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목차
제칠회 임교두자배창주도 노지심대뇨야저림
刺配 [cìpèi] : 죄인의 얼굴에 자자해서 먼 곳으로 유배시키다
수호전 7회 임충교두는 창주길로 유배를 가며 노지심은 크게 야저림을 시끄럽게 했다
제팔회 시진문초천하객 임충방타홍교두
수호전 8회 시진은 문에서 천하의 손님을 불러모으고 임충은 몽둥이로 홍교두를 때리다
제구회 임교두풍설산신묘 육우후화소초료장
수호전 9회 임충 교두는 바람과 눈을 맞으며 산신묘에 가며 육우후는 불로 초료장을 불태우다
刺配 [cìpèi] : 죄인의 얼굴에 자자해서 먼 곳으로 유배시키다
수호전 7회 임충교두는 창주길로 유배를 가며 노지심은 크게 야저림을 시끄럽게 했다
제팔회 시진문초천하객 임충방타홍교두
수호전 8회 시진은 문에서 천하의 손님을 불러모으고 임충은 몽둥이로 홍교두를 때리다
제구회 임교두풍설산신묘 육우후화소초료장
수호전 9회 임충 교두는 바람과 눈을 맞으며 산신묘에 가며 육우후는 불로 초료장을 불태우다
본문내용
발병했다.
又是個新喫棒的人, 路上一步一步, 走不動。
우시개신끽방적인 노상일보애일보 주부동
(칠, 다가오다 애; -총10획; ai,ai)
또 새로 맞은 몽둥이가 있는 사람은 길에서 한 걸음에 한 걸음을 밀쳐야하며 움직이지 못했다.
薛道:「好不曉事!此去滄州二千里有餘的路, 這般樣走, 幾時得到!」
설패도 호불효사 차거창주이천리유여적로 니저반양주 기시득도
曉事: 사리에 밝다. 사리를 분별하다. 사리를 명확히 알다.
설패가 말했다. “매우 사리에 밝지 않다! 이번에 창주로 가는 2천여리 길에 네가 이런 모양으로 달리니 언제 도달하겠는가?”
林衝道:「小人在太尉府裏折了些便宜, 前日方喫棒, 棒瘡擧發。這般炎熱, 上下只得擔待一步!」
임충도 소인재태위부리절료사편의 전일방재끽봉 봉창거발 저반염열 상하지득담대일보
待 [dndai] :1) 양해하다 2) 감당하다 3) 관대히 보아 주다
임충이 말했다. “소인은 태위댁안에서 편의를 못받았습니다. 앞서 겨우 몽둥이를 맞고 몽둥이 창이 일제히 발병했습니다. 이런 더운 날씨에 위아래로 부득불 한 걸음만 양해해주십시오!”
董超道:「自慢慢的走, 休聽。」
동초도 니자만만적주 휴청길시
(웃는 모양 길; -총9획; j)(핥을 시{지},{숨 쉴 할}; -총9획; shi,huai):絮수다, 不休
동초가 말했다. “너는 스스로 천천히 가며 수다나 떨지 말라.”
薛一路上的, 口裏埋叫苦, 說道:「却是老爺們晦氣, 撞着這個魔頭!」
설패일로상남남눌눌적 구리매원규고 설도 각시노야문회기 당착니저개마두
[nene] :말을 더듬다[떠듬떠듬하다]. →(nene)
老爺 :노옹, 할아범
晦 [huiqi] :1) 불운하다 2) 재수 없다 3) 불행하다
叫苦 [jiao//k] :1) 고통을 호소하다 2) 비명을 지르다 3) 죽는 소리를 하다
魔:指破修行的凶神鬼。亦指自身的邪念。
설패가 곧장 재잘거리며 입안에 원망을 호소하며 말했다. “다시 어르신들이 재수가 없어서 너같은 이런 마귀대가리를 만났을까?”
看看天色又, 三個人投村中客店裏來。
간간천색우만 삼개인투촌중객점리래
날이 또 저녁이 되게 보이니 3명은 마을안에 여인숙안에 투숙했다.
到得房內, 兩個公人放了棍棒, 解下包。
도득방내 양개공인방료곤봉 해하포과
방안에 도달해 두명 공인은 곤봉을 놓고 보따리를 풀었다.
