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경로에 근거한 예방법 (호흡기, 비말, 접촉, 표준주의에 대한 격리 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파경로에 근거한 예방법 (호흡기, 비말, 접촉, 표준주의에 대한 격리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표준주의지침(Standard precaution)
2. 전파경로별 주의지침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화기계, 호흡기계, 피부, 상처 감염이나 다양한 약물에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의 감염
감염의 독성이 낮은 장관 내 감염이나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생존하는 Clostridium difficile, 기저귀를 사용하거나 실금환자, 장출혈성 대장균 0157: H7(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원형 시겔라), A형 간염 또는 로타 바이러스(rotaviurs)
영아나 어린 아동의 RS virus, parainfluenzq, enterovirus 감염
감염률이 매우 높거나 건조한 피부에 발생하는 피부감염: 영아나 어린 아동의 디프테리아(피부), 단순 헤르페스성 바이러스(신생아 또는 점막피부), 농가진, 농포가 없는 농양, 봉와직염 또는 욕창, 이기생충, 옴, 포도상구균성 절증(furunculosis), 대상포진(파종성 또는 면역보합성 숙주)
바이러스성 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출혈성 감염(Ebola, Lassa, Marburg)
<감염성질환의 감염가능기간과 등교중지기간>
감염성질환의 감염가능기간과 등교중지기간
병명
감염 가능 기간
등교중지 기간
유행성 이하선염
타액선 종창 전 7~종창 후 9일
종창 후 9일까지
유행성 결막염
증상이 사라진 후 2일까지
증상이 사라진 후 2일까지
홍역
발진 출현 전 5일~출현 후 3~4일
발진이 나타난 후 4일까지
풍진
발진 출현 전 7일~출현 후 7일
발진이 없어질 때까지
결핵
증상 시작 ~ 치료 시작 후 2주까지
치료 시작 후 2주까지
수두
발진 출현 전 1일 딱지가 될 때까지
모든 발진이 딱지가 될 때까지
A형 간염
보통 증상이 있는 7~10일동안
치료가 끝날 때까지
수족구병
발병 전 3~5일 전~발병 1주일 후까지
발병 후 1주일까지
백일해
발병 후 약 4주
항생제 투여 후 5일까지
디프테리아
증상발현 후 2~4주
검체에서 24시간간격으로 검사하여 균이 2회 이상 음성일 때까지
인플루엔자(유행성독감)
발병 후 3~4일 후 까지
해열이 된 후 2일 후까지
성홍열
치료하지 않는 경우는 다양
(치료받는 경우는 치료 후1일까지 가능)
치료 시작 후 1일까지
참고문헌
김영혜 외 10명(2015),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p170~172
기본간호학(2008), 정담미디어, p185~186
조유향 외 11명(2014),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p51~52
한국간호과학회 아동간호학회(2012), 아동간호학, 대한간호협회, p301~304

키워드

전파경로,   근거,   예방,   호흡기,   비말,   접촉,   표준주의,   격리,   관리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29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