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 신채호의 역사인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재 신채호의 역사인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一. 들어가는 글

二. 단재 신채호의 생애와 활동

三. 단재 신채호의 역사인식

四. 신채호사학의 사학사적 위치

본문내용

체계성종합성 등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사학을 근대적인 역사과학으로 끌어올리고자 노력하였다.
신채호는 한국 근대 민족주의 역사학을 성립시킨 장본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것은 신채호가 과거의 왕조 중심의 역사관을 극복하고 민족 중심의 역사관을 처음으로 제시함으로써 민족주의사학을 개척하였으며, 일본인들의 임나일본부설신공후침공설 등 식민주의 역사관을 비판하면서 한국 근대 민족주의사학의 과제 중의 하나가 반식민사학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기 때문이다.
신채호와 박은식의 역사학은 민족주의사관에 입각하였다는 점, 근대적인 역사학방법론을 수용하여 한국사학을 근대적인 학문으로 성립시키려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양자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단재가 특히 고대사에 더 관심을 쏟았다면, 박은식은 근대사에 더 관심을 쏟았다. 이는 박은식이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을 비판하고 민족운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반면, 신채호는 한국민족의 강국시대였던 고대사를 웅혼한 모습으로 복원하는 데 더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역사서술을 통하여 민족혼을 되살리고자 했던 점은 양자에 공통된 것이었으며, 따라서 그들의 민족주의사관이 모두 관념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던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 비록 신채호의 사학이 사료고증 확인의 부족과 감정에 치우친 민족주의적 색채를 가지고 있다고 비판받기 하지만 일제치하 식민지 노예 상태의 우리민족이 온갖 고통을 겪고 있는 조건하에서 민족에게 주체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민족에게 희망을 갖도록 하기위해 노력하였던 것을 간과할 수 없다
그는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우기 위하여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자부심을 갖도록 우리 역사의 자주성과 독창성을 내세웠고 유교적 명분론에 묶인 중세사학의 틀을 벗어던지고 근대 사학의 뿌리를 가꾸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신채호에 의해 성립된 민족주의 사학은 1930년대 정인보(鄭寅普)문일평(文一平)안재홍(安在鴻) 등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나갔고, 1940년대에는 손진태(孫晉泰)안재홍 등에 의해 관념론적인 한계를 극복하면서 신민족주의사학으로 비약하게 된다.
【참고문헌】
李佑成;姜萬吉, 韓國의 歷史認識:韓國史學史論選/ 下 ,창작과 비평사, 1976.
조동걸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 창작과 비평사, 1994
신채호, 조선상고사, 일신서적출판사, 1998
http://www.danjae.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