林衝也把包來解了, 不等公人開口, 去包取些碎銀兩, 央店小二買些酒肉, 些米來, 安排盤饌, 請兩個防送公人坐了喫。
임충야파포래해료 부등공인개구 거포과취사쇄은량 앙점소이매사주육 적사미래 안배반찬 청양개방송공인좌료끽
小二 [xio\'er] :(찻집·술집·여관 등의) 종업원. 같은말:小二哥(xio\'erg)
(쌀 사들일 적; -총22획; di,zhuo)
임충은 보따리를 풀어 공인이 말하길 기다리지 않고 보따리안에 부스러기 은량을 취해서 가게종업원에게 술과 고기를 사게 부탁해 쌀을 사들이고 반찬을 안배하여 두 명의 압송하는 공인을 청해 앉아서 먹게 했다.
董超, 薛, 又添酒來, 把林衝灌的醉了, 和枷倒在一邊.
동초 설패 우첨주래 파임충관적취료 화가도재일변
동초와 설패는 또 술이 들어가니 임충은 취하게 마시게 하며 칼을 한편에 풀어주었다.
薛去燒一鍋百沸滾湯, 提將來, 傾在脚盆內, 叫道:「林頭, 也洗了脚好睡。」
설패거소일와백비곤탕 제장래 경재각분내 규도 임교두 니야세료각호수
[gntng] :1) 끓고 있는 국 2) 끓는 물 3) 끓인 물
脚盆 [jiopen] : 발 씻는 대야
설패는 한 솥의 뜨겁게 끓은 물을 들고 가져와 발씻는 대야에 기울여 붓고 말했다. “임교두 당신은 발을 씻고 잘 주무시오.”
林衝的起來, 被枷了, 曲身不得。
임충쟁적기래 피가애료 곡신부득
임충이 일어나려는데 목의 칼이 막아서 몸을 굽히지 못했다.
薛便道:「我替洗。」
설패변도 아체니세
설패가 곧 말했다. “내가 당신 대신 씻겨주겠소.”
林衝忙道:「使不得!」
임충망도 사부득
使不得 [shbude] : 1.쓸 수 없다. 사용할 수 없다. 2.써서는 안 된다.…할 수 없다.
임충이 바삐 말했다. “하지 마십시오!”
薛道:「出路人那裏計較的許多!」
설패도 출로인나리계교적허다
설패가 말했다. “길 떠난 사람이 어찌 이렇게 많이 생각하는가?”
林衝不知是計, 只顧伸下脚來, 被薛只一按, 按在滾湯裏。
임충부지시계 지고신하각래 피설패지일안 안재곤탕리
임충이 계책인지 모르고 단지 다리를 펴서 설패에게 한번 만지게 하니 끓는 물안에 넣었다.
林衝叫一聲:「也!」
임충규일성 애야
(애통한 소리 애; -총9획; ai)
임충이 한번 소리쳤다. “아야!”
急縮得起時, 泡得脚面紅腫了。
급축득기시 포득각면홍종료
급히 수축해 일어나려니 물집이 다리에 붉게 생겼다.
林衝道:「不消生受!」
임충도 불소생수
不消 [buxio] :1) …할 필요가 없다 2) …할 나위가 없다 3) 견딜 수 없다
生受 [shngshou] :1) 폐를 끼쳐 드려서 죄송합니다 2) 수고하셨습니다 3) 금할 수 없다
임충이 말했다. “수고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道:「只見罪人伏侍公人, 那曾有公人伏侍罪人!好意叫他洗脚, 顚倒嫌冷嫌熱, 却不是『好心不得好報!』」
설패도 지견죄인복시공인 나증유공인복시죄인 호의규타세각 전도혐냉혐열 각불시 호심부득호보
却不是 [que bu shi] :1) 그러나 그렇지 않다 2) 본래부터 그렇지 않다
설패가 말했다. “단지 죄인이 공인을 엎드려 모신다는 것은 봐도 어찌 일찍이 공인이 죄인을 엎드려 섬기겠는가? 호의로 그에게 발을 씻으라고 하는데 거꾸로 찬 것을 싫어하고 뜨거운 것도 싫어하니 ‘좋은 마음이 좋은 보답을 얻지 못했다!’고 함이 아닌가?”
口裏的罵了半夜。
구리남남적매료반야
입안으로 재잘거리며 야간에 욕했다.
林衝那裏敢回話, 自去倒在一邊。
임충나리감회화 자거도재일변
임충이 어찌 감히 말대답하겠는가? 스스로 거꾸로 한 구석에 가 있었다.
