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부당노동행위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5가지
III.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IV.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제한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5가지
III.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IV.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제한
본문내용
III. 부당 노동행위의 구제제도
5. 지방노동관서 신고 (진정,고소,고발)
1. 신고 주체
1) 부당노동행위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은 지방노동관서에 진정, 고소 등 사용자의 처벌을 요구할 수 있음(법 제90조)
(1)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피해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처벌 가능하며,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과 병행할 수도 있음
2) 고소, 고발권한, 방식 등은 형사소송법 제223조 내지 제237조의 규정에 의하여야 함
5. 지방노동관서 신고 (진정,고소,고발)
1. 신고 주체
1) 부당노동행위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은 지방노동관서에 진정, 고소 등 사용자의 처벌을 요구할 수 있음(법 제90조)
(1)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피해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처벌 가능하며,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과 병행할 수도 있음
2) 고소, 고발권한, 방식 등은 형사소송법 제223조 내지 제237조의 규정에 의하여야 함
추천자료
미국의 해고자유원칙의 수정과 부당해고의 제한
직장내 여성 불평등 대우 사례조사와 이에 맞서는 여성단체의 활동
부당해고 구제제도
동일노동과 동일임금법, 임금체계의 목표와 구성요소, 고용구조와 임금격차의 현황, 동일노동...
[골프경기보조원][캐디][골프]골프경기보조원(캐디)의 개념, 골프경기보조원(캐디)의 근로내...
[노동안전보건][노동안전보건 실태][덴마크 노동안전보건 사례][노동안전보건 개선 방안]노동...
우리나라 부당해고구제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노조법상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연구
특수고용노동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개념과 유형, 특수고용노동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산...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필요성,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동향, 공무원노동조합(...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정의,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제한,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
[노동조합법]노동조합법(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의 특징, 설립요건, 노동조합법(노동조합...
부당해고 구제신청 관련 판례 연구
쉐보레(대우자동차, GM대우)의 연혁, 목적, 쉐보레(대우자동차, GM대우) 평가, 부도영향, 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