌면서 활기를 띠게 되었고 한 때 그 활기에 대한 반작용이 유행을 타기도 했지만, 결국 19세기 이후에는 과학적 서술을 역사학의 원칙으로 삼게 되었으며,
지금도 이러한 문헌비판학이 역사학을 주도하고 있다.
주요 학자로는 헤로도토스(히스토리아Historia), 랑케(근대적 의미의 역사학), E. H. 카(역사란 무엇인가) 등이 시대를 대표하는 석학들이라 할 수 있다.
4. 역사학의 연구방법
역사학은 우선 사실(사료)들을 끌어 모은 다음 그것을 해석해야 하는 가장 귀납적이라 할 수 있는 학문이다.
역사적 사실을 짐작케 하는 자료는 기록 외에도 다양한 유물, 풍속, 사람들의 생활상에도 녹아 있으며 역사가는 항상 이들 자료를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존재하는 사료가 모두 진실을 담고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5. 주요 정보원
5.1. 학술지
*역사학보(역사학회)- http://dbpia.co.kr/view/p_view.asp?pid=1677
* 역사학연구(호남사학회)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 國際歷史學會議韓國委員會紀要
*단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역사학과- 역사학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한성사학회
5.2. 단행본
*E. H. 카- <역사란 무엇인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 <역사학>
* 대학교재편찬회의 <한국문화사> -고려출판사-
*<세계문화사> 남철호 외 공저 -창문각-
* 그 외에 국립 중앙도서관에 역사학 관련 단행본 905권이 검색된다.
5.2.3. 연감
*中國歷史學年監 / 中國史學會 編
6. 결론
“역사가 어제의 정치라면, 정치는 오늘의 역사다.”
라는 혹자의 말이 역사와 역사학의 의의를 가히 짐작케 한다.
인간은 오늘로써 어제를 만들고 내일을 바라보며 영원을 그린다.
설령 그것이 결코 닿을 수 없는 지평선 같은 꿈이라 할지라도.
7. 조사 후기
역사는 내가 어렸을 때부터 좋아했고 또 관심이 많은 분야이지만 학교에서 배운 것과 여기 저기 책이나 각종 미디어를 통해서 얻은 단편적이고 잡다한 지식들이 전부였다.
나는 이 조사를 통해 역사학의 의미와 흐름, 그리고 그 연구 방법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고 무엇보다 특정 국가나 민족의 역사 보다는 역사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탐구해 보는 귀중한 경험이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05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