他兩個潑了這水, 自換些水, 去外邊洗了脚, 收拾。
타양개발료저수 자환사수 거외변세료각 수습
그들 두명은 이 물을 끓여서 스스로 이 물을 바꾸어 외부로 발을 씻으러 가서 수습했다.
睡到四更, 同店人都未起, 薛起來燒了面湯, 安排打火, 做飯喫。
수도사경 동점인도미기 설패기래소료면탕 안배타화 주반끽
4경까지 자다 가게주인도 아직 안일어났는데 설패는 얼굴 씻을 물을 끓이고 불피움을 안배하고 밥을 지어
又是個新喫棒的人, 路上一步一步, 走不動。
우시개신끽방적인 노상일보애일보 주부동
(칠, 다가오다 애; -총10획; ai,ai)
또 새로 맞은 몽둥이가 있는 사람은 길에서 한 걸음에 한 걸음을 밀쳐야하며 움직이지 못했다.
薛道:「好不曉事!此去滄州二千里有餘的路, 這般樣走, 幾時得到!」
설패도 호불효사 차거창주이천리유여적로 니저반양주 기시득도
曉事: 사리에 밝다. 사리를 분별하다. 사리를 명확히 알다.
설패가 말했다. “매우 사리에 밝지 않다! 이번에 창주로 가는 2천여리 길에 네가 이런 모양으로 달리니 언제 도달하겠는가?”
林衝道:「小人在太尉府裏折了些便宜, 前日方喫棒, 棒瘡擧發。這般炎熱, 上下只得擔待一步!」
임충도 소인재태위부리절료사편의 전일방재끽봉 봉창거발 저반염열 상하지득담대일보
待 [dndai] :1) 양해하다 2) 감당하다 3) 관대히 보아 주다
임충이 말했다. “소인은 태위댁안에서 편의를 못받았습니다. 앞서 겨우 몽둥이를 맞고 몽둥이 창이 일제히 발병했습니다. 이런 더운 날씨에 위아래로 부득불 한 걸음만 양해해주십시오!”
董超道:「自慢慢的走, 休聽。」
동초도 니자만만적주 휴청길시
(웃는 모양 길; -총9획; j)(핥을 시{지},{숨 쉴 할}; -총9획; shi,huai):絮수다, 不休
동초가 말했다. “너는 스스로 천천히 가며 수다나 떨지 말라.”
薛一路上的, 口裏埋叫苦, 說道:「却是老爺們晦氣, 撞着這個魔頭!」
설패일로상남남눌눌적 구리매원규고 설도 각시노야문회기 당착니저개마두
[nene] :말을 더듬다[떠듬떠듬하다]. →(nene)
老爺 :노옹, 할아범
晦 [huiqi] :1) 불운하다 2) 재수 없다 3) 불행하다
叫苦 [jiao//k] :1) 고통을 호소하다 2) 비명을 지르다 3) 죽는 소리를 하다
魔:指破修行的凶神鬼。亦指自身的邪念。
설패가 곧장 재잘거리며 입안에 원망을 호소하며 말했다. “다시 어르신들이 재수가 없어서 너같은 이런 마귀대가리를 만났을까?”
看看天色又, 三個人投村中客店裏來。
간간천색우만 삼개인투촌중객점리래
날이 또 저녁이 되게 보이니 3명은 마을안에 여인숙안에 투숙했다.
到得房內, 兩個公人放了棍棒, 解下包。
도득방내 양개공인방료곤봉 해하포과
방안에 도달해 두명 공인은 곤봉을 놓고 보따리를 풀었다.
林衝也把包來解了, 不等公人開口, 去包取些碎銀兩, 央店小二買些酒肉, 些米來, 安排盤饌, 請兩個防送公人坐了喫。
임충야파포래해료 부등공인개구 거포과취사쇄은량 앙점소이매사주육 적사미래 안배반찬 청양개방송공인좌료끽
小二 [xio\'er] :(찻집·술집·여관 등의) 종업원. 같은말:小二哥(xio\'erg)
(쌀 사들일 적; -총22획; di,zhuo)
임충은 보따리를 풀어 공인이 말하길 기다리지 않고 보따리안에 부스러기 은량을 취해서 가게종업원에게 술과 고기를 사게 부탁해 쌀을 사들이고 반찬을 안배하여 두 명의 압송하는 공인을 청해 앉아서 먹게 했다.
董超, 薛, 又添酒來, 把林衝灌的醉了, 和枷倒在一邊.
동초 설패 우첨주래 파임충관적취료 화가도재일변
동초와 설패는 또 술이 들어가니 임충은 취하게 마시게 하며 칼을 한편에 풀어주었다.
薛去燒一鍋百沸滾湯, 提將來, 傾在脚盆內, 叫道:「林頭, 也洗了脚好睡。」
설패거소일와백비곤탕 제장래 경재각분내 규도 임교두 니야세료각호수
[gntng] :1) 끓고 있는 국 2) 끓는 물 3) 끓인 물
脚盆 [jiopen] : 발 씻는 대야
설패는 한 솥의 뜨겁게 끓은 물을 들고 가져와 발씻는 대야에 기울여 붓고 말했다. “임교두 당신은 발을 씻고 잘 주무시오.”
林衝的起來, 被枷了, 曲身不得。
임충쟁적기래 피가애료 곡신부득
임충이 일어나려는데 목의 칼이 막아서 몸을 굽히지 못했다.
薛便道:「我替洗。」
설패변도 아체니세
설패가 곧 말했다. “내가 당신 대신 씻겨주겠소.”
林衝忙道:「使不得!」
임충망도 사부득
使不得 [shbude] : 1.쓸 수 없다. 사용할 수 없다. 2.써서는 안 된다.…할 수 없다.
임충이 바삐 말했다. “하지 마십시오!”
薛道:「出路人那裏計較的許多!」
설패도 출로인나리계교적허다
설패가 말했다. “길 떠난 사람이 어찌 이렇게 많이 생각하는가?”
林衝不知是計, 只顧伸下脚來, 被薛只一按, 按在滾湯裏。
임충부지시계 지고신하각래 피설패지일안 안재곤탕리
임충이 계책인지 모르고 단지 다리를 펴서 설패에게 한번 만지게 하니 끓는 물안에 넣었다.
林衝叫一聲:「也!」
임충규일성 애야
(애통한 소리 애; -총9획; ai)
임충이 한번 소리쳤다. “아야!”
急縮得起時, 泡得脚面紅腫了。
급축득기시 포득각면홍종료
급히 수축해 일어나려니 물집이 다리에 붉게 생겼다.
林衝道:「不消生受!」
임충도 불소생수
不消 [buxio] :1) …할 필요가 없다 2) …할 나위가 없다 3) 견딜 수 없다
生受 [shngshou] :1) 폐를 끼쳐 드려서 죄송합니다 2) 수고하셨습니다 3) 금할 수 없다
임충이 말했다. “수고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道:「只見罪人伏侍公人, 那曾有公人伏侍罪人!好意叫他洗脚, 顚倒嫌冷嫌熱, 却不是『好心不得好報!』」
설패도 지견죄인복시공인 나증유공인복시죄인 호의규타세각 전도혐냉혐열 각불시 호심부득호보
却不是 [que bu shi] :1) 그러나 그렇지 않다 2) 본래부터 그렇지 않다
설패가 말했다. “단지 죄인이 공인을 엎드려 모신다는 것은 봐도 어찌 일찍이 공인이 죄인을 엎드려 섬기겠는가? 호의로 그에게 발을 씻으라고 하는데 거꾸로 찬 것을 싫어하고 뜨거운 것도 싫어하니 ‘좋은 마음이 좋은 보답을 얻지 못했다!’고 함이 아닌가?”
口裏的罵了半夜。
구리남남적매료반야
입안으로 재잘거리며 야간에 욕했다.
林衝那裏敢回話, 自去倒在一邊。
임충나리감회화 자거도재일변
임충이 어찌 감히 말대답하겠는가? 스스로 거꾸로 한 구석에 가 있었다.
他兩個潑了這水, 自換些水, 去外邊洗了脚, 收拾。
타양개발료저수 자환사수 거외변세료각 수습
그들 두명은 이 물을 끓여서 스스로 이 물을 바꾸어 외부로 발을 씻으러 가서 수습했다.
睡到四更, 同店人都未起, 薛起來燒了面湯, 安排打火, 做飯喫。
수도사경 동점인도미기 설패기래소료면탕 안배타화 주반끽
4경까지 자다 가게주인도 아직 안일어났는데 설패는 얼굴 씻을 물을 끓이고 불피움을 안배하고 밥을 지어
소